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형 봉합술을 이용한 관절경적 회전근개 건 봉합술 후 회전근개 건 복원 상태
목적: 회전근개 건 전층 파열에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술 후 복원된 회전근개 건의 회복 상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개 건 전층 파열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술을 시행받고 수술 후 복원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평균 9개월에 자기 공명 영상을 얻을 수 있었던 42명(남자: 14명, 여자: 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57세(44-75세)였으며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14개월(12-16개월)이었다. 추시 시 촬영한 자기공명 영상을 통해 Sugaya 분류에 따라 복원된 회전근개 건의 구조적 상태를...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11, 46(1), , pp.1-9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회전근개 건 전층 파열에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술 후 복원된 회전근개 건의 회복 상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개 건 전층 파열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술을 시행받고 수술 후 복원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평균 9개월에 자기 공명 영상을 얻을 수 있었던 42명(남자: 14명, 여자: 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57세(44-75세)였으며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14개월(12-16개월)이었다. 추시 시 촬영한 자기공명 영상을 통해 Sugaya 분류에 따라 복원된 회전근개 건의 구조적 상태를 분석하였다.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ore, The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 및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이용하여 임상적 및 기능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추시 시 자기 공명 영상을 촬영한 42예에서 Sugaya 분류 I형이 10예, II형이 28예, III형이 2예, IV형이 1예 및 V형이 1예로 관찰되었다. 대파열 이하의 파열크기를 보인 39예 중 수술 후 Sugaya 분류상 I형이 9예, II형이 27예로 대파열 이하에서 92.3%의 정상 복원율을 보였다. 광범위 파열에서는 3예 중 1예에서 V형의 재파열이 발생하여 재파열률은 33.3%였으며 전체 재파열률은 4.8%이었다. 또한 3단계 이하의 지방변성도를 보인 41예에서 수술 후 92.7%의 정상 복원율을 보였다. Sugaya 분류 V형인 재파열 1예를 제외한 41예에서 UCLA score는 수술 전 17.2에서 수술 후 31.4로, KSS score는 58.2에서 90.8로 향상되어 유의할만한 호전을 보였으며(p < 0.05) 각 형들에 따른 임상적인 차이 없이 모두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결론: 회전근개 건 전층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술을 이용한 회전근개 봉합술은 90.4%에서 구조적으로 정상 복원된 결과를 보였고, 임상적으로 향상된 결과를 보여 회전근개 건 전층 파열 시 사용할 수 있는 믿을 만한 수술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integrity after repairing the arthroscopic rotator cuff tendon using the suture-bridge technique in patients with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ndon tears.
Materials and Methods: Forty two (males: 14, females: 28) consecutive shoulders that were treated with this index procedure and that ha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aken at a mean of 9 months postoperatively were enrolled to estimate the postoperative intregrity of the repair. The mean age was 57 years (range: 44-75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4 months (range: 12-16 months). The follow up MRI was evaluated using the Sugaya classification for postoperative cuff integrity.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using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score, the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Significance was set at p values < 0.05Results: In the 42 cases with follow up MRI, the cuff integrity was graded as type I in 10 cases, type II in 28, type III in 2, type IV in 1 and type V in 1 case. Out of the 39 cases having a medium to large tear, the type I and II cuff integrity was 92.3% and two patients had type III cuff integrity postoperatively, while the rate of retear was 33.3% (1 of 3) in the cases with massive tear. The overall rate of retear was 4.8%. For the intact postoperative repair rate, the precent of cases with fatty degeneration of grade 3 or les |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