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HANDPIE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handpiece. The hand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shaft; a tool holder; a power transmission casing; and a handle casing.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the hand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1. Verfasser: LEE JUNG GUN
Format: Patent
Sprache:eng ; 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bestellen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handpiece. The hand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shaft; a tool holder; a power transmission casing; and a handle casing.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the hand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nabling easy replacement and management for each element.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Handpiec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각 구성들간에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키고, 각 구성들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 분리되도록 이루어져, 효율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는, 전단부에는 편심축이 구비되고 후단부에는 종동기어가 구비된 동력전달샤프트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측면에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편심축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방향전환요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구가 끼워지는 공구끼움공이 형성된 공구홀더와; 내부에 상기 동력전달샤프트가 내재되는 내부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수용부의 전단부에는 상기 공구홀더가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지지홀이 형성된 동력전달케이싱과; 상기 동력전달케이싱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수단이 구비된 손잡이케이싱; 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는, 상기 편심축이 구비된 편심캠, 종동기어가 구비된 기어부싱, 상기 편심캠과 기어부싱을 상호 연결하는 회전축으로 상호 분리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편심캠과 기어부싱에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지는 수용홈과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호 결합되는 회전축 및 편심캠에는 제1결합공이 일치되게 형성되고, 상호 결합되는 회전축 및 기어부싱에는 제2결합공이 일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 및 제2결합공에는 고정핀이 결합되어, 상기 편심캠, 회전축, 기어부싱이 상호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심축에는 슬라이드베어링이 결합되어 편심축과 상기 방향전환요홈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편심캠과 공구홀더는 티타늄(Titanium)코팅 처리되거나, 또는 DLC코팅 처리되어, 상호 접하게 되는 편심캠의 편심축과 공구홀더의 방향전환요홈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켜, 내마모성(耐磨耗性)이 향상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는, 본 발명의 각 구성들간에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키고, 각 구성들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 분리되도록 이루어져,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비용절감 등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각 구성들에 대한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