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QUAPORIN GENES OF POTATO HAVING ABIOTIC STRESS RESISTANCE AND USE THE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tato aquaporin genes resistant to abiotic stress and uses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potato-derived abiotic stress-resistant aquaporin proteins having amino acid seque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Q ID NO: 1 to SEQ ID NO: 5, genes encoding th...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Hauptverfasser: KO, EUN YOUNG, PARK, SE WON, JELLI VENKATESH, YU, JAE WOONG
Format: Patent
Sprache:eng ; 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bestellen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tato aquaporin genes resistant to abiotic stress and uses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potato-derived abiotic stress-resistant aquaporin proteins having amino acid seque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EQ ID NO: 1 to SEQ ID NO: 5, genes encoding the proteins, a recombinant plant expression vector including the genes, an abiotic stress-resistant plant transformed with the recombinant plant expression vect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plant transformed with the recombinant plant expression vector. The potato aquaporin proteins and genes encoding the same can be used as an important genetic source for searching for molecular mechanisms of stress resistance and nutrient intake in potatoes or producing a plant resistant to abiotic stress, and also can provide a potential target for controlling water use properties and the nutrient intake in the plant. 본 발명은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감자 아쿠아포린 유전자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감자 유래의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아쿠아포린 단백질, 상기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상기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식물 발현 벡터, 상기 재조합 식물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식물 및 상기 재조합 식물 발현 벡터를 이용한 형질전환 식물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자 아쿠아포린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감자에서 스트레스 저항성 및 영양물질 섭취의 분자 메커니즘을 조사하거나,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식물체를 제조하기 위한 중요한 유전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식물체 내에서의 물 이용 특성과 영양물질 섭취를 조절하기 위한 잠재적인 표적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