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성인에서 심방 세동과 혈중 C-Reactive Protein 도와의 연관성
배경 및 목적: 최근 심방 세동의 발생 및 지속, 재발에 있어 전신적 염증상태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C-reactive protein이 이러한 염증 반응의 지표로서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본연구에서는 한국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심방 세동의 유무와 전신적 염증반응의 지표들 간의 연관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3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서울의 강북삼성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았던 50세 이상의 수진자 9,487명(남자 5,263명,여자 4,2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8.8±6.6세였다....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Korean circulation journal 2005, 35(4), , pp.309-314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배경 및 목적:
최근 심방 세동의 발생 및 지속, 재발에 있어 전신적 염증상태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C-reactive protein이 이러한 염증 반응의 지표로서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본연구에서는 한국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심방 세동의 유무와 전신적 염증반응의 지표들 간의 연관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3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서울의 강북삼성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았던 50세 이상의 수진자 9,487명(남자 5,263명,여자 4,2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8.8±6.6세였다. 건강 대조군과 심방 세동군으로 나누어 임상양상을 비교하였으며, hsCRP 방법으로 측정한 염증반응의 활성도로서 염증 반응의 정도와 심방 세동의 유무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건강 대조군과 심방 세동군 간의 비교에서 심방 세동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연령, 성별, 고혈압 및 뇌혈관 질환 유무등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관상동맥 질환 유무의 비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대사증후군의 유무도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대사증후군 인자들 각각의 비교에서 허리둘레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전체를 대상으로 연령, 체질량지수 및 대사증후군의 인자들 과 hsCRP , 말초혈액 백혈구수, HOMA index 간의 상관관계를 관찰한 결과,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다중 회귀분석으로 교란 변수들을 보정하였을때, hsCRP 및 말초 혈액 백혈구수, HOMA index 모두 심방세동의 유무를 예측할 수 없었다. hsCRP값에 따라 대상군을 사등분하여 가장 낮은 군에 대해 심방 세동의 위험도를비교하였을 때, hsCRP값이 높아질수록 교차비가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전신적 염증상태의 지표로서 hsCRP와 말초혈액 백혈구수는 심방 세동 유무를 예측할 수 없었다. 따라서 앞으로 심방 세동과 염증반응의 연관성 및 인과 관계를 규명할 수 있도록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Recent studies have implicated inflammation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occurrence, persistence and recurrence of atrial fibrillation and that C-reactive protein is a useful marker of the inflam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n serum CRP levels and the risk of atrial fibrillation. Subjects and Methods:This study was performed on 9,487 subjects (5,263 men and 4,224 women; mean age: 58.8± 6.6 years) who underwent medical check-ups at the Health Promotion Center in Kanbuk Samsung Hospital. 9,438 normal control subjects and 49 atrial fibrillation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CRP was measured using a highly sensitive Behring Nephelometer II. Results:When comparing the two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ender and the presence of hypertension and cerebrova-scular accident, and these are the previously known risk factors for atrial fibrillation. After adjustment was made level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risk for atrial fibrillation (p= 0.52). Conclusion:The inflammatory markers (CRP, WBC count) were not predictive of a higher risk for atrial fibrilation in the Korean population.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738-5520 1738-55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