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밀도를 갖는 점탄성 폼
본 발명은,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b)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반응성인 기를 갖는 중합체 화합물, (c) 임의로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 (d) 촉매, (e) 물을 포함하는 발포제, 및 임으로 (f) 첨가제와 50 내지 95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로 혼합하여 반응 혼합물을 생성하고, 반응 혼합물을 모울드 내에 배치하고 반응시켜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생성시킴으로써, 100 g/dm내지 300 g/dm의 밀도를 갖는 점탄성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a)는 2 내지 8개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
Gespeichert in: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Patent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bestellen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발명은,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b)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반응성인 기를 갖는 중합체 화합물, (c) 임의로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결합제, (d) 촉매, (e) 물을 포함하는 발포제, 및 임으로 (f) 첨가제와 50 내지 95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로 혼합하여 반응 혼합물을 생성하고, 반응 혼합물을 모울드 내에 배치하고 반응시켜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생성시킴으로써, 100 g/dm내지 300 g/dm의 밀도를 갖는 점탄성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a)는 2 내지 8개의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올리고머 및 4,4'-MDI, 임의로 4,4'-MDI의 카르보디이미드 및 임의로 2개 초과의 고리를 갖는 MDI의 고급 동족체를 혼합함으로써 수득 가능하고,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반응성인 기를 갖는 중합체 화합물(b)은 3작용성 출발물질 분자로부터 유도된, 20 내지 50 mg KOH/g의 수산가, 및 알킬렌 옥사이드의 함량을 기준으로 0 내지 10 중량%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비율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2작용성 출발물질 분자로부터 유도된, 20 내지 50 mg KOH/g의 수산가, 및 알킬렌 옥사이드의 함량을 기준으로 0 내지 10 중량%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비율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2작용성 내지 4작용성 출발물질 분자로부터 유도된, 400 내지 800 mg KOH/g의 수산가, 및 알킬렌 옥사이드를 기준으로 80 내지 100 중량%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비율을 갖는 하나 이상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및 추가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공정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그러한 공정에 의해 수득 가능한 폴리우레탄 폼, 및 가구용 매트리스 또는 커버의 제조에서의, 또는 절연, 예를 들면 내연 기관과 같은 기관의 부근에서의 절연으로서의 그러한 폴리우레탄 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Provided herein is a process for producing viscoelastic polyurethane foams having a density of from 100 g/dm3 to 300 g/dm3, in which (a) polyisocyanate is mixed with (b) polymeric compounds having groups that are reactive toward isocyanates, (d) a catalyst, and (e) a blowing agent including water at an isocyanate index of from 50 to 95 to give a reaction mixture. The reaction mixture is placed in a mold and reacted to give the flexible polyurethane foam, wherein the polyisocyanate (a) is obtainable by mixing 4,4′-MDI and oligomers of propylene oxide having from 2 to 8 propylene oxide units. The polymeric compounds (b) include at least one polyalkylene oxide having a hydroxyl number of from 20 to 50 mg KOH/g derived from a trifunctional starter molecule and a proportion of ethylene oxide, based on the content of alkylene oxide, of from 0 to 10% by weigh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