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관절 일차 전치환술 및 재전치환술에서 심한 골 결손시 Femoral Head Allograft 를 이용한 재건술
목적: 골 결손이 심한 슬관절 일차 전치환술 및 재전치환술 시행시, 신선 동결 대퇴골두 동종골 (fresh frozen femoral head allograft)을 이용하여 결손 부위를 재건하고 그 결과를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조사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8월에서 2001년 3월까지 슬관절 일차 전치환술과 재전치환술 시행중 골 결손이 큰 부위에 신선 동결 대퇴골두 동종골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중 추시 가능한 총 17명 18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 재전치환술은 12예, 일차 전치환술은 6예였다. 평균 연...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2002-06, Vol.14 (1), p.9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골 결손이 심한 슬관절 일차 전치환술 및 재전치환술 시행시, 신선 동결 대퇴골두 동종골 (fresh frozen femoral head allograft)을 이용하여 결손 부위를 재건하고 그 결과를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조사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8월에서 2001년 3월까지 슬관절 일차 전치환술과 재전치환술 시행중 골 결손이 큰 부위에 신선 동결 대퇴골두 동종골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중 추시 가능한 총 17명 18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 재전치환술은 12예, 일차 전치환술은 6예였다. 평균 연령은 66세(55~74세)였고, 추시기간은 평균 2년 5개월(1년~5년 3개월)이었으며, 골 결손 부위는 경골 근위부가 10예, 대퇴골 원위부 2예, 양측 경우가 6예였다. 사용된 삽입물은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15예,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3예였으며, 술 후 임상 평가는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의 knee score로, 이식골의 평가는 단순 방사선 촬영을 이용하였다. 결과: 관절운동은 술 전 평균 71도에서 103도로, HSS score는 평균 46점(18~68점)에서 83점(68~91점)으로 호전되었으며, 정렬은 평균 7도 내반 변형(3도~15도 내반)에서 술후 추시상 평균 6 .1도 외반(3도~7도 외반)을 보였다. 방사선학적 결과상 삽입물 주변의 2mm 이상의 방사선 투과선을 보인 예는 없었으며, 1예에서만 경골부 이식골의 부분 골흡수가 보였고, 감염이나 이식골의 골절등을 보인 예는 없었다. 결론: 심한 골 결손이 있는 경우 대퇴골두 동종골 이식을 이용한 재건술은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primary or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fresh frozen femoral head strut allograft for severe bone defect. Subjects and Methods: Seventeen patients (18 cases) with severe bone defect were taken primary or revision TKA from 1997 to 2001 using fresh frozen femoral head allograft. 12 cases of revision TKA and 6 of primary TKA were conducted. The average age was 66 years old(55~74) and the follow up period was 29 months(12~63 months). Bone defects were found at proximal tibia in 10 cases, distal femur in 2 and both sites in 6 cases. PCL substituting TKA with extension rod were 15, and PCL retaining TKA were 3. The clinical result was assessed with the knee score of Hospital for Special Surgery(HSS) and for assessment of allograft, simple X-ray film was employed. Results: Average range of motion was increased from 71°to 103°and HSS score was increased from 46(18 ~68) to 83(68 ~91). With 17 of 18 femoral head strut allograft, union was seen and no clinical collapse was present. In one, partial allograft absorption was occured. The preoperative alignment was an average of 7°varus(range 5°~15°) and postoperative alignment was averaged 6.1°valgus(range 3°~7°). No radiolucent lines were 2 mm or more in width, and there was no case of infection or fracture of allograft. Conclusions: Femoral head strut allograft was a satisfactory method of managing severe bone defect in primary or revision TKA. |
---|---|
ISSN: | 223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