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이식 골 - 슬개건 - 골을 이용한 관절경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경골 터널 형태의 변화

목적: 본 연구를 통하여 자가 이식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관절경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발생하는 경골 터널 크기의 변화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사선적 소견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Lysholm 점수 등의 임상적 소견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자가 이식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가 시행되었다.경골 터널 크기의 측정은 슬관절 전후면 및 측면 방사선 사진을 scanning 한 후 Image-Pro Express ⓡ 프로그램...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2002-06, Vol.14 (1), p.68
Hauptverfasser: 전득수, Deuk Soo Jun, 조현철, Hyun Chul Jo, 이상훈, Sang Hoon Lee, 이동연, Dong Yeon Lee, 성상철, Sang Cheol Seong, 이명철, Myung Chul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본 연구를 통하여 자가 이식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관절경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후 발생하는 경골 터널 크기의 변화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사선적 소견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Lysholm 점수 등의 임상적 소견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자가 이식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가 시행되었다.경골 터널 크기의 측정은 슬관절 전후면 및 측면 방사선 사진을 scanning 한 후 Image-Pro Express ⓡ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터널의 면적을 근위 1 / 3 , 중간 1/3, 원위 1/3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였고,터널의 최대 지름도 구하였다. 전후면과 측면 방사선 사진의 분석은 수술 직후 및 3, 6, 9, 12, 24 및 36개월에 각각 시행하였다. 결과: 경골 터널의 증가는 측면 사진상에서 전후면 사진상보다 더 컸다. 면적으로 측정시 근위부가 중간 부보다, 중간부가 원위부보다 컸다. 근위 1/3 부위의 면적은 술후 3개월부터 증가하였고, 원위 1/3 부위의 면적은 술후 3개월부터 감소하였다. 최종 추시상 경골 터널 면적의 양상은 전후면 사진상 원통형 33례 (66%), 망치형 8례 (16%), 뒤집힌 병형 5례 (10%) 및 역삼각형 4례(8%)이었고, 측면 사진상 원통형 17례 (34%), 망치형 4례 (8%), 뒤집힌 병형 11례 (22%) 및 역삼각형 18례(36%)이었다. 결론:경골 터널 면적의 변화는 Lysholm 점수와 같은 임상적 변수와 연관성이 없었다. Purpose: We analysed radiographic changes of bone tunnel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and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measurements and clinical variable. Materials and Methods: Fifty patients were examined retrospectively. The interval between surgery and examination ranged from 12 to 48 months with a mean of 18 months. We measured the area and width of tibial tunnel from the radiographs of anteroposterior (AP) and lateral views of the knee after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computer program "Image-Pro ExpressRfi". The proximal, middle, distal one third of tibial tunnel area and maximum diameter of tibial tunnel were measured on AP and lateral radiographs. Each measurements were done on immediate postoperative, and postoperative 3, 6, 9, 12, 24, 36 months. Results: The size of tibial tunnel was larger on lateral than AP radiograph. The proximal part was found to be the largest and the size decreased as it moved distally. The area of proximal one third was increased from postoperative 3 months and that of distal one third was decreased from postoperative 3 months. The shape of tibial tunnel area on the last follow-up was cylinder type in 33 (66%) and 17 (34%) on AP and lateral radiograph, mallet type 8 (16%) and 4 (8%), reverse bottle type 5 (10%) and 11 (22%), reverse triangle type 4 (8%) and 18 (36%)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tibial tunnel change was not correlated with clinical variable such as Lysholm score.
ISSN:2234-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