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적 인대 이완성을 동반한 소아에서 편평외반족의 수술적 치료

목적: 전신적 인대 이완성이 동반된 소아의 편평외반족은 일반적으로 유연성이고 무증상이지만 일부에서 중증의 변형 및 기능 장애를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적 인대 이완성 및 기능적 문제가 동반된 소아의 편평외반족에 대해 수술 후 임상적, 방사선, 족저 압력 검사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종골 연장술 또는 거골하 관절외 유합술을 받은 24명의 환자, 42예의 족부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 평균 연령은 10.5세(6-15.6세), 평균 추시 기간은 51개월(18-92개월)이었다. Oxford A...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10, 45(5), , pp.363-372
Hauptverfasser: 황보현(Bo-Hyun Hwang), 이기석(Ki-Seok Lee), 김현우(Hyun-Woo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전신적 인대 이완성이 동반된 소아의 편평외반족은 일반적으로 유연성이고 무증상이지만 일부에서 중증의 변형 및 기능 장애를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적 인대 이완성 및 기능적 문제가 동반된 소아의 편평외반족에 대해 수술 후 임상적, 방사선, 족저 압력 검사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종골 연장술 또는 거골하 관절외 유합술을 받은 24명의 환자, 42예의 족부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 평균 연령은 10.5세(6-15.6세), 평균 추시 기간은 51개월(18-92개월)이었다. Oxford Ankle Foot Questionnaire, AOFAS 점수 및 Mosca criteria를 이용한 임상적 평가, 족부 방사선 사진, 그리고 족저 압력 검사를 이용하여 수술 전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42예의 족부 중 3예를 제외하고 수술 후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으며, 일상 활동에 지대한 제한을 주는 경우는 없었다. 방사선 검사는 모든 평가 항목에서 수술 후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 족저 압력 검사상 relative vertical impulse와 peak pressure 모두 수술 후 내측은 감소하고 외측이 증가하는 소견을 보이며, 압력 중심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전신적 인대 이완성을 동반한 소아의 편평외반족에 대해 종골 연장술 또는 거골하 관절외 유합술은 단기-중기 추시상 동통의 감소, 기능적 장애의 개선 및 해부학적인 변형의 교정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골격 성장 및 이완성의 변화에 따른 결과 및 술식의 후기 합병증에 대해 장기적 추시가 필요하겠다. Purpose: Planovalgus deformity in children with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is usually asymptomatic, but it sometimes causes severe deformity and functional proble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ost-operatively, functional outcomes, plantar pressure and radiographic results of symptomatic planovalgus with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a total of 42 feet of 24 patients that had undergone a calcaneal lengthening osteotomy or an extra-articular subtalar arthrodesi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the index operation was 10.5 years (range, 6-15.6 years), and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51 months (range, 18-92 months). Patients were evaluated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using the Oxford Ankle Foot Questionnaire, AOFAS score, Mosca criteria, standard radiographs and dynamic pedobarographs. Results: Functional outcomes at the latest available follow-up were excellent except for three feet. No foot had a significant limitation affecting the patient’s daily activities. Both surgical treatments improved radiographic parameters. The parameters of dynamic pedobarographs, including the relative vertical impulse and the peak pressure, decreased for the medial aspect of the forefoot and midfoot, while they increased for the lateral aspect of the forefoot, midfoot and calcaneus after surgical treatment. The change in the center of pressure indicated a significant lateral shift in the weight-bearing surface of the foot. Conclusion: Calcaneal lengthening osteotomy and extra-articular subtalar arthrodesis appear to be effective means for pain relief and clinical improvement in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