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성 안구손상 환자의 시력 예후 인자와 안외상점수의 예측도
목적: 개방성 안구 손상 환자의 최종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 안외상점수를 적용하여 최종시력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개방성 안구 손상으로 내원한 242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 분석하였다. 최종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를 조사하였고, 안외상점수로 최종시력에 대한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다변량 분석에서는 많은 나이와 상대적 구심성 동공운동장애, 나쁜 초기시력, 망막 박리가 동반되는 경우 최종시력이 유의하게 나빴다. 안외상점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2, 53(6), , pp.825-832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개방성 안구 손상 환자의 최종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 안외상점수를 적용하여 최종시력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개방성 안구 손상으로 내원한 242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 분석하였다. 최종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를 조사하였고, 안외상점수로 최종시력에 대한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다변량 분석에서는 많은 나이와 상대적 구심성 동공운동장애, 나쁜 초기시력, 망막 박리가 동반되는 경우 최종시력이 유의하게 나빴다. 안외상점수 범주 1-2에 속하는 환자가 최종시력이 나빴다. 범주 1 또는 2에 속하는 환자에서 최종시력이 0.02 미만일 양성예측도는 70.1%, 음성예측도는 89.8%였다. 결론: 나이가 많은 경우, 상대적 구심성 동공운동장애, 나쁜 초기시력, 망막 박리가 동반되는 경우와 안외상점수 범주 1 또는 2에 속한 경우가 시력 예후가 나빴다. 국내 환자에서 최종시력 예측에 기존의 안외상점수도 유용했다. 하지만, 본 연구 및 국내논문에서 확인된 예후인자와는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국내 실정에 맞는 시력 예측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of visual outcome in open globe injury an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an ocular trauma score (OTS) model of predictive value in open globe injuries in Korean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242 patients with open globe injury from 2000 to 2010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rognostic factors of visual outcome, positive predictive rate, and negative predictive rate were surveyed. Result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old age,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impaired initial visual acuity and retinal detachment were the worst predictive factors of vision survival. In OTS categories 1 and 2, worse final visual acuity was acquired, and positive predictive rate and negative predictive rate for assessment of final visual acuity less than 0.02 were 70.1% and 89.8%,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prognostic factors of open globe injury associated with impaired final visual acuity were old age,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worse initial visual acuity, retinal detachment and OTS categories 1 and 2. The OTS may have prognostic value in open globe injuries in Korean patients. However, identified prognostic factors of the present study did not entirely coincide with those of other Koreans or previous studies. Therefore, additional studies on the modified open globe injury as a prognostic model in Korean patients are needed. |
---|---|
ISSN: | 0378-6471 2092-9374 |
DOI: | 10.3341/jkos.2012.53.6.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