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무치악 치조제 관계의 평가와 인공치 선택: 편측 교차교합의 가철성 의치 수복 증례

After the teeth were extracted, maxillary and mandibular alveolar ridges show the opposite resorption pattern and as a result, the mandibular arch is enlarged than maxillary arch relatively. In this situation, we should evaluate both alveolar ridge relationship and arrange the artificial teeth prope...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aehan Chikwa Poch'ol Hakhoe chi 2019, 57(3), , pp.304-311
Hauptverfasser: 김정훈, 김종은, 박영범, 이근우, Kim, Jeong-Hoon, Kim, Jong-Eun, Park, Young-Bum, Lee, Keun-Woo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After the teeth were extracted, maxillary and mandibular alveolar ridges show the opposite resorption pattern and as a result, the mandibular arch is enlarged than maxillary arch relatively. In this situation, we should evaluate both alveolar ridge relationship and arrange the artificial teeth properly for stability of removable prosthesis. This case is a 77 years old male patient who wishes to make removable prosthesis and has atrophic alveolar ridge. By use of model scanner and CAD software, the angle between interalveolar crest line and occlusal plane was easily measured.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the artificial teeth are arranged in unilateral cross bite and after completion,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denture which showed proper stability, retention, support. 치아가 발거된 치조제는 수직, 수평적인 골흡수가 점진적으로 일어나게 되며 흡수의 양상은 수평적으로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하악궁이 상악궁에 비해 확장되는 경향을 보이며, 상악과 하악 치조제 간의 위치관계에 따라 적합한 인공치 배열 방법을 선택하여 의치의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 본 증례는 77세 남자환자로 기존에 사용하던 상악 총의치, 하악 국소의치의 재제작을 희망하였다. 상악과 하악 치조골의 흡수정도에서 차이를 보여 치조제 간의 위치관계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였고, 이를 위해 치과용 CAD 소프트웨어를 활용했다. 교합기에 부착된 주모형과 교합제를 스캔하여 디지털 스캔 데이터로 변환하고, CAD 소프트웨어 상에서 치조정간선의 법칙에 따라 상악과 하악 치조제간의 위치관계를 평가하여 우측 구치부를 편측 교차교합으로 배열하였다. 보철물 완성 후 주기적인 검진을 거친 결과 의치는 적절한 유지, 안정, 지지를 얻었고 환자 또한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의 완전 무치악, 하악의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치조제간의 위치관계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철치료의 임상 및 기공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ISSN:0301-2875
2005-3789
DOI:10.4047/jkap.2019.57.3.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