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인에서 체중 감소가 당질 및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배경 : 비만증 치료의 중요한 목적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만인에게 식이, 운동 및 행동요법을 포함하는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체중감소가 당질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방법 : 건강한 중년의 과체중 및 비만인 여성 30예와 남성 9예가 6개월간의 체중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과 시작한 후 6개월에 인체계측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내장지방, 피하지방 면적 등을 측정하였다. 내당능 검사를 시행하여 포도당, 인슐린, C-peptide,...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1993-04, Vol.44 (4), p.520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연구배경 : 비만증 치료의 중요한 목적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만인에게 식이, 운동 및 행동요법을 포함하는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체중감소가 당질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방법 : 건강한 중년의 과체중 및 비만인 여성 30예와 남성 9예가 6개월간의 체중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과 시작한 후 6개월에 인체계측과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내장지방, 피하지방 면적 등을 측정하였다. 내당능 검사를 시행하여 포도당, 인슐린, C-peptide, 유리지방산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중성지방, LDL, HDI, total 콜레스테롤도 측정하였다.
결과 : 체중조절 프로그램에 참여 전보다 6개월 후에 여성 3.9 kg, 남성 4.1 kg의 체중 감소를 보여주었다. 경미한 체중감소는 혈청 LDL과 총 콜레스테롤을 여성과 남성 모두에서 23 내지 48% 감소시켰으며, HDL과 총 콜레스테롤 비율을 50 내지 130% 증가시켰다. 여성과 남성 모두 연구 시작시에 총 복부지방 면적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여성의 경우 피하형 비만이었던 반면에 남성의 경우는 내장형 비만을 보였다. 체중조절 프로그램 참여 전에 여성과 비교하여 남성에서 혈청 중성지방, 유리지방산과 인슐린 면적들이 증가되어 있었다. 체중 감소시에 총 복부지방 면적이 여성과 남성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특히 내장지방 면적은 남성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남성의 경우 내장지방의 감소가 유리지방산을 감소시켰으며, 유리지방산의 감소는 중성지방을 49%, 인슐린 면적을 56% 감소시켜 주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비만인들에서 보여지는 비정상적인 혈청 지질과 지단백은 경미한 체중 감소시에 정상화되어서 심혈관질환의 유병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6개월이라는 장기간에 거린 올바른 식품선택 방법과 운동법을 교육함으로써 비만인들에게 올바른 체중조절법을 습관화시켜 주어 감소된 체중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obesity treatment is to attain optimal body weight and to maintain weight loss. We determined the effects of weight loss with a program including dietary education, exercise and behavioral modification of lifestyle on obese subjects. Methods: Middle-aged obese women (n=30) and men (n=9) participated in a 6-month weight-management program.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visceral and subcutaneous fat areas at the umbilical level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weight loss. Serum levels of lipids and response areas of glucose, C-peptide, insulin and free fatty acid(FFA)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ere determined. Results: Body weight fell and average of 3.9 kg(6.3) in women and 4.1 kg (5.4%) in men. Modest weight loss showed a 23 to 48% decrease in the levels of serum LDL and total colesteorl and a 50 to 130% increase in the ratio of HDL to total cholesterol in all subjects. Although intraabdominal total fat area of females before weight loss was not different from males, females showed subcutaneous-type obesity and males visceral-type obesity. Compared with females, males before weight loss showed and increase in the levels of triglyceride, FFA and insulin. Although weight loss caused a decrease in intraabdominal total fat area in all subjects, a significant decrease in visceral fat area was only shown in men. Decreased visceral fat in males lowered FFA level and decreased FFA level lowered serum triglyceride level (49%) and resp |
---|---|
ISSN: | 1738-93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