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사구체 신염 환자에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투여가 요중 TGF-β1에 미치는 효과

배 경 : 사구체 신질환애서 TGF-β1의 증가는 세포외기질의 축적을 증가시켜 사구체경화증과 간질의 섬유화를 유발하며 다양한 신질환의 진행을 촉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단백뇨가 동반된 비당뇨병성 만성 사구체 신염 환자에서 6개월간의 지속적인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치료에 따른 단백뇨와 TGF-β1 분비 억제 효과 및 요중 T`GF-β1의 임상적 의의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일일 단백뇨가 1 gm 이상 동반된 비당뇨병성 만성 사구체 신염 활자들을 대상으로losartan 50 ㎎과 100 ㎎을 각각 순차적으로 12주씩 투약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04-03, Vol.23 (2), p.231
Hauptverfasser: 박형천, Park Hyeong Cheon, 김범석, Kim Beom Seog, 최훈영, Choe Hun Yeong, 강신욱, Kang Sin Ug, 최규헌, Choe Gyu Heon, 하성규, Ha Seong Gyu, 이호영, Lee Ho Yeong, 한대석, Han Dae Seo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배 경 : 사구체 신질환애서 TGF-β1의 증가는 세포외기질의 축적을 증가시켜 사구체경화증과 간질의 섬유화를 유발하며 다양한 신질환의 진행을 촉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단백뇨가 동반된 비당뇨병성 만성 사구체 신염 환자에서 6개월간의 지속적인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치료에 따른 단백뇨와 TGF-β1 분비 억제 효과 및 요중 T`GF-β1의 임상적 의의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일일 단백뇨가 1 gm 이상 동반된 비당뇨병성 만성 사구체 신염 활자들을 대상으로losartan 50 ㎎과 100 ㎎을 각각 순차적으로 12주씩 투약하였다. 두 치료 기간 전후로 환자군의 임상적 지표와 혈청 및 요중 TGF-β1 농도를 측정하였고, losartan 투여 24주 후의 요단백 배설 감소 정도에 따라 반응군 (기저 단백뇨에 비해 24주 후 30% 이상 단백뇨가 감소)과 비반응군 (기저 단백뇨에 비해 30% 미만 감소)으로 분류하여 양군의 임상적 특성을 비교하고, 요중 TGF-β1을 포함한 임상적 지표와 losartan에 대한 요단백 감소 반응과의 연관성을 검정하였다. 결 과 : 충 42명의 환자가 치료를 완료하였고, 환자관 모두 치료 전후 혈액생화학적 지표 및 크레아티닌 청소율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연구 기간 중 환자군의 혈압이 대부분 목표 혈압 이하로 조절되었으며 요단백 배설 감소 정도에 따른 반응군 (n=31)과 비반응군 (n=11)의 혈압 하강 정도는 비슷하였다. 환자군의 치료 전 요중 TGF-β1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혈청 TGF-β1 농도는 정상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반응군에서 50 ㎎과 100 ㎎의 losartan 치료는 단백뇨 (46%와 64.1%)와 요중 TGF-β1 분비 (29.0%와 45.8%)를 각각 감소시켰으나 (p
ISSN:2211-9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