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머리뼈모형 제작

머리뼈모형을 이용한 해부학 교육은 아주 오래 전부터 행해져 왔으며, 이는 실제 뼈를 이용하는 것보다편의성과 경제성에서 많은 도움이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되는 머리뼈모형은 대부분 서양인을 대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실제 한국인 머리뼈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골절이나 질병에 의한 변형이 없으며, 비교적 한국인 특징이 잘 드러난 머리뼈(남성, 50세)를 바탕으로 머리뼈모형을 제작하였다. 먼저 입방체 모양의 틀을 제작한 다음 실제 머리뼈를 넣고 실리콘을 부어서 경화시켰다. 실리콘을 절개한 후실리콘틀에서 실제 뼈를...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해부·생물인류학 2010, 23(4), , pp.229-234
Hauptverfasser: 윤관현(Kwan-Hyun Youn), 허경석(Kyung-Seok Hu), 송우철(Wu-Chul Song), 고기석(Ki-Seok Koh), 김희진(Hee-Jin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머리뼈모형을 이용한 해부학 교육은 아주 오래 전부터 행해져 왔으며, 이는 실제 뼈를 이용하는 것보다편의성과 경제성에서 많은 도움이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되는 머리뼈모형은 대부분 서양인을 대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실제 한국인 머리뼈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골절이나 질병에 의한 변형이 없으며, 비교적 한국인 특징이 잘 드러난 머리뼈(남성, 50세)를 바탕으로 머리뼈모형을 제작하였다. 먼저 입방체 모양의 틀을 제작한 다음 실제 머리뼈를 넣고 실리콘을 부어서 경화시켰다. 실리콘을 절개한 후실리콘틀에서 실제 뼈를 꺼낸 다음 그 자리에 레진을 부어 탈포와 경화과정을 거쳐 원형을 복제하였다. 실제 뼈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구조와 복제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함들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실제 뼈에서 훼손되었거나 일반적인 형태가 아니었던 구조는 코선반뼈, 치아와 이틀활, 목정맥구멍, 날개갈고리, 침대돌기 등으로 깎거나 덧붙여서 보완하였다. 복제하는 과정에서 생긴 결함은 주로 작은 구멍들과 절개선 사이에 생긴 흠집들이었으며 이를 바로 잡았다. 또한 붓돌기는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제보다 길이를 더 짧게 하였다. 개선된 머리뼈모형을 원형복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새로 복제하였다. 모형용 도료를 색칠하여 뼈의 느낌을 주었으며 이때봉합선의 색깔을 약간 강조하여 관찰이 쉽게 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한국인 머리뼈모형과 서양인 머리뼈모형을10개 항목에 걸쳐서 계측하였으며 9개 항목의 지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머리길이너비지수(length-breadth index), 머리길이높이지수(length-height index), 이마광대지수(frontozygomatic index), 코지수(nasal index) 등에서서양인 머리뼈모형과 큰 차이를 보였으며 기존에 연구된 한국인 머리뼈 평균에 가까웠다. 이처럼 실제 한국인 머리뼈를 이용한 모형은 서양인 모형에 비해 비교적 한국인 머리뼈의 특징이 잘 드러나있으며, 이는 해부학 교육용 모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natomy education using skull models has been widely performed for a long time and known that it is actually much convenient and economical. However, until now, most of skull models used in anatomy class are imported from the United State or Europe. Therefore, the models showed characteristics of Caucasian skulls, and had several differences from skulls of Koreans. Hence, we made a specific replica model of skull which have various Korean characteristics. We used Korean male skull (aged 50 years) without defect due to diseases or fractures. The silicon was poured over the skull in the cubic frame and hardened. We took out the skull from the silicon frame and poured the resin into the frame to duplicate the original skull. After defoamation and hardening the resin,the skull model was taken out of frame. And we modified defects which occurred during duplicated process and made detailed structures which unrevealed in real skull. After completion of the skull model, we measured ten items of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American skull models and compared 9 categories of index.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ngth-breadth index, length-height index, frontozygomatic index, nasal index between the Korean and American skull models; As aforementioned, the skull model, compared to Caucasian skull models, had numerous distinctive Korean skull features and this model can be used for anatomy education in South Korea. KCI Citation Count: 1
ISSN:2671-5651
2671-56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