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ASS TYPE TERMINAL AND OPERPATION METHOD OF THE SAME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체; 본체에 결합된 제1프레임, 제1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증강 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제2프레임,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와 제1 프레임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거리조절부, 거리조절부의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와 제1 프레임의 이격거리 조절에 따른 사출동 거리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Hauptverfasser: KANG PILGOO, KWON JONGHUN, CHEON JEEYOUNG, AHN JEONGSOO, KIM EUNKI
Format: Patent
Sprache:eng ; 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bestellen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체; 본체에 결합된 제1프레임, 제1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증강 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제2프레임,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와 제1 프레임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거리조절부, 거리조절부의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와 제1 프레임의 이격거리 조절에 따른 사출동 거리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증강 현실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해상도 변경 모드가 실행되면, 감지된 사출동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한다. A glasses-type terminal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The glasses-type terminal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which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eing worn on a head portion of a user; a first frame which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 second frame which is mov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on which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augmented reality image is disposed, a distance adjusting unit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can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first frame, a sensing unit which senses eye point distance change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first frame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distance adjust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en a resolution changing mode is executed while the augmented reality image is output,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resolu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image based on the sensed eye point distanc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