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폐경기 여성에서의 요 칼슘 배설과 골대사의 관계
목적 : 모든 여성은 폐경 후에 여성호르몬이 결핍되나 폐경 후 골다공증의 발병은 이들 폐경 후 여성 중 일부에서만 발생한다. 따라서 폐경 후 골다공증이 발병하는 여성에서는 정상 골밀도를 유지하는 여성과 달리 여성호르몬 결핍 이외에도 폐경 후 더 큰 골소실을 유도하는 또 다른 요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장에서의 칼슘소실이 폐경 후 골흡수 증가와 이에 따른 골다공증 발생의 한 원인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인 폐경 전후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24시간 요 칼슘 배설량과 골밀도 및 골교체 표지자의 변화와의 관계를 관찰하였...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2-10, Vol.63 (4), p.402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모든 여성은 폐경 후에 여성호르몬이 결핍되나 폐경 후 골다공증의 발병은 이들 폐경 후 여성 중 일부에서만 발생한다. 따라서 폐경 후 골다공증이 발병하는 여성에서는 정상 골밀도를 유지하는 여성과 달리 여성호르몬 결핍 이외에도 폐경 후 더 큰 골소실을 유도하는 또 다른 요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장에서의 칼슘소실이 폐경 후 골흡수 증가와 이에 따른 골다공증 발생의 한 원인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인 폐경 전후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24시간 요 칼슘 배설량과 골밀도 및 골교체 표지자의 변화와의 관계를 관찰하였다. 방법 : 224명의 초기 폐경 후 여성, 158명의 후기 폐경 후 여성 및 145명의 폐경 전 여성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에서는 24시간 요 칼슘 배설량, 요 deoxypyridinoline 농도, 혈청 osteocalcin과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농도 및 요추골과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224명의 초기 폐경 후 여성 군에서 74명(33.0%)의 고칼슘뇨증이 있었다. 초기 폐경 후 여성 군에서 폐경 전 여성 군과 비교하여 평균 요 칼슘/크레아티닌 비와 혈청 칼슘 농도는 유의하게 높았다. 초기 폐경 후 여성 군 중 고칼슘뇨 군에서는 정상칼슘뇨 군과 비교하여 혈청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농도와 요 deoxypyridinoline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대퇴골 경부 골밀도는 고칼슘뇨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 초기 폐경 후 여성에서 고칼슘뇨증 여성의 빈도가 많았으며 요 칼슘 배설이 증가하였고, 특히 고칼슘뇨 군에서는 골교체 표지자가 상승되었고, 대퇴골 경부 골밀도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고칼슘뇨증이 폐경 후 골다공증의 부분적인 기전으로 추측되나 직접적인 인과관계에 대하여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Although all postmenopausal women are estrogen deficient, women who have postmenopausal osteoporosis may have some defects, in addition to estrogen deficiency, that explain for their higher rates of bone resorption and greater bone loss, relative to those who do not. To test the hypothesis that one of the defects is an impairment in renal calcium conservation, we have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urinary calcium excretion and bone mineral metabolism of postmenopausal women in Korea. Methods : We have measured 24-hour urinary calcium level; serum osteocalcin level, serum alkaline phosphatase level; urine deoxypyridinoline level; and bone mineral density in 224 early postmenopausal, 158 late postmenopausal and 145 premenopausal women. Results : 33.0 percent (74/224) of early postmenopausal women in Korea had urinary calcium excretion exceeding 4 mg/kg per day. The early postmenopausal women had higher (p |
---|---|
ISSN: | 1738-93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