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분지정맥폐쇄에서의 혈관신생에 대한 임상적 고찰
목적: 망막분지정맥폐쇄의 위치, 넓이와 병형에 따라 측부혈관 또는 신생혈관의 생성 조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망막분지정맥폐쇄로 진단받은 총 103명 109안을 대상으로 폐쇄부위의 위치 및 혈관신생 형태에 따라 각각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간의 허혈여부, 폐쇄부위의 크기, 시신경유두와의 거리 및 황반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초진시와 최종관찰시의 시력을 비교하였다. 결과: 혈관신생 형태에 따른 그룹간의 폐쇄부위의 크기, 시신경유두와의 거리 및 황반으로부터의 거리 등은 유의할 만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9, 50(1), , pp.61-68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망막분지정맥폐쇄의 위치, 넓이와 병형에 따라 측부혈관 또는 신생혈관의 생성 조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망막분지정맥폐쇄로 진단받은 총 103명 109안을 대상으로 폐쇄부위의 위치 및 혈관신생 형태에 따라 각각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간의 허혈여부, 폐쇄부위의 크기, 시신경유두와의 거리 및 황반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초진시와 최종관찰시의 시력을 비교하였다. 결과: 혈관신생 형태에 따른 그룹간의 폐쇄부위의 크기, 시신경유두와의 거리 및 황반으로부터의 거리 등은 유의할 만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측부혈관은 `일차분지폐쇄` 군, `일차분지황반침범`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발생율을 보였으며 허혈성인 경우와 레이저 치료를 받았을 경우에 발생율이 높았다. 시력에 있어 허혈성인 경우 측부혈관군에서 시력의 상승폭이 신생혈관군에 비해 높았으며 비허혈성의 경우에는 측부혈관과 신생혈관의 시력의 상승폭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형광안저촬영 소견에서 허혈성 양상을 보이고 일차분지에서 발생한 망막분지정맥폐쇄의 경우 조기에 레이저 치료를 시행한 경우에 측부혈관의 발생가능성이 높았으며 시력의 상승폭도 컸다.
Purpose: To study the development of collateral vessels and new vessels according to the types of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 Methods: One hundred and nine eyes of 103 patients with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were divided into 4 groups by anatomical position of blockage site and pattern of neovascularization. fluorescein angiography was used to examine perfusion/nonperfusion, size of obstruction site, distance between obstruction site and optic disc (or macula). We compared initial visual acuity and final visual acuity.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in size, between the obstruction site and the optic disc, between the obstruction site and macula. Collateral vessels occurred in major vessel obstruction (MVO) and major vessel and macula obstruction (MVMO) more than in macula obstruction (MO) and peripheral vessel obstruction (PV). Collateral vessels occurred 50 eyes in patients with macula edema and new vessels occurred 36 eyes in patients with macula edema. In collateral group, there was higher incidence of collateral vessels in ischemic type compared to nonischemic type and higher incidence of collateral vessels after laser photocoagulation. ischemic group with collateral vessels had better visual acuity prognosis than perfusion group with collateral vessels. Conclusions: collateral vessels in BRVO have a favorable effect on visual prognosis. If patients with collateral vessels shows ischemic type, macula edema and involvement of first order, early laser photocoagulation is recommended for visual prognosis.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1):61-68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