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e-beam CT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후퇴술 후 상기도 변화에 관한 연구

악교정 수술은 안면골격형태 뿐만 아니라 상기도 공간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중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상기도 공간의 부피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이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중심으로 시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3차원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20명(남성 12, 여성 8)이었으며, 술 전 평균 1.8주(Baseline), 술 후 평균 2.3개월...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2012) 2010, 40(3), , pp.145-155
Hauptverfasser: 김나리(Na-Ri Kim), 김용일(Yong-Il Kim), 박수병(Soo-Byung Park), 황대석(Dae-Seok Hw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악교정 수술은 안면골격형태 뿐만 아니라 상기도 공간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중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상기도 공간의 부피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이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중심으로 시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3차원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20명(남성 12, 여성 8)이었으며, 술 전 평균 1.8주(Baseline), 술 후 평균 2.3개월(T1) 그리고 술 후 평균 1년(T2) 시기에 CBCT를 촬영하였다. 상기도 공간은 기준평면에 따라 비인두, 구인두, 하인두로 나누어 계측하고 Baseline, T1, T2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로 술후 2.3개월(T1)시기에 상기도 공간은 상당히 감소하였으며 (p < 0.001), 술 후 1년 후(T2)에도 감소된 양은 증가하지 않았다. 구인두는 상기도 공간 중 가장 많은 감소폭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하악골후퇴술은 상기도 공간을 장ㆍ단기간동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치교정지 2010;40(3):145-155) Objectiv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have been the main form of resource for assessing two dimensional anteroposterior airway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hree dimensional volumetric change in the upper airway space in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ho underwent mandibular setback surgery. Methods: Three dimensional cone-beam computed tomographs (CBCT) and their three dimensional reconstruction images were analyzed. The samples consisted of 20 adult patients (12 males and 8 females) who were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I and underwent mandibular setback surgery. CBCTs were taken at 3 stages - Baseline (1.8 weeks before surgery), T1 (2.3 months after surgery), and T2 (1 year after surgery). Pharyngeal airway was separated according to the reference planes and reconstructed into the nasopharynx, the oropharynx and the hypopharynx. Measurements at Baseline, T1, and T2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Results: The result showed the volume of the pharyngeal airway decreased significantly 2.3 months after surgery (p < 0.001) and the diminished airway did not recover after 1 year post-surgery. The oropharynx was the most decreased area.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ndibular setback surgery causes both short-term and long-term decrease in the upper airway space. (Korean J Orthod 2010;40(3):145-155) KCI Citation Count: 12
ISSN:2234-7518
2005-37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