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 조기진통 에피소드의 경험이 있는 만삭분만 산모에 있어서 저체중출생아 분만과 관련된 인자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진통 에피소드를 겪은 산모가 만삭분만할 경우 발생되는 저체중출생아의 빈도 및 이와 연관된 인자들에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본원에서 2005년 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조기진통 에피소드로 입원한 적이 있는 단태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본원에서 분만한 총 249명의 산모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산모들은 분만 주수에 따라 조산분만군과 만삭분만군으로 대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하 였고, 만삭분만군내에서는 불량예후인자를 가진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을 나누어 관련 인자를...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2012, 55(05), 599, pp.293-299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진통 에피소드를 겪은 산모가 만삭분만할 경우 발생되는 저체중출생아의 빈도 및 이와 연관된 인자들에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본원에서 2005년 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조기진통 에피소드로 입원한 적이 있는 단태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본원에서 분만한 총 249명의 산모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산모들은 분만 주수에 따라 조산분만군과 만삭분만군으로 대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하 였고, 만삭분만군내에서는 불량예후인자를 가진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을 나누어 관련 인자를 찾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조기진통 에피소드로 입원병력이 있는 산모 중 만삭분만군에서 조산분만군에 비해 저체중출생아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19.6% vs.9.4%; P = 0.028). 만삭분만군내에서 저체중출생아를 분만하는 것과 관련된 인자로는 조기진통 입원 시 이른 임신 주수, 낮은 산모의 체질량지수, 높은 고감도 C-반응성 단백 농도가 나타났다. 결론 조기진통의 에피소드를 주소로 입원한 산모는 만삭분만 시 산모의 체질량지수, 입원 당시 임신 주수, 입원 당시 고감도 C-반응성 단백 농도가 저체중출생아의 분만과 관련이 있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and it`s relating factors of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for management of preterm labor. Methods In this study,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249 mothers who experienced the admission of preterm labor and delivered single live birth from January 2005 to May 2011 at our hospital. For our analyses, the mot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delivery age; preterm birth group and full term birth group. And full term birth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had poor prognostic factors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groups. Results In our cohort, there was high incidence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in full term birth group compared with preterm birth group signifi cantly (19.6% vs. 9.4%; P=0.028). And potential factors related to small for gestational age in full term birth group were early gestational age at 1st admission, low body mass index (BMI) in mothers and high highly sensitive C-reactive protein (hs-CRP) at 1st admission. Conclusion Gestational age at 1st admission, mother`s BMI and hs-CRP at admission were signifi cantly related to small for gestational age in full term birth who were hospitalized for management of preterm labor. |
---|---|
ISSN: | 2287-8572 2287-8580 |
DOI: | 10.5468/KJOG.2012.55.5.2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