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막투석 환자에서 투석 첫 1년 동안 영양상태의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분석

목 적 : 복막투석 환자들은 불충분한 영양섭취, 투석액을 통한 단백 소실 및 포도당 흡수, 감염 및 만성 염증 반응, 부적절한 투석량 등의 이유로 영양실조가 되기 쉽고 특히 이는 환자의 이환율 및 사망률과 연관되어 진다. 이에 저자들은 복막투석 후 첫 1년 동안의 영양상태 변화를 제지방량 측정을 통하여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원에서 만성 신부전증으로 진단 받은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복막투석 시작 후 1개월째와 12개월째 인체 구성 성분을 BIA와 DEXA로 추적 측정하였고, 1년 동안...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03-07, Vol.22 (4), p.446
Hauptverfasser: 김동한, Dong Han Kim, 이승현, Lee Seung Hyeon, 김태우, Kim Tae U, 백종해, Baeg Jong Hae, 조규향, Jo Gyu Hyang, 박종원, Park Jong Won, 도준영, Do Jun Yeong, 윤경우, Yun Gyeong U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 적 : 복막투석 환자들은 불충분한 영양섭취, 투석액을 통한 단백 소실 및 포도당 흡수, 감염 및 만성 염증 반응, 부적절한 투석량 등의 이유로 영양실조가 되기 쉽고 특히 이는 환자의 이환율 및 사망률과 연관되어 진다. 이에 저자들은 복막투석 후 첫 1년 동안의 영양상태 변화를 제지방량 측정을 통하여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원에서 만성 신부전증으로 진단 받은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복막투석 시작 후 1개월째와 12개월째 인체 구성 성분을 BIA와 DEXA로 추적 측정하였고, 1년 동안의 체중, 제지방량, 체지방량 등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생화학적 검사, 요소 동력학 모형의 측정, 복막 평형 검사, 투석액을 통한 포도당의 흡수량 및 단백질과 알부민 소실량, 잔여 신 기능 등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복막투석 시작 후 1개월째와 12개월째 각각 BIA와 DEXA로 측정한 인체 구성 성분의 비교에서 체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제지방량은 감소하고 (46.3±9.1㎏ vs. 44.7±9.0 ㎏ in BIA, 45.7±9.3 ㎏ vs 42.1 ±7.9 ㎏ in DEXA, p
ISSN:2211-9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