28개월 다운증후군 유아의 총담관 담석을 내시경 유두 풍선확장술로 제거한 1예

영유아에서 담석증은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복부초음파의 발달과 높은 이용률로 그 유병률은 증가되어 보고되고 있다. 영유아에서 총담관 담석은 대부분 무증상이고 성인과 달리 저절로 용해되어 자연소실되는 비율이 높지만 담즙정체성 황달을 보이는 경우에는 치료적 중재술을 필요로 한다. 전통적으로 영유아에서 발생한 총담관 담석은 수술로 치료하였으나, 최근 소아에서도 내시경을 이용한 비수술적 담석제거술이 표준치료로서 인정받고 있다. 저자들은 황달을 주소로 내원한 28개월 다운증후군 남아에서 총담관 담석을 진단하고 내시경 유두 풍선확장...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aehan Sohwagi Naesigyŏng Hakhoe chi 2006-08, Vol.33 (2), p.125
Hauptverfasser: 강지헌, Jee Heon Kang, 박도현, Do Hyun Park, 박정훈, Jeung Hoon Park, 오명호, Myung Ho Oh, 한승효, Seung Hyo Han, 안형수, Hyoung Su Ahn, 이용하, Yong Ha Lee, 박상흠, Sang Heum Park, 이석호, Suck Ho Lee, 정일권, Il Kwun Chung, 김홍수, Hong Soo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영유아에서 담석증은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복부초음파의 발달과 높은 이용률로 그 유병률은 증가되어 보고되고 있다. 영유아에서 총담관 담석은 대부분 무증상이고 성인과 달리 저절로 용해되어 자연소실되는 비율이 높지만 담즙정체성 황달을 보이는 경우에는 치료적 중재술을 필요로 한다. 전통적으로 영유아에서 발생한 총담관 담석은 수술로 치료하였으나, 최근 소아에서도 내시경을 이용한 비수술적 담석제거술이 표준치료로서 인정받고 있다. 저자들은 황달을 주소로 내원한 28개월 다운증후군 남아에서 총담관 담석을 진단하고 내시경 유두 풍선확장술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제거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lthough cholelithiasis is an uncommon condition in infants, a recent study documented the increasing detection of this disorder. This increase may be explained by the wide use and improvement in abdominal ultrasound. Choledocholithiasis with cholestatic jaundice in infants usually requires therapeutic intervention, even though the incidence of spontaneous resolution has been reported to be higher in infants than adults. Choledocholithiasis in children has traditionally been managed surgically with open common duct exploration. Recently, endoscopic stone removal was accepted as a standard therapy in pediatric choledocholithiasis. We report a case of the successful removal of common bile duct stone using endoscopic papillary balloon dilation (EPBD), in a 28-month-old infant with Down`s syndrome.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3:125-129)
ISSN:1225-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