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위 경골 골절의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고정술에서 삽입 방법에 따른 비교
목적: 근위 경골 골절에서 정복 유지와 부정 정렬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semiextended 삽입 방법과 기존의 금속정 삽입 방법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수술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근위 경골 골절로 골수강 내 금속정으로 치료하였던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개방성 골절이 12예, 분절 골절이 4예, 나비형 골편이 있는 경우가 3예, 분쇄 골절이 17예였고, 남자가 18예, 여자가 6예였으며 평균연령은 50세였다. 이 중 semie...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대한골절학회지 2006-01, Vol.19 (1), p.17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근위 경골 골절에서 정복 유지와 부정 정렬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semiextended 삽입 방법과 기존의 금속정 삽입 방법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수술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근위 경골 골절로 골수강 내 금속정으로 치료하였던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개방성 골절이 12예, 분절 골절이 4예, 나비형 골편이 있는 경우가 3예, 분쇄 골절이 17예였고, 남자가 18예, 여자가 6예였으며 평균연령은 50세였다. 이 중 semiextended 삽입 방법으로 시행하였던 10예와 기존의 방법대로 경골 결절 상방에서 삽입하였던 14예를 분석하여 임상적으로 동반손상의 정도, 합병증 등을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으로 전후면 및 측면에서의 수술 후 각 형성과 전위 정도를 비교하였다. 이들 결과의 통계학적 분석은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Semiextended 군에서 전후면에서의 각 형성은 평균 2.3˚, 측면에서의 각 형성은 평균 2.8˚, 전후면에서의 전위는 평균 4.5 mm, 측면에서의 전위는 평균 5.3 mm였으며 기존 방법 군은 전후면에서의 각 형성은 평균 5.1˚, 측면에서의 각 형성은 평균 7.4˚, 전후면에서의 전위는 평균 6.1 mm, 측면에서의 전위는 평균 5.3 mm였다. 전후면에서의 각 형성 (p=0.006)과 측면에서의 각 형성 (p=0.001)은 유의하게 semiextended 군에서 적었으나 전후면에서의 전위 (p=0.344)와 측면에서의 전위 (p=0.99)는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양 군 모두 주로 전방 및 외반 각 형성을 보였고 전위 방향은 후외측이었다. 전체 환자 중 14예에서 동반 손상이 있었고 기존 방법 군 1예에서 불유합 소견 보여 금속정 교체술 및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근위 경골 골절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치료에 있어 semiextended 삽입 방법은 기존의 삽입 방법에 비해 골절부 전위 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전후면과 측면 각 형성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술식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compar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between standard insertion method and semiextended method which was designed to improve proximal fixation and alignment in proximal tibia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from May 2000 to February 2004, identified 24 extraarticular fractures in proximal tibia, initially treated with locked intramedullary nails at least 1 year follow up. There were 12 open injuries, 4 segmental, 3 butterfly fragments and 17 comminuted. Semiextended method was used in 10 fratures and standard insertion method which is cephalad to tibial tubercle in 14. Follow up clinical assessment consisted of review of associated injuries and complications and these two methods were compared by postoperative angulation and displacement in antero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s. Data were analysed by t-tests. Results: In semiextended group, average angulation was 2.3˚ in coronal and 2.8˚ in sagittal plane and average displacement was 4.5 mm in coronal and 5.3 mm in sagittal. In ordinary group, average angulation was 5.1˚ in coronal and 7.4˚ in sagittal plane and average displacement was 6.1 mm in coronal and 5.3 mm in sagittal. In semiextended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 in coronal angulation (p=0.006) and sagittal angulation (p=0.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onal (p=0.344) and sagittal (p=0.99) displacement. Both groups showed anterior, valgus a |
---|---|
ISSN: | 1225-16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