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부정맥혈전증의 병인 분석
연구배경 : 심부정맥혈전증은 체내 지혈혈전계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며 최근 혈전증 연구의 발달로 심부정맥혈전증의 여러 가지 선행 인자들이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도 상당수의 심부정맥혈전증이 발생하고 있으나 그임상상 및 발생요인 등의 병인론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 내과에서 심부정맥혈전증(종양색전은 제외)으로 진단받은 8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선행 인자를 조사하였으며 동시에 혈액응고학적 선행 인자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 혈전증의 임상상 및 혈전증의 임상적 선행 인자를 알기 위하여...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1993-03, Vol.44 (3), p.368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연구배경 : 심부정맥혈전증은 체내 지혈혈전계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며 최근 혈전증 연구의 발달로 심부정맥혈전증의 여러 가지 선행 인자들이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도 상당수의 심부정맥혈전증이 발생하고 있으나 그임상상 및 발생요인 등의 병인론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 내과에서 심부정맥혈전증(종양색전은 제외)으로 진단받은 85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선행 인자를 조사하였으며 동시에 혈액응고학적 선행 인자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 혈전증의 임상상 및 혈전증의 임상적 선행 인자를 알기 위하여 대상 환자들의 병록지와 심부정맥혈전증의 진단시 시행된 방사선학적 검사를 검토하였으며, 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는 혈액응고학적 선행인자의 분석을 위하여는 항 cardiolipin 항체, C 단백, S 단백, antithtombin Ⅲ,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및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type 1, 혈장 섬유소 용해능을 검사하였다.
결과 :
1) 대상 환자 85예중 남자 40예, 여자 45예로 남녀비는 1 : 1.13 이었고, 나이는 15세에서 77세로 중앙치는 47세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40대가 21예 (24.7%)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19예(22.4%), 30대가 16예 (18.8%), 20대가 10예(11.7%), 60대가 9예 (10.6%), 70세 이상이 6예(7.1%)였고, 20세 미만도 4예 (4.7%) 있었다.
2) 심부정맥 혈전증의 발생 부위로는 장단지(calf)의 정맥에 국한된 경우가 7예(8.2%), 근위부쪽으로 슬와정맥(popliteal vein)까지 관여된 경우가 7예(8.2%), 장골 정맥(femoral vein)까지 관여된 경우가 12예 (14.1%), 대퇴 정맥(iliac vein)까지 관여된 경우가 37예(43.5%)로 하지가 전체 대상 환자의 74.1%인 63예였으며, 하대 정맥과 신 정맥이 관여된 경우가 8예(9.4%), 문 맥(portal vein)이 관여된 경우가 8예(9.4%)로 복강내 정맥 혈전증이 16예(18.8%) 있었다.
그외 상지의 정맥이 관여된 경우가 4예(4.7%), 상대 정맥 혈전증이 1예(1.2%)있었으며, 심부정맥혈전증의 증거가 없는 폐동맥 색전증이 1예(1.2%)있었다. 전체 대상 환자중 29예(34.1%)에서 폐동맥 색전증이 합병하였다.
3) 심부정맥혈전증의 임상적 선행 인자로는 고령(60세 이상)이 15예(17.0%), 악성종양 13예(15.3%), 혈전증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가 11예(12.9%), 수술후 상태가 9예(10.6%), immobilization이 7예(8.2%), 고지질혈증 5예(5.9%), 비만증 4예(4.7%), 혈류의 정체 4예(4.7%), 신증후군 3예(3.5%), 당뇨병 3예(3.5%), Behcet씨 병 2예(2.4%), 여성호르몬제 복용 2예(2.4%) 등이었으며, 특별한 임상적 위험인자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가 25예(29.4%)였다.
4) 심부정맥혈전증의 혈액응고학적 선행 인자로는 항 cardiolipin 항체가 양성인 경우, C 단백의 기능적 활성도나 유리형 S 단백의 항원량이 정상의 60% 미만인 경우, antithrombin Ⅲ의 기능적 활성도가 정상의 70%미만인 경우, t-PA값이 정상치보다 낮거나 PAI-1 값이 정상치보다 높은 경우, 그리고 섬유소 용해능이 정상치 보다 낮은 경우 등을 생각하였는데, 항 cardiolipin 항체양성이 7예(19.4%), C 단백의 기능적 활성도가 정상의 60% 미만인 경우가 3예(16.7%), S단백(free form)의 항원량이 정상의 60% 미만인 경우가 3예(10.7%), antithtombin Ⅲ의 기능적 활성도가 정상의 70% 미만인 경우가 2예(5.9%), t-PA가 정상치보다 낮은 경우가 5예(22.7%), PAI-1이 정상치보다 높은 경우가 10예(29.4%), 섬유소 용해능 검사가 정상치보다 낮게 나온 경우가 14예(42.4%) 있었다.
결론 : 한국인에서의 심부정맥혈전증의 중요한 임상적 선행원인으로는 고령, 악성종양, 혈전증의 과거력, 수술후 상태, 기동장애였고, 혈전증과 관련된 혈액응고학적 검사의 이상소견으로는 PAI-1의 증가와 t-PA의 감소, 항 cardiolipin 항체 양성이 흔히 관찰되었다.
Background : The formation of deep vein thrombosis reflects a balance between the effects of thrombogenic stimuli and a series of protective mechanisms. Substantial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last several decades in identifying hereditary and acquired risk factors predisposing to deep vein trombosis. Even so, a large number of patients still have n |
---|---|
ISSN: | 1738-93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