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자대

단자대가, 전자 계전기를 접속 가능한 접속면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이, 접속면에 개구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설치 홈을 갖고, 설치 홈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갖는 설치 홈을 갖고 있다. 제1 홈부는, 접속면의 근처에 배치된 제1 협폭부와, 제1 협폭부보다도 접속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광폭부와, 제1 협폭부와 광폭부의 경계에 마련되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는 발거 방향으로의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단차부를 갖고 있다. 제2 홈부는...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Hauptverfasser: MASAKI KENICHIRO, TSUJI SHINYA
Format: Patent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bestellen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단자대가, 전자 계전기를 접속 가능한 접속면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이, 접속면에 개구되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설치 홈을 갖고, 설치 홈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갖는 설치 홈을 갖고 있다. 제1 홈부는, 접속면의 근처에 배치된 제1 협폭부와, 제1 협폭부보다도 접속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광폭부와, 제1 협폭부와 광폭부의 경계에 마련되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는 발거 방향으로의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단차부를 갖고 있다. 제2 홈부는, 보유 지지 부재의 네일부를 탄성 변형시키지 않고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A terminal block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connection surface to which an electromagnetic relay is connectable. The housing includes at least one attachment groove that opens to the connection surface and extends toward inside of the housing. The at least one attachment groove includes a first groove portion and a second groove portion are disposed adjacent to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e first groove portion includes a first narrow width portion disposed near the connection surface, a wide width portion disposed farther from the connection surface than the first narrow width portion, and a step portion at a boundary of the first narrow width portion and the wide width portion, the step portion being capable of restricting a movement of the holding member in a removal direction. The second groov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law portion without elastically defor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