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막종양의 형광안저촬영소견
맥락막모반,맥락막흑색종,전이성 맥락막종양,그리고 맥락막혈관종을 플루레신 형광안저촬영(F -형광안저촬영)과 인도사이아닌 그린 형광안저촬영(ICG 형광안저촬영)에서 나타나는 소견으로 감별진단하고자 한다. 맥락막모반으로 진단된 4명,맥락막흑색종으로 확진된 4명,2명의 전이맥락막종양,3명의 맥락막혈관종에서 F -형광안저촬영술과 ICG 형광안저촬영술을 실시하였다. 맥락막모반은 ICG 형광안저촬영상 지속적으로 저형광을 나타내었고 그 범위를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맥락막흑색종은 ICG 형광안저촬영상 초기에 저형광을 나타내고 후기에는 종양내 포...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1999-07, Vol.40 (7), p.1866-1876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맥락막모반,맥락막흑색종,전이성 맥락막종양,그리고 맥락막혈관종을 플루레신 형광안저촬영(F -형광안저촬영)과 인도사이아닌 그린 형광안저촬영(ICG 형광안저촬영)에서 나타나는 소견으로 감별진단하고자 한다. 맥락막모반으로 진단된 4명,맥락막흑색종으로 확진된 4명,2명의 전이맥락막종양,3명의 맥락막혈관종에서 F -형광안저촬영술과 ICG 형광안저촬영술을 실시하였다. 맥락막모반은 ICG 형광안저촬영상 지속적으로 저형광을 나타내었고 그 범위를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맥락막흑색종은 ICG 형광안저촬영상 초기에 저형광을 나타내고 후기에는 종양내 포함하는 혈관정도와 두께에 따라 저형광 또는 미약하나 균등한 형광 내지 과형광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전이성 맥락막종양에서는 ICG 형광안저촬영상 초기와 후기 모두에서 저형광으로 나타났고,F-형광안저촬영상 망막색소상피에서부터 점상누출이 뚜렷하고 종양주위에 망막감각층의 박리가 동반되어 있었다.맥락막혈관종에서는 ICG 형광안저촬영상 초기에 강한 과형광을 보이고 후기에 그 강도가 감소한 과형광으로 나타났다.저자는 F -형광안저촬영술과 I C G형광안저촬영술은 맥락막모반,맥락막흑색종과 전이맥락막종양,그
리고 맥락막혈관종을 감별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그리고 형광안저촬영술에서 나타나는 형광의 차이로 각 종양내 혈관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한안지 40:1866~1876,1999).
Fluorescein angiography(FAG)has been widely used in the diagnostic evaluation of choroidal tumors.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ICGA),which permits better visualization of choroidal vasculature than FAG,has been recently introduced into clinical practice.FAG and ICGA of 13 patients with choroidal tumors were assessed.These included 4 patients with choroidal nevus,4 with malignant melanoma,2 with metastatic choroidal tumor,and 3 with choroidal hemangioma. In choroidal nevus,ICGA showed persistent hypofluorescence with clear delineation of the lesion in the late phase. Characteristic fluorescein angiographic feature of choroidal melanoma was hyperfluorescence in the late phase. However,the fluorescence of melanoma varied from hypo-,to hyperfluores-cent in the late phase of the ICGA.In choroidal metastatic tumor,FAG showed the typical pinpoint hyperfluorescence in the early phase and the diffuse leakage with serous detachment in the late phase.ICGA showed the hypofluo-
rescence throughout the whole phases.In choroidal hemangioma,FAG and ICGA showed complete dye filling of the hemangioma with more denser hyperfluorescence in the early phase than in the late phase.In all patients, the lesion was better defined on the ICGA than on the FAG.This study suggests that ICGA combined with FAG may be useful in differentiating various choroidal tumors(J Korean Ophthalmol Soc 40:1866~1876,1999). |
---|---|
ISSN: | 0378-6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