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 출소기 염처리가 수량 및 지잎의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본 시험에서는 원형 포트에 재배한 맥류(피맥 2품종, 과맥 2품종)의 염(NaCl, MgSO_4)을 농도별(0, 60, 120, 180 mM)로 출수기에 10일 동안 처리하여 출수기의 내염성 정도와 이에 수반된 몇 가지 대사물질의 변화와 수량구성요소의 변이를 조사하여 재배법개선, 그리고 내염성이 큰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염류간의 비교에서 수수, 간장, 일수립수, 그리고 수량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건경중과 천립중에서는 염종류간 차이가 있어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MgSO_4 보다 NaCl에서 높았다....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2002, Vol.47 (6), p.409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시험에서는 원형 포트에 재배한 맥류(피맥 2품종, 과맥 2품종)의 염(NaCl, MgSO_4)을 농도별(0, 60, 120, 180 mM)로 출수기에 10일 동안 처리하여 출수기의 내염성 정도와 이에 수반된 몇 가지 대사물질의 변화와 수량구성요소의 변이를 조사하여 재배법개선, 그리고 내염성이 큰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염류간의 비교에서 수수, 간장, 일수립수, 그리고 수량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건경중과 천립중에서는 염종류간 차이가 있어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MgSO_4 보다 NaCl에서 높았다. 지엽의 조사에서는 엽록소와 유리 proline이 유의성이 있었는데, 엽록소는 NaCl 보다 MgSO_4에서 높았으나 유리 proline 축적은 MgSO_4 보다 NaCl에서 높았다.
농도간 비교에서는 모든 조사항목이 유의성이 있어서 농도간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중실수량을 포함한 모든 항목이 전반적으로 저농도에서 높고 고농도일수록 낮았다. 지엽의 조사항목에서도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었는데 농도증가에 따라 생건비는 증가하는 경향이지만 상대팽압도와 엽록소는 상당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유리 proline 함량은 대조적으로 농도증가에 따라 축적량이 증가되었는데 대조에 비하여 많으면 10배까지 증가되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생식생장기의 생육상태에서 유리 proline 축적이 많으며 수량구성요소와 종실수량의 감소가 적은 백동이나 동보리1호가 상대적으로 내염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출수기의 염 stress는 생육장해가 커 수량감소를 초래하므로 이시기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on salt injury and different responses among cultivars in winter barlely (Hordeum vulgare L.). Salts did not affect yield components including number of panicles, stem length, grain number per ear and grain yeild while reduced stem dry weight and thousand seed weight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alt from 60 to 180 mM. NaCl had less injury effect on barley straw dry weight and thousand seed weight than did MgSO_4. Chlorophyll content and relative turgidity in flag leaf were reduced when treated with both salts, while free proline in the salt-treated leaf was increased. Content of proline in salt-treated barley was about 10 folds compared to the control. Based on yield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traits of flag leaf, the tolerance to salt injury was the greatest in Baegdong, followed by Dongbori#1, Mogpo#55, and Gangbori. The results suggested that salt- stressed barley at reproductive stage had higher free proline content, and that special management in this stage must be considered because salt stress at heading stage affect flag leaf growth as well as yield components harmfully. |
---|---|
ISSN: | 0252-97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