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머 용융물의 신장 점도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노즐

본 발명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각기 일정 단면을 갖는 유입부(1)와 배출부(2) 사이에 전이부(3)를 갖는 유동 채널(flow channel)을 포함하며, 전이부는 두 개의 서로 대향하는 채널 벽들(6, 7)사이에서 유동 방향(8)으로 쌍곡선으로 테이퍼지는, 공정 중 폴리머 용융물의 신장 점도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노즐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측정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전이부(3)는 두 개의 쌍곡선 채널 벽들(6) 사이의 두 개의 채널 벽들(7)의 상호 거리가 유동의 방향(8)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유입-측 존(4)과, 유...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Hauptverfasser: LUGER HANS JURGEN, MIETHLINGER JURGEN, LOW BASELLI BERNHARD
Format: Patent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bestellen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발명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각기 일정 단면을 갖는 유입부(1)와 배출부(2) 사이에 전이부(3)를 갖는 유동 채널(flow channel)을 포함하며, 전이부는 두 개의 서로 대향하는 채널 벽들(6, 7)사이에서 유동 방향(8)으로 쌍곡선으로 테이퍼지는, 공정 중 폴리머 용융물의 신장 점도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노즐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측정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전이부(3)는 두 개의 쌍곡선 채널 벽들(6) 사이의 두 개의 채널 벽들(7)의 상호 거리가 유동의 방향(8)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유입-측 존(4)과, 유입-측 존에 인접하고 쌍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두 채널 벽들(6, 7)이 서로 평행하여 연장하는 배출-측 존(5)을 포함하며, 한편 그들 사이에 배열된 두 개의 채널 벽들(7)은 유동 방향(8)으로 쌍곡선으로 수렴하도록 제안된다. The invention relates to a measuring nozzle for determining the extensional viscosity of polymer melts during their processing, comprising a flow channel which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which has a transitional section (3) between an inlet section (1) and an outlet section (2) with respective constant cross-section, which transitional section tapers hyperbolically in the flow direction (8) between two mutually opposite channel walls (6 and 7). In order to provide advantageous measuring conditions it is proposed that the transitional section (3) comprises an inlet-side zone (4) in which the mutual distance of the two channel walls (7) between the two hyperbolic channel walls (6) decreases continuously in the direction of flow (8), and an outlet-side zone (5) which adjoins the inlet-side zone and in which two of the channel walls (6, 7) disposed opposite one another in pairs extend parallel to one another, while the two channel walls (7) arranged therebetween converge hyperbolically in the flow direction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