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사 간 동료연대에 대한 개념분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동료연대의 개념을 정의하고 명확히 규명하기 위함이다. 방법: 간호사 간 동료연대 개념의 차원, 속성 및 정의를 확인하기 위해 혼종모형을 이용하였다. 이론적 단계에서는 간호학뿐만 아니라 근접 분야의 학문까지 포함한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선정된 20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현장작업 단계에서는 COVID-19 팬데믹 당시 감염병 전담병원에서 COVID-19에 감염된 환자를 돌본 9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결과: 이론적 단계에서 관찰된 동료...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21, 27(5), , pp.455-466
Hauptverfasser: 신나미(Shin, Nah-Mee), 공문연(Kong, Moon Yeo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동료연대의 개념을 정의하고 명확히 규명하기 위함이다. 방법: 간호사 간 동료연대 개념의 차원, 속성 및 정의를 확인하기 위해 혼종모형을 이용하였다. 이론적 단계에서는 간호학뿐만 아니라 근접 분야의 학문까지 포함한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선정된 20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현장작업 단계에서는 COVID-19 팬데믹 당시 감염병 전담병원에서 COVID-19에 감염된 환자를 돌본 9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결과: 이론적 단계에서 관찰된 동료연대의 차원은 이론적 단계에서도 일관되게 관찰되었지만, 속성의 경우는 현장작업 단계에서 새롭게 추가되었다. 최종분석 단계에서 간호사 간 동료연대의 개념은 3가지 차원과 9개의 속성이 도출되었다. ‘상호작용' 차원의 4개의 속성은 ‘자발적 지원', ‘상호존중', ‘열린 의사소통' 및 ‘선순환'이다. ‘동기부여' 차원의 2개의 속성은 ‘공동체 의식' 및 ‘소명감'이다. 마지막으로 ‘관계성' 차원의 3개의 속성은 ‘단결', ‘상호 동등한 관계' 및 ‘동료애'이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간호사들에게는 비교적 생소한 동료연대의 개념이 COVID-19 팬데믹이라는 국가적 위기상황의 임상현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관찰하고 그 개념을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fine and clarify the concept of colleague solidarity experienced by nur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A hybrid model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mensions, attributes, and definitions of the concept. In the theoretical phase, 20 articles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y including nursing and related disciplines were analyzed. For the fieldwork pha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nurses who took care of infected patients with COVID-19 at Infectious Diseases Specialized Hospital. Results: The dimensions identified were consistently observed in the field phase, however, more attributes were found newly from the fieldwork phase. In the final phase, the concept of colleague solidarity among the nurses was found to have three dimensions with nine attributes. The interaction dimension had four attributes as voluntary support, mutual respect, open communication, and virtuous circle. The motivation dimension had two attributes of sense of communion and calling. Lastly, the relationship dimension had three attributes of unity, mutually equal relationship, and comradeship.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observing how the concept of colleague solidarity, which is relatively unfamiliar to domestic nurses, appears in the clinical field during a national crisis and analyzing the concept.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9330
2288-4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