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장비
본 발명은 청소장비에 관한 것으로, 해당 청소장비는 하우징, 롤링브러시 및 스프링클러를 포함하며; 이 중, 하우징의 저부에는 오물흡입 챔버가 오목하게 구성되며, 하우징에는 오물흡입 통로를 더 구성하며, 오물흡입 통로에는 오물유입구와 오물배출구를 구비하며, 오물유입구는 오물흡입 챔버와 연통되고, 오물배출구는 청소장비의 오물저장용기와 연통되며; 롤링브러시는 오물흡입 챔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부분적으로 오물흡입 챔버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며, 스프링클러는 오물흡입 챔버 내부에 구성되며, 스프링클러는 롤링브러시로 세정액을 분출하는 데 사...
Gespeichert in: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Patent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bestellen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발명은 청소장비에 관한 것으로, 해당 청소장비는 하우징, 롤링브러시 및 스프링클러를 포함하며; 이 중, 하우징의 저부에는 오물흡입 챔버가 오목하게 구성되며, 하우징에는 오물흡입 통로를 더 구성하며, 오물흡입 통로에는 오물유입구와 오물배출구를 구비하며, 오물유입구는 오물흡입 챔버와 연통되고, 오물배출구는 청소장비의 오물저장용기와 연통되며; 롤링브러시는 오물흡입 챔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부분적으로 오물흡입 챔버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며, 스프링클러는 오물흡입 챔버 내부에 구성되며, 스프링클러는 롤링브러시로 세정액을 분출하는 데 사용되며, 스프링클러와 오물유입구는 롤링브러시의 회동방향 상에서 이격 설치되며; 오물흡입 챔버 내부에 제1배플을 더 구성하며, 제1배플은 오물흡입 챔버의 챔버벽에 연결되어 롤링브러시와 병행 설치되며, 제1배플은 롤링브러시의 회동방향 상에서 스프링클러와 오물유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제1배플은 롤링브러시와 접촉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설치를 통해, 제1배플을 통해 롤링브러쉬 회동에 따른 쓰레기를 차단 및 긁어낼 수 있어, 스프링클러가 롤링브러시에 따른 쓰레기에 의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A cleaning equipment includes a housing, a rolling brush, a spraying device, a dirt storage container, and a baffle plate. A bottom portion of the housing defines a dirt suction cavity. The housing defines a dirt suction channel including a dirt inlet opening and a dirt outlet opening. The dirt inlet opening communicates with the dirt suction cavity. The dirt outlet opening communicates with the dirt storage container. The rolling brush is mounted in the dirt suction cavity and partially extends out of the dirt suction cavity. The spraying device is positioned in the dirt suction cavity. The spraying device and the dirt inlet opening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lling brush. The baffle plate connects to a sidewall of the dirt suction cavity. The baffle plate is positioned between the spraying device and the dirt inlet opening in the rotational directio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