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ortable Negative pressure room equipped with virus bacteria disinfection and spread prevation function
본 발명은 2000년 이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이하 SARS), 신종 인플루엔자(H1N1 Pandemic),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이하 MERS)등이 전 세계적으로 창궐하였고 특히 2019년 12월 하순 중국 우한지역에서 발생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는 빠른 전파속도로 전 세계를 인류역사상 세 번째 팬데믹상태로 빠뜨렸고 세계적으로 큰 문제를 야기한 바 있으며, 그 문제는 현재도 진행 되고 있다....
Gespeichert in:
Hauptverfasser: | , |
---|---|
Format: | Patent |
Sprache: | eng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bestellen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발명은 2000년 이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이하 SARS), 신종 인플루엔자(H1N1 Pandemic),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이하 MERS)등이 전 세계적으로 창궐하였고 특히 2019년 12월 하순 중국 우한지역에서 발생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는 빠른 전파속도로 전 세계를 인류역사상 세 번째 팬데믹상태로 빠뜨렸고 세계적으로 큰 문제를 야기한 바 있으며, 그 문제는 현재도 진행 되고 있다. 최초 팬데믹은 1957년 아시아 독감으로 중국 남부에서, 그리고 두 번째 팬데믹은 2009년 신종플루로 멕시코와 미국에서 발생하여 팬데믹을 선언해야 하는 질병의 주기가 빨라지고, 빈번하게 발생될 것이라고 관련 학계는 예측한다. 우리나라는 2009년 5월부터 12월까지 신종인플루엔자, MERS,SARS(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발생한 감염병으로 향후 주기적으로 대유행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대응 과정에서 호흡기감염 치료시설 부족이 부각되어, 이와 관련한 호흡기 감염 환자의 격리와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음압격리병실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집단 감염이 발생할 경우 음압격리병실의 부족으로, 부득이하게 환자를 음압격리병실까지 이송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한 전염병의 확산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편리하게 음압격리병실을 이동 설치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이 발생한 지역에 설치하여 신속한 환자의 치료는 물론 의료진의 감염도 줄이고, 팬데믹(Pandemic)과 같은 세계적으로 퍼지는 질병을 지역감염(Local Infection) 수준으로 봉쇄하고자 하는 것이다. [색인어] 바이러스, 박테리아, 음압병실, 항균판넬, 항균판(SVBD), 항균 LED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