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금속 오염도 평가지표를 이용한 이어도 과학기지 인근 퇴적토의 오염도 평가
목적: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서남방에 위치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주변의 퇴적토에 포함된 중금속을 분석하여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주변에서 16개의 퇴적토 시료를 채취하였고 비교시료로 이어도 서남방 및 이어도와 제주도 사이의 지역을 선정하여 각각 2개와 3개의 퇴적토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들 시료는 해양오염공정시험법에 따라 중금속 함량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도출된 중금속 농도를 이용하여 퇴적토 오염도 산정을 하였다. 결과 및 토의:Ni을 제외한 모든 중금속 농도는 비오염으로 평가되었고, Ni의 경우...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ehan hwan'gyeong gonghag hoeji 2020, 42(3), , pp.131-141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서남방에 위치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주변의 퇴적토에 포함된 중금속을 분석하여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주변에서 16개의 퇴적토 시료를 채취하였고 비교시료로 이어도 서남방 및 이어도와 제주도 사이의 지역을 선정하여 각각 2개와 3개의 퇴적토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들 시료는 해양오염공정시험법에 따라 중금속 함량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도출된 중금속 농도를 이용하여 퇴적토 오염도 산정을 하였다.
결과 및 토의:Ni을 제외한 모든 중금속 농도는 비오염으로 평가되었고, Ni의 경우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국 환경청 기준에 의하면 6번, 9번, 15번, 22번 시료의 경우 심각한 오염으로 분류되었고, geoaccumulation index에 의하면 15번, 22번 시료는 Ni에 대해 약간 오염으로 분류되었다. Enrichment factor 값으로 분류하면 15번과 22번 시료의 경우 Ni 오염은 외부요인을 상당히 심각하게 받음으로 분류되었다. Potential ecological risk factor 값을 이용하면 모든 지역에 대해 대상 중금속들의 생태학적 위해성은 낮음으로 분류되었다. 6개 중금속 모두를 같이 고려한 mean PEL quotient 값은 최대 0.60으로 모든 지역에서 중금속이 독성을 유발할 확률이 21%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론:Cd, Cu, Cu, Pb, Zn에 의한 오염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Ni에 의한 오염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존 해양퇴적토 연구결과와 비교하면 이어도 지역의 Ni 농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는 해양과학기지 혹은 중국 양자강 유출수의 유입으로 오염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level by analyzing heavy metals in sediments near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located in southwestern Jeju Island.
Methods:Sixteen sediment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and two and thre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outhwestern region and between Ieodo and Jeju Island. These samples were used for heavy metal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marine pollution process test method, and contamination level of sediments was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heavy metal concentration.
Results and Discussion:All heavy metals except Ni were evaluated as non-contamination level, and Ni was found to have high pollution level. According to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guideline, samples 6, 9, 15, and 22 were classified as severe contamination, and according to the geoaccumulation index, samples 15 and 22 were classified as slightly contaminated for Ni. When classified by the Enrichment factor value, Ni contamination was categorized as moderately severe enrichment for samples 15 and 22. Using the potential ecological risk factor value, the ecological risks of the heavy metals in all samples were classified as low risk. The mean PEL quotient value for all six heavy metals in samples was a maximum of 0.60, indicating a 21% probability of toxicity for heavy metals in all samples.
Conclusions: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contamination by Cd, Cr, Cu, Pb, and Zn, but contamination by Ni was found to be a serious level.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the concentration of Ni in the Ieodo was |
---|---|
ISSN: | 1225-5025 2383-7810 |
DOI: | 10.4491/KSEE.2020.42.3.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