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 THERMAL CONDUCTIVE BOEHM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베마이트가 갖는 난연성이나 고충전성의 특성을 구비하고 또한 열전도성이 높아진 고열전도성 베마이트 및 고열전도성 베마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하기의 수학식 1로부터 도출되는 열전도율이 11.0W/m·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열전도성 베마이트. [수학식 1] 1-Vf=(λc-λf)/(λm-λf)(λm/λc)^(1/n) n=3/ψ (단, Vf: 베마이트의 체적 충전율, λc: 베마이트와 수지의 복합체의 열전도율(W/m·K), λf: 베마이트의 열전도율(W/m·K), λm: 수지의 열전도율(W/m·K), n: Hamilton과...
Gespeichert in: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Patent |
Sprache: | eng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bestellen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베마이트가 갖는 난연성이나 고충전성의 특성을 구비하고 또한 열전도성이 높아진 고열전도성 베마이트 및 고열전도성 베마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하기의 수학식 1로부터 도출되는 열전도율이 11.0W/m·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열전도성 베마이트. [수학식 1] 1-Vf=(λc-λf)/(λm-λf)(λm/λc)^(1/n) n=3/ψ (단, Vf: 베마이트의 체적 충전율, λc: 베마이트와 수지의 복합체의 열전도율(W/m·K), λf: 베마이트의 열전도율(W/m·K), λm: 수지의 열전도율(W/m·K), n: Hamilton과 Crosser가 제안한 필러 입자의 형상 인자, ψ: 베마이트 입자 체적과 동일한 체적을 갖는 구의 표면적을 실제의 입자 표면적으로 나눈 값, ^: 거듭제곱)
Provided are high thermal conductive boehmite,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ehmite such as flame retardancy and high filling and yet has an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igh thermal conductive boehmite. The high thermal conductive boehmite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rmal conductivity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Mathematical Formula 1 of 11.0 W/m·K or greater; 1 - Vf = »c - »f / »m - »f × »m / »c § 1 / n n = 3 / È (with the proviso that, Vf represents the volume filling ratio of boehmite, »c represents the thermal conductivity (W/m·K) of a boehmite-resin composite, »f represents the thermal conductivity (W/m·K) of boehmite, »m represents the thermal conductivity (W/m·K) of the resin, n represents the shape factor of filler particles proposed by Hamilton and Crosser, È represents a value calculated by dividing the surface area of a sphere that has the same volume of a boehmite particle volume by the surface area of an actual particle, and ^ represents exponentiatio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