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 식사의 탄수화물 에너지비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성 비교: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Purpose: It is reported that most senior people consume a high carbohydrate diet, while a high carbohydrate diet could contribute to the risk of chronic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a high carbohydrate diet can increas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in elderly Koreans. Method...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14, Vol.47 (4), p.247-257
Hauptverfasser: 박민선, 서윤석, 정영진, Park, Min Seon, Suh, Yoon Suk, Chung, Young-Jin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container_end_page 257
container_issue 4
container_start_page 247
container_title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container_volume 47
creator 박민선
서윤석
정영진
Park, Min Seon
Suh, Yoon Suk
Chung, Young-Jin
description Purpose: It is reported that most senior people consume a high carbohydrate diet, while a high carbohydrate diet could contribute to the risk of chronic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a high carbohydrate diet can increas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in elderly Koreans. Methods: Using the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out of a total of 3,917 individuals aged 65 and above, final 1,535 subjects were analyzed, divided by dietary carbohydrate energy ratio into two groups of moderate carbohydrate ratio (MCR, 55-70%) and excessive carbohydrate ratio (ECR, > 70%). All data were processed after the application of weighted value,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or logistic regression. Results: Eighty one percent of elderly Koreans consumed diets with carbohydrate energy ratio above 70%. The ECR group included more female subjects, rural residents, lower income, and lower education level. The ECR group showed lower waist circumference, lower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lower frequency of consumption of meat and egg, milk, and alcohol. The intake of energy and most nutrients, with the exception of fiber, potassium, vitamin A, and carotene, was lower in the ECR group compared to the MCR group. When analyzed by gender, the ECR group showed lower risk of dyslipidemia in male and obesity in female subjects, even though the ECR group showed low intake of some nutrients. No difference in the risk of hypertension, diabetes, and anemia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male or female subjects.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ed that a high carbohydrate diet would not be a cause to increas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in the elderly. Further study is needed in order to determine an appropriate carbohydrate energy ratio for elderly Koreans to reduc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우리나라 대다수 노인이 고 탄수화물 식사를 하고 있고, 고 탄수화물 식사가 만성질환의 위험과 관련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에서 탄수화물 에너지비 수준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성을 파악하고자 2007~2009년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3,917명을 대상으로 1일 에너지 섭취량이 500~5,000 kcal에 속하면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졸중, 심근경색 또는 협심증, 빈혈로 치료받는 자를 제외한 1,535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식사의 탄수화물 에너지비가 55~70%인 적정군과 70%를 초과한 과다군의 두 군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여 영양섭취상태와 만성질환의 위험 비율을 비교하였다. 모든 자료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가중치를 적용한 후 성, 거주지역, 소득수준, 교육수준 또는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하여 일반선형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만성질환 위험도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만성질환 위험요인의 판별기준치에 따라 위험군의 백분율과 교차비를 구하고 ${\alpha}$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1) 전체 대상자 중 탄수화물 과다군이 81.4%로 적정군에 비해 4배 이상 많았다. 과다군에 남자보다는 여자가 많았고, 읍면에 거주하고,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은
format Article
fullrecord <record><control><sourceid>kisti</sourceid><recordid>TN_cdi_kisti_ndsl_JAKO201428162228500</recordid><sourceformat>XML</sourceformat><sourcesystem>PC</sourcesystem><sourcerecordid>JAKO201428162228500</sourcerecordid><originalsourceid>FETCH-kisti_ndsl_JAKO2014281622285003</originalsourceid><addsrcrecordid>eNpjYuA0MrKw0DW2NLVkgbEtLMw4GHiLi7MMDAwMjSzMjM0MOBn63k6d82rrWoXXrTvezN2h8KZ77pumNW_mzlB429zypmPG25lTXq_Zo_Bm-oTXLR1vlje83tkCZCu8nrLh9dIdCq-X97xp2fhmecfbmTMU3sxpeTt9BpCvAFT0ausEKwUjAwPzOiBh-bq1RQFoyev1e15t3PJqw9Q3MxrfTJv4ZuEGoF0Kb-ZNeL24R-HN3C1vZq3kYWBNS8wpTuWF0twMqm6uIc4eutmZxSWZ8XkpxTnxXo7e_kYGhiZGFoZmRkCvmRoYGBOrDgCJrXq8</addsrcrecordid><sourcetype>Open Access Repository</sourcetype><iscdi>true</iscdi><recordtype>article</recordtype></control><display><type>article</type><title>한국 노인 식사의 탄수화물 에너지비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성 비교: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title><source>KoreaMed Open Access</source><creator>박민선 ; 서윤석 ; 정영진 ; Park, Min Seon ; Suh, Yoon Suk ; Chung, Young-Jin</creator><creatorcontrib>박민선 ; 서윤석 ; 정영진 ; Park, Min Seon ; Suh, Yoon Suk ; Chung, Young-Jin</creatorcontrib><description>Purpose: It is reported that most senior people consume a high carbohydrate diet, while a high carbohydrate diet could contribute to the risk of chronic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a high carbohydrate diet can increas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in elderly Koreans. Methods: Using the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out of a total of 3,917 individuals aged 65 and above, final 1,535 subjects were analyzed, divided by dietary carbohydrate energy ratio into two groups of moderate carbohydrate ratio (MCR, 55-70%) and excessive carbohydrate ratio (ECR, &gt; 70%). All data were processed after the application of weighted value,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or logistic regression. Results: Eighty one percent of elderly Koreans consumed diets with carbohydrate energy ratio above 70%. The ECR group included more female subjects, rural residents, lower income, and lower education level. The ECR group showed lower waist circumference, lower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lower frequency of consumption of meat and egg, milk, and alcohol. The intake of energy and most nutrients, with the exception of fiber, potassium, vitamin A, and carotene, was lower in the ECR group compared to the MCR group. When analyzed by gender, the ECR group showed lower risk of dyslipidemia in male and obesity in female subjects, even though the ECR group showed low intake of some nutrients. No difference in the risk of hypertension, diabetes, and anemia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male or female subjects.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ed that a high carbohydrate diet would not be a cause to increas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in the elderly. Further study is needed in order to determine an appropriate carbohydrate energy ratio for elderly Koreans to reduc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우리나라 대다수 노인이 고 탄수화물 식사를 하고 있고, 고 탄수화물 식사가 만성질환의 위험과 관련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에서 탄수화물 에너지비 수준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성을 파악하고자 2007~2009년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3,917명을 대상으로 1일 에너지 섭취량이 500~5,000 kcal에 속하면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졸중, 심근경색 또는 협심증, 빈혈로 치료받는 자를 제외한 1,535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식사의 탄수화물 에너지비가 55~70%인 적정군과 70%를 초과한 과다군의 두 군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여 영양섭취상태와 만성질환의 위험 비율을 비교하였다. 모든 자료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가중치를 적용한 후 성, 거주지역, 소득수준, 교육수준 또는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하여 일반선형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만성질환 위험도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만성질환 위험요인의 판별기준치에 따라 위험군의 백분율과 교차비를 구하고 ${\alpha}$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1) 전체 대상자 중 탄수화물 과다군이 81.4%로 적정군에 비해 4배 이상 많았다. 과다군에 남자보다는 여자가 많았고, 읍면에 거주하고,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이 많았다. 2) 체질량 지수에서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 허리둘레, 이완기 혈압이 과다군에 비해 적정군에서 높았다. 3) 탄수화물비 과다군에서 육류 및 난류, 우유 및 유제품, 주류의 섭취 빈도가 낮았고, 반면에 서류의 섭취 빈도는 높았다. 남자에서는 탄수화물 적정군에서 육류 및 난류의 섭취빈도가 높았고, 여자에서는 육류 및 난류 외에도, 우유 및 유제품, 스낵류, 해조류의 섭취 빈도가 적정군에서 높았다. 4)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에너지비는 과다군 79.87: 11.66: 8.46, 적정군 64.88: 16.18: 18.94로 두 군 간에 탄수화물비 외에도 단백질비와 지방비에 큰 차이가 있었고, 에너지 섭취량은 과다군의 1,492 kcal에 비해 적정군이 1,722 kcal로 높았다. 조섬유, 칼륨,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C섭취량은 두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나머지 영양소-단백질, 지방, 칼슘, 인, 철분, 레티놀,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수분-의 섭취량이 탄수화물 적정군에서 높았다. 5) 영양소적정섭취비 (NAR)와 영양밀도지수 (INQ) 역시 비타민 C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탄수화물 적정군이 높았다. 성별로 분석하였을 때에도 전체 대상자에서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특히 칼슘, 리보플라빈의 영양소적정섭취비와 영양밀도지수가 여자 탄수화물 과다군에서 매우 낮았다. 6) 탄수화물 적정군에서 과다군에 비해 여성은 복부비만의 위험이 1.719배, 남자는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이 2.094배 높았다. 이를 요약하면 탄수화물 과다군에서 동물성 식품의 섭취빈도가 낮고 에너지 및 다수 영양소의 섭취량이 낮아 영양부족의 우려가 있으나 빈혈 위험도에는 차이가 없었고, 남자에서는 이상지질혈증, 여자에서는 복부비만의 위험이 탄수화물 적정군에 비해 낮게 나타나서 탄수화물 과다군에서 만성질환의 위험이 높고 빈혈 위험이 높으리라는 연구 가설과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추후 이에 대한 확인과 함께, 노인 연령층을 일반 성인층에서 분리하여 만성질환 위험을 낮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노인의 적정 탄수화물 에너지비 설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description><identifier>ISSN: 2288-3886</identifier><identifier>EISSN: 2288-3959</identifier><language>kor</language><ispartof>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14, Vol.47 (4), p.247-257</ispartof><lds50>peer_reviewed</lds50><oa>free_for_read</oa><woscitedreferencessubscribed>false</woscitedreferencessubscribed></display><links><openurl>$$Topenurl_article</openurl><openurlfulltext>$$Topenurlfull_article</openurlfulltext><thumbnail>$$Tsyndetics_thumb_exl</thumbnail><link.rule.ids>230,314,776,780,881,4010</link.rule.ids></links><search><creatorcontrib>박민선</creatorcontrib><creatorcontrib>서윤석</creatorcontrib><creatorcontrib>정영진</creatorcontrib><creatorcontrib>Park, Min Seon</creatorcontrib><creatorcontrib>Suh, Yoon Suk</creatorcontrib><creatorcontrib>Chung, Young-Jin</creatorcontrib><title>한국 노인 식사의 탄수화물 에너지비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성 비교: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title><title>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title><addtitle>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addtitle><description>Purpose: It is reported that most senior people consume a high carbohydrate diet, while a high carbohydrate diet could contribute to the risk of chronic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a high carbohydrate diet can increas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in elderly Koreans. Methods: Using the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out of a total of 3,917 individuals aged 65 and above, final 1,535 subjects were analyzed, divided by dietary carbohydrate energy ratio into two groups of moderate carbohydrate ratio (MCR, 55-70%) and excessive carbohydrate ratio (ECR, &gt; 70%). All data were processed after the application of weighted value,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or logistic regression. Results: Eighty one percent of elderly Koreans consumed diets with carbohydrate energy ratio above 70%. The ECR group included more female subjects, rural residents, lower income, and lower education level. The ECR group showed lower waist circumference, lower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lower frequency of consumption of meat and egg, milk, and alcohol. The intake of energy and most nutrients, with the exception of fiber, potassium, vitamin A, and carotene, was lower in the ECR group compared to the MCR group. When analyzed by gender, the ECR group showed lower risk of dyslipidemia in male and obesity in female subjects, even though the ECR group showed low intake of some nutrients. No difference in the risk of hypertension, diabetes, and anemia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male or female subjects.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ed that a high carbohydrate diet would not be a cause to increas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in the elderly. Further study is needed in order to determine an appropriate carbohydrate energy ratio for elderly Koreans to reduc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우리나라 대다수 노인이 고 탄수화물 식사를 하고 있고, 고 탄수화물 식사가 만성질환의 위험과 관련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에서 탄수화물 에너지비 수준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성을 파악하고자 2007~2009년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3,917명을 대상으로 1일 에너지 섭취량이 500~5,000 kcal에 속하면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졸중, 심근경색 또는 협심증, 빈혈로 치료받는 자를 제외한 1,535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식사의 탄수화물 에너지비가 55~70%인 적정군과 70%를 초과한 과다군의 두 군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여 영양섭취상태와 만성질환의 위험 비율을 비교하였다. 모든 자료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가중치를 적용한 후 성, 거주지역, 소득수준, 교육수준 또는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하여 일반선형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만성질환 위험도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만성질환 위험요인의 판별기준치에 따라 위험군의 백분율과 교차비를 구하고 ${\alpha}$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1) 전체 대상자 중 탄수화물 과다군이 81.4%로 적정군에 비해 4배 이상 많았다. 과다군에 남자보다는 여자가 많았고, 읍면에 거주하고,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이 많았다. 2) 체질량 지수에서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 허리둘레, 이완기 혈압이 과다군에 비해 적정군에서 높았다. 3) 탄수화물비 과다군에서 육류 및 난류, 우유 및 유제품, 주류의 섭취 빈도가 낮았고, 반면에 서류의 섭취 빈도는 높았다. 남자에서는 탄수화물 적정군에서 육류 및 난류의 섭취빈도가 높았고, 여자에서는 육류 및 난류 외에도, 우유 및 유제품, 스낵류, 해조류의 섭취 빈도가 적정군에서 높았다. 4)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에너지비는 과다군 79.87: 11.66: 8.46, 적정군 64.88: 16.18: 18.94로 두 군 간에 탄수화물비 외에도 단백질비와 지방비에 큰 차이가 있었고, 에너지 섭취량은 과다군의 1,492 kcal에 비해 적정군이 1,722 kcal로 높았다. 조섬유, 칼륨,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C섭취량은 두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나머지 영양소-단백질, 지방, 칼슘, 인, 철분, 레티놀,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수분-의 섭취량이 탄수화물 적정군에서 높았다. 5) 영양소적정섭취비 (NAR)와 영양밀도지수 (INQ) 역시 비타민 C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탄수화물 적정군이 높았다. 성별로 분석하였을 때에도 전체 대상자에서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특히 칼슘, 리보플라빈의 영양소적정섭취비와 영양밀도지수가 여자 탄수화물 과다군에서 매우 낮았다. 6) 탄수화물 적정군에서 과다군에 비해 여성은 복부비만의 위험이 1.719배, 남자는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이 2.094배 높았다. 이를 요약하면 탄수화물 과다군에서 동물성 식품의 섭취빈도가 낮고 에너지 및 다수 영양소의 섭취량이 낮아 영양부족의 우려가 있으나 빈혈 위험도에는 차이가 없었고, 남자에서는 이상지질혈증, 여자에서는 복부비만의 위험이 탄수화물 적정군에 비해 낮게 나타나서 탄수화물 과다군에서 만성질환의 위험이 높고 빈혈 위험이 높으리라는 연구 가설과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추후 이에 대한 확인과 함께, 노인 연령층을 일반 성인층에서 분리하여 만성질환 위험을 낮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노인의 적정 탄수화물 에너지비 설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description><issn>2288-3886</issn><issn>2288-3959</issn><fulltext>true</fulltext><rsrctype>article</rsrctype><creationdate>2014</creationdate><recordtype>article</recordtype><sourceid>JDI</sourceid><recordid>eNpjYuA0MrKw0DW2NLVkgbEtLMw4GHiLi7MMDAwMjSzMjM0MOBn63k6d82rrWoXXrTvezN2h8KZ77pumNW_mzlB429zypmPG25lTXq_Zo_Bm-oTXLR1vlje83tkCZCu8nrLh9dIdCq-X97xp2fhmecfbmTMU3sxpeTt9BpCvAFT0ausEKwUjAwPzOiBh-bq1RQFoyev1e15t3PJqw9Q3MxrfTJv4ZuEGoF0Kb-ZNeL24R-HN3C1vZq3kYWBNS8wpTuWF0twMqm6uIc4eutmZxSWZ8XkpxTnxXo7e_kYGhiZGFoZmRkCvmRoYGBOrDgCJrXq8</recordid><startdate>2014</startdate><enddate>2014</enddate><creator>박민선</creator><creator>서윤석</creator><creator>정영진</creator><creator>Park, Min Seon</creator><creator>Suh, Yoon Suk</creator><creator>Chung, Young-Jin</creator><scope>JDI</scope></search><sort><creationdate>2014</creationdate><title>한국 노인 식사의 탄수화물 에너지비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성 비교: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title><author>박민선 ; 서윤석 ; 정영진 ; Park, Min Seon ; Suh, Yoon Suk ; Chung, Young-Jin</author></sort><facets><frbrtype>5</frbrtype><frbrgroupid>cdi_FETCH-kisti_ndsl_JAKO2014281622285003</frbrgroupid><rsrctype>articles</rsrctype><prefilter>articles</prefilter><language>kor</language><creationdate>2014</creationdate><toplevel>peer_reviewed</toplevel><toplevel>online_resources</toplevel><creatorcontrib>박민선</creatorcontrib><creatorcontrib>서윤석</creatorcontrib><creatorcontrib>정영진</creatorcontrib><creatorcontrib>Park, Min Seon</creatorcontrib><creatorcontrib>Suh, Yoon Suk</creatorcontrib><creatorcontrib>Chung, Young-Jin</creatorcontrib><collection>KoreaScience</collection><jtitle>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jtitle></facets><delivery><delcategory>Remote Search Resource</delcategory><fulltext>fulltext</fulltext></delivery><addata><au>박민선</au><au>서윤석</au><au>정영진</au><au>Park, Min Seon</au><au>Suh, Yoon Suk</au><au>Chung, Young-Jin</au><format>journal</format><genre>article</genre><ristype>JOUR</ristype><atitle>한국 노인 식사의 탄수화물 에너지비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성 비교: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atitle><jtitle>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jtitle><addtitle>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addtitle><date>2014</date><risdate>2014</risdate><volume>47</volume><issue>4</issue><spage>247</spage><epage>257</epage><pages>247-257</pages><issn>2288-3886</issn><eissn>2288-3959</eissn><abstract>Purpose: It is reported that most senior people consume a high carbohydrate diet, while a high carbohydrate diet could contribute to the risk of chronic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a high carbohydrate diet can increas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in elderly Koreans. Methods: Using the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out of a total of 3,917 individuals aged 65 and above, final 1,535 subjects were analyzed, divided by dietary carbohydrate energy ratio into two groups of moderate carbohydrate ratio (MCR, 55-70%) and excessive carbohydrate ratio (ECR, &gt; 70%). All data were processed after the application of weighted value,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or logistic regression. Results: Eighty one percent of elderly Koreans consumed diets with carbohydrate energy ratio above 70%. The ECR group included more female subjects, rural residents, lower income, and lower education level. The ECR group showed lower waist circumference, lower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lower frequency of consumption of meat and egg, milk, and alcohol. The intake of energy and most nutrients, with the exception of fiber, potassium, vitamin A, and carotene, was lower in the ECR group compared to the MCR group. When analyzed by gender, the ECR group showed lower risk of dyslipidemia in male and obesity in female subjects, even though the ECR group showed low intake of some nutrients. No difference in the risk of hypertension, diabetes, and anemia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male or female subjects.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ed that a high carbohydrate diet would not be a cause to increas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in the elderly. Further study is needed in order to determine an appropriate carbohydrate energy ratio for elderly Koreans to reduc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우리나라 대다수 노인이 고 탄수화물 식사를 하고 있고, 고 탄수화물 식사가 만성질환의 위험과 관련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에서 탄수화물 에너지비 수준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성을 파악하고자 2007~2009년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3,917명을 대상으로 1일 에너지 섭취량이 500~5,000 kcal에 속하면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졸중, 심근경색 또는 협심증, 빈혈로 치료받는 자를 제외한 1,535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식사의 탄수화물 에너지비가 55~70%인 적정군과 70%를 초과한 과다군의 두 군으로 대상자를 분류하여 영양섭취상태와 만성질환의 위험 비율을 비교하였다. 모든 자료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가중치를 적용한 후 성, 거주지역, 소득수준, 교육수준 또는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하여 일반선형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만성질환 위험도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용하여 만성질환 위험요인의 판별기준치에 따라 위험군의 백분율과 교차비를 구하고 ${\alpha}$ = 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1) 전체 대상자 중 탄수화물 과다군이 81.4%로 적정군에 비해 4배 이상 많았다. 과다군에 남자보다는 여자가 많았고, 읍면에 거주하고,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이 많았다. 2) 체질량 지수에서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 허리둘레, 이완기 혈압이 과다군에 비해 적정군에서 높았다. 3) 탄수화물비 과다군에서 육류 및 난류, 우유 및 유제품, 주류의 섭취 빈도가 낮았고, 반면에 서류의 섭취 빈도는 높았다. 남자에서는 탄수화물 적정군에서 육류 및 난류의 섭취빈도가 높았고, 여자에서는 육류 및 난류 외에도, 우유 및 유제품, 스낵류, 해조류의 섭취 빈도가 적정군에서 높았다. 4)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에너지비는 과다군 79.87: 11.66: 8.46, 적정군 64.88: 16.18: 18.94로 두 군 간에 탄수화물비 외에도 단백질비와 지방비에 큰 차이가 있었고, 에너지 섭취량은 과다군의 1,492 kcal에 비해 적정군이 1,722 kcal로 높았다. 조섬유, 칼륨,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C섭취량은 두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나머지 영양소-단백질, 지방, 칼슘, 인, 철분, 레티놀,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수분-의 섭취량이 탄수화물 적정군에서 높았다. 5) 영양소적정섭취비 (NAR)와 영양밀도지수 (INQ) 역시 비타민 C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탄수화물 적정군이 높았다. 성별로 분석하였을 때에도 전체 대상자에서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특히 칼슘, 리보플라빈의 영양소적정섭취비와 영양밀도지수가 여자 탄수화물 과다군에서 매우 낮았다. 6) 탄수화물 적정군에서 과다군에 비해 여성은 복부비만의 위험이 1.719배, 남자는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이 2.094배 높았다. 이를 요약하면 탄수화물 과다군에서 동물성 식품의 섭취빈도가 낮고 에너지 및 다수 영양소의 섭취량이 낮아 영양부족의 우려가 있으나 빈혈 위험도에는 차이가 없었고, 남자에서는 이상지질혈증, 여자에서는 복부비만의 위험이 탄수화물 적정군에 비해 낮게 나타나서 탄수화물 과다군에서 만성질환의 위험이 높고 빈혈 위험이 높으리라는 연구 가설과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추후 이에 대한 확인과 함께, 노인 연령층을 일반 성인층에서 분리하여 만성질환 위험을 낮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노인의 적정 탄수화물 에너지비 설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abstract><oa>free_for_read</oa></addata></record>
fulltext fulltext
identifier ISSN: 2288-3886
ispartof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14, Vol.47 (4), p.247-257
issn 2288-3886
2288-3959
language kor
recordid cdi_kisti_ndsl_JAKO201428162228500
source KoreaMed Open Access
title 한국 노인 식사의 탄수화물 에너지비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성 비교: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url https://sfx.bib-bvb.de/sfx_tum?ctx_ver=Z39.88-2004&ctx_enc=info:ofi/enc:UTF-8&ctx_tim=2025-02-12T18%3A33%3A21IST&url_ver=Z39.88-2004&url_ctx_fmt=infofi/fmt:kev:mtx:ctx&rfr_id=info:sid/primo.exlibrisgroup.com:primo3-Article-kisti&rft_val_fmt=info:ofi/fmt:kev:mtx: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5%9C%EA%B5%AD%20%EB%85%B8%EC%9D%B8%20%EC%8B%9D%EC%82%AC%EC%9D%98%20%ED%83%84%EC%88%98%ED%99%94%EB%AC%BC%20%EC%97%90%EB%84%88%EC%A7%80%EB%B9%84%EC%97%90%20%EB%94%B0%EB%A5%B8%20%EB%A7%8C%EC%84%B1%EC%A7%88%ED%99%98%20%EC%9C%84%ED%97%98%EC%84%B1%20%EB%B9%84%EA%B5%90:%202007~2009%EB%85%84%20%EA%B5%AD%EB%AF%BC%EA%B1%B4%EA%B0%95%EC%98%81%EC%96%91%EC%A1%B0%EC%82%AC%20%EC%9E%90%EB%A3%8C%20%EC%9D%B4%EC%9A%A9&rft.jtitle=Journal%20of%20nutrition%20and%20health&rft.au=%EB%B0%95%EB%AF%BC%EC%84%A0&rft.date=2014&rft.volume=47&rft.issue=4&rft.spage=247&rft.epage=257&rft.pages=247-257&rft.issn=2288-3886&rft.eissn=2288-3959&rft_id=info:doi/&rft_dat=%3Ckisti%3EJAKO201428162228500%3C/kisti%3E%3Curl%3E%3C/url%3E&disable_directlink=true&sfx.directlink=off&sfx.report_link=0&rft_id=info:oai/&rft_id=info:pmid/&rfr_iscdi=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