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식이 자아효능감과 질병에 대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 장애 인지 간의 관련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dietary self-efficacy and illness beliefs,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on 252 elderly people, aged 65 yrs and above, living in Daejeon...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Hanʼguk yongyang hakhoe chi 2012, Vol.45 (4), p.324-335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container_end_page | 335 |
---|---|
container_issue | 4 |
container_start_page | 324 |
container_title | Hanʼguk yongyang hakhoe chi |
container_volume | 45 |
creator | 서윤석(Suh, Yoonsuk) 석윤희(Seok, Yun-Hee) 정영진(Chung, Young-Jin) |
descrip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dietary self-efficacy and illness beliefs,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on 252 elderly people, aged 65 yrs and above, liv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Jecheon city, Chungbuk from March 21 to March 30, 2011. Dietary self-efficacy of three factors (resisting relapse, reducing salt and behavioral skills),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accurate and inaccurate illness beliefs were measured by 5 or 4 point Likert scale. With the increasing education level of the elderly, dietary self-efficacy, and accurate illness belief score increased and perceived barrier score decreased. Perceived benefits score was higher in the subject living alone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siblings or spouses. Among three factors of dietary self-efficacy, reducing salt was scored highest and behavioral skills scored lowest in the elderly. Recording meal diary and reading labels for salt content in the items of behavioral skills showed lower score than other items. 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enefits were more scored than in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arriers respectively in the subjects. The subjects with higher accurate illness beliefs, lower inaccurate illness beliefs, higher perceived benefits, and lower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showed higher dietary self-efficacy. In summary, 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enefit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etary self-efficacy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whereas in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arriers are negatively correlated. 본 연구는 노인들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으로의 식행동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식이 자아효능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건강신념모델의 구성 요소 중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 인지와 식이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2011년 3월 21일부터 3월 30일까지 대전시와 제천시에 사는 65세 이상 노인 252명 (남자 42.5%, 여자 57.5%)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이 자아효능감은 나트륨 과다 섭취 재발방지 (특정 상황에서의 통제력),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일반적 행동 (음식 선택과 소금 사용), 적극적 행동 (영양표시 확인, 외식시 소금 감량 요구, 자기강화)의 3개 요인에 대해 각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의 2개 요인의 각 7개 문항,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 인지는 각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4점 척도의 질병에 대한 신념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식이 자아효능감 3개 요인의 평균점수의 비교를 위해 일원변량 분석 방법을,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인지의 평균점수 비교에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각 항목 간의 상관분석은 스피어만 상관계수로 구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분포에서 70세 이상 노인이 77%이었다.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가 48.4%이었고, 가족형태는 배우자와 함께 사는 경우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홀로 사는 노인은 20%이었다. 조 |
format | Article |
fullrecord | <record><control><sourceid>nurimedia_kisti</sourceid><recordid>TN_cdi_kisti_ndsl_JAKO201227942002475</recordid><sourceformat>XML</sourceformat><sourcesystem>PC</sourcesystem><nurid>NODE01940854</nurid><sourcerecordid>NODE01940854</sourcerecordid><originalsourceid>FETCH-LOGICAL-k604-4c255acf2912e50706c62c00ae9ccf46bbb8cbd2675d4e6f8406a446ad4bf1573</originalsourceid><addsrcrecordid>eNpFkE9LAlEUxYcoyKzv8DbtGnjz5r03uhSzv5Ib98P8hUmTcGrRTmKEsqBpYVnMmBtxNkGhkIs-ke_6HRpRaHXv5fzOOXDXpAzBmMmaQpR1KYNVrsmccnVT2vL9c4w5pYxlpEi0pxBP4TWEIELitjfvTMUwQRB8wk-CZl-h-LiHOEAQBfNuhOAhhniCoB9CN5i_J6IzTJnZ-BfB6E6Mn9MgJB5bS3Qg2uHewjJ_uRdPbxD3UGqGQYgWlaNWqvWH0B2szrQtWDCzSUsMEgi-t6UN16j7zs5qZqXqQalaPJLLlcPjYqEs1zimMrUIY4blkrxCHIY1zC1OLIwNJ29ZLuWmaeYs0yZcYzZ1uJujmBuUcsOmpqswTc1Ku8vYmudfeXrD9uv6SeG0QrBCiJan6R8J1dg_17hueheO7Rn6ZboYzRv9rLJfwkqe4hyj6h9Mn53e</addsrcrecordid><sourcetype>Open Access Repository</sourcetype><iscdi>true</iscdi><recordtype>article</recordtype></control><display><type>article</type><title>노인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식이 자아효능감과 질병에 대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 장애 인지 간의 관련성</title><source>KoreaMed Synapse</source><source>KoreaMed Open Access</source><creator>서윤석(Suh, Yoonsuk) ; 석윤희(Seok, Yun-Hee) ; 정영진(Chung, Young-Jin)</creator><creatorcontrib>서윤석(Suh, Yoonsuk) ; 석윤희(Seok, Yun-Hee) ; 정영진(Chung, Young-Jin)</creatorcontrib><description>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dietary self-efficacy and illness beliefs,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on 252 elderly people, aged 65 yrs and above, liv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Jecheon city, Chungbuk from March 21 to March 30, 2011. Dietary self-efficacy of three factors (resisting relapse, reducing salt and behavioral skills),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accurate and inaccurate illness beliefs were measured by 5 or 4 point Likert scale. With the increasing education level of the elderly, dietary self-efficacy, and accurate illness belief score increased and perceived barrier score decreased. Perceived benefits score was higher in the subject living alone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siblings or spouses. Among three factors of dietary self-efficacy, reducing salt was scored highest and behavioral skills scored lowest in the elderly. Recording meal diary and reading labels for salt content in the items of behavioral skills showed lower score than other items. 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enefits were more scored than in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arriers respectively in the subjects. The subjects with higher accurate illness beliefs, lower inaccurate illness beliefs, higher perceived benefits, and lower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showed higher dietary self-efficacy. In summary, 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enefit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etary self-efficacy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whereas in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arriers are negatively correlated. 본 연구는 노인들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으로의 식행동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식이 자아효능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건강신념모델의 구성 요소 중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 인지와 식이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2011년 3월 21일부터 3월 30일까지 대전시와 제천시에 사는 65세 이상 노인 252명 (남자 42.5%, 여자 57.5%)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이 자아효능감은 나트륨 과다 섭취 재발방지 (특정 상황에서의 통제력),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일반적 행동 (음식 선택과 소금 사용), 적극적 행동 (영양표시 확인, 외식시 소금 감량 요구, 자기강화)의 3개 요인에 대해 각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의 2개 요인의 각 7개 문항,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 인지는 각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4점 척도의 질병에 대한 신념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식이 자아효능감 3개 요인의 평균점수의 비교를 위해 일원변량 분석 방법을,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인지의 평균점수 비교에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각 항목 간의 상관분석은 스피어만 상관계수로 구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분포에서 70세 이상 노인이 77%이었다.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가 48.4%이었고, 가족형태는 배우자와 함께 사는 경우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홀로 사는 노인은 20%이었다. 조사대상자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높았고, 식행동의 장애 인지 점수는 낮았다 (p < 0.01). 식행동의 이점 인지 점수가 홀로 사는 노인에서 자녀나 배우자와 함께 사는 노인에 비해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3개 요인별 식이 자아효능감에서는 나트륨 과다 섭취 감량을 위한 일반적 행동요인 점수가 높았고, 적극적 행동요인 점수가 낮았으며, 적극적 행동요인 중에서도 식사일기 쓰기나 영양표시 읽기 항목이 가장 낮았다 (p < 0.001). 3)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그릇된 신념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의 이점 인지 점수가 장애 인지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p < 0.001). 4)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높거나, 그릇된 신념이 낮거나,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높거나, 식행동의 장애 인지가 낮은 군에서 총 식이 자아효능감이 높았다 (p < 0.001). 5)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신념 문항 중에서 올바른 신념 문항 7가지는 총 식이자아효능감과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릇된 신념 7개 문항 중 3개 문항이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6)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의 이점 인지에 대한 문항 5가지는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장애 인지에 대한 문항 5개 중 3개 문항은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7) 조사대상자의 요인별 식이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에서는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나트륨 섭취 감량 행동을 위한 식이 자아효능감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식행동의 장애 인지가 나트륨 재발방지 식이 자아효능감과 높은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부터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높고 장애 인지가 낮을 때 식이 자아효능감이 높게 나타났고, 노인의 일반</description><identifier>ISSN: 0367-6463</identifier><identifier>EISSN: 2005-7121</identifier><language>kor</language><publisher>한국영양학회</publisher><ispartof>Hanʼguk yongyang hakhoe chi, 2012, Vol.45 (4), p.324-335</ispartof><oa>free_for_read</oa><woscitedreferencessubscribed>false</woscitedreferencessubscribed></display><links><openurl>$$Topenurl_article</openurl><openurlfulltext>$$Topenurlfull_article</openurlfulltext><thumbnail>$$Tsyndetics_thumb_exl</thumbnail><link.rule.ids>230,314,776,780,881,4010</link.rule.ids></links><search><creatorcontrib>서윤석(Suh, Yoonsuk)</creatorcontrib><creatorcontrib>석윤희(Seok, Yun-Hee)</creatorcontrib><creatorcontrib>정영진(Chung, Young-Jin)</creatorcontrib><title>노인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식이 자아효능감과 질병에 대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 장애 인지 간의 관련성</title><title>Hanʼguk yongyang hakhoe chi</title><addtitle>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addtitle><description>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dietary self-efficacy and illness beliefs,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on 252 elderly people, aged 65 yrs and above, liv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Jecheon city, Chungbuk from March 21 to March 30, 2011. Dietary self-efficacy of three factors (resisting relapse, reducing salt and behavioral skills),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accurate and inaccurate illness beliefs were measured by 5 or 4 point Likert scale. With the increasing education level of the elderly, dietary self-efficacy, and accurate illness belief score increased and perceived barrier score decreased. Perceived benefits score was higher in the subject living alone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siblings or spouses. Among three factors of dietary self-efficacy, reducing salt was scored highest and behavioral skills scored lowest in the elderly. Recording meal diary and reading labels for salt content in the items of behavioral skills showed lower score than other items. 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enefits were more scored than in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arriers respectively in the subjects. The subjects with higher accurate illness beliefs, lower inaccurate illness beliefs, higher perceived benefits, and lower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showed higher dietary self-efficacy. In summary, 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enefit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etary self-efficacy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whereas in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arriers are negatively correlated. 본 연구는 노인들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으로의 식행동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식이 자아효능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건강신념모델의 구성 요소 중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 인지와 식이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2011년 3월 21일부터 3월 30일까지 대전시와 제천시에 사는 65세 이상 노인 252명 (남자 42.5%, 여자 57.5%)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이 자아효능감은 나트륨 과다 섭취 재발방지 (특정 상황에서의 통제력),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일반적 행동 (음식 선택과 소금 사용), 적극적 행동 (영양표시 확인, 외식시 소금 감량 요구, 자기강화)의 3개 요인에 대해 각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의 2개 요인의 각 7개 문항,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 인지는 각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4점 척도의 질병에 대한 신념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식이 자아효능감 3개 요인의 평균점수의 비교를 위해 일원변량 분석 방법을,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인지의 평균점수 비교에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각 항목 간의 상관분석은 스피어만 상관계수로 구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분포에서 70세 이상 노인이 77%이었다.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가 48.4%이었고, 가족형태는 배우자와 함께 사는 경우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홀로 사는 노인은 20%이었다. 조사대상자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높았고, 식행동의 장애 인지 점수는 낮았다 (p < 0.01). 식행동의 이점 인지 점수가 홀로 사는 노인에서 자녀나 배우자와 함께 사는 노인에 비해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3개 요인별 식이 자아효능감에서는 나트륨 과다 섭취 감량을 위한 일반적 행동요인 점수가 높았고, 적극적 행동요인 점수가 낮았으며, 적극적 행동요인 중에서도 식사일기 쓰기나 영양표시 읽기 항목이 가장 낮았다 (p < 0.001). 3)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그릇된 신념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의 이점 인지 점수가 장애 인지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p < 0.001). 4)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높거나, 그릇된 신념이 낮거나,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높거나, 식행동의 장애 인지가 낮은 군에서 총 식이 자아효능감이 높았다 (p < 0.001). 5)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신념 문항 중에서 올바른 신념 문항 7가지는 총 식이자아효능감과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릇된 신념 7개 문항 중 3개 문항이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6)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의 이점 인지에 대한 문항 5가지는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장애 인지에 대한 문항 5개 중 3개 문항은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7) 조사대상자의 요인별 식이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에서는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나트륨 섭취 감량 행동을 위한 식이 자아효능감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식행동의 장애 인지가 나트륨 재발방지 식이 자아효능감과 높은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부터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높고 장애 인지가 낮을 때 식이 자아효능감이 높게 나타났고, 노인의 일반</description><issn>0367-6463</issn><issn>2005-7121</issn><fulltext>true</fulltext><rsrctype>article</rsrctype><creationdate>2012</creationdate><recordtype>article</recordtype><sourceid>JDI</sourceid><recordid>eNpFkE9LAlEUxYcoyKzv8DbtGnjz5r03uhSzv5Ib98P8hUmTcGrRTmKEsqBpYVnMmBtxNkGhkIs-ke_6HRpRaHXv5fzOOXDXpAzBmMmaQpR1KYNVrsmccnVT2vL9c4w5pYxlpEi0pxBP4TWEIELitjfvTMUwQRB8wk-CZl-h-LiHOEAQBfNuhOAhhniCoB9CN5i_J6IzTJnZ-BfB6E6Mn9MgJB5bS3Qg2uHewjJ_uRdPbxD3UGqGQYgWlaNWqvWH0B2szrQtWDCzSUsMEgi-t6UN16j7zs5qZqXqQalaPJLLlcPjYqEs1zimMrUIY4blkrxCHIY1zC1OLIwNJ29ZLuWmaeYs0yZcYzZ1uJujmBuUcsOmpqswTc1Ku8vYmudfeXrD9uv6SeG0QrBCiJan6R8J1dg_17hueheO7Rn6ZboYzRv9rLJfwkqe4hyj6h9Mn53e</recordid><startdate>2012</startdate><enddate>2012</enddate><creator>서윤석(Suh, Yoonsuk)</creator><creator>석윤희(Seok, Yun-Hee)</creator><creator>정영진(Chung, Young-Jin)</creator><general>한국영양학회</general><scope>DBRKI</scope><scope>TDB</scope><scope>JDI</scope></search><sort><creationdate>2012</creationdate><title>노인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식이 자아효능감과 질병에 대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 장애 인지 간의 관련성</title><author>서윤석(Suh, Yoonsuk) ; 석윤희(Seok, Yun-Hee) ; 정영진(Chung, Young-Jin)</author></sort><facets><frbrtype>5</frbrtype><frbrgroupid>cdi_FETCH-LOGICAL-k604-4c255acf2912e50706c62c00ae9ccf46bbb8cbd2675d4e6f8406a446ad4bf1573</frbrgroupid><rsrctype>articles</rsrctype><prefilter>articles</prefilter><language>kor</language><creationdate>2012</creationdate><toplevel>online_resources</toplevel><creatorcontrib>서윤석(Suh, Yoonsuk)</creatorcontrib><creatorcontrib>석윤희(Seok, Yun-Hee)</creatorcontrib><creatorcontrib>정영진(Chung, Young-Jin)</creatorcontrib><collection>DBPIA - 디비피아</collection><collection>DBPIA</collection><collection>KoreaScience</collection><jtitle>Hanʼguk yongyang hakhoe chi</jtitle></facets><delivery><delcategory>Remote Search Resource</delcategory><fulltext>fulltext</fulltext></delivery><addata><au>서윤석(Suh, Yoonsuk)</au><au>석윤희(Seok, Yun-Hee)</au><au>정영진(Chung, Young-Jin)</au><format>journal</format><genre>article</genre><ristype>JOUR</ristype><atitle>노인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식이 자아효능감과 질병에 대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 장애 인지 간의 관련성</atitle><jtitle>Hanʼguk yongyang hakhoe chi</jtitle><addtitle>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addtitle><date>2012</date><risdate>2012</risdate><volume>45</volume><issue>4</issue><spage>324</spage><epage>335</epage><pages>324-335</pages><issn>0367-6463</issn><eissn>2005-7121</eiss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dietary self-efficacy and illness beliefs,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on 252 elderly people, aged 65 yrs and above, liv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Jecheon city, Chungbuk from March 21 to March 30, 2011. Dietary self-efficacy of three factors (resisting relapse, reducing salt and behavioral skills),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accurate and inaccurate illness beliefs were measured by 5 or 4 point Likert scale. With the increasing education level of the elderly, dietary self-efficacy, and accurate illness belief score increased and perceived barrier score decreased. Perceived benefits score was higher in the subject living alone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siblings or spouses. Among three factors of dietary self-efficacy, reducing salt was scored highest and behavioral skills scored lowest in the elderly. Recording meal diary and reading labels for salt content in the items of behavioral skills showed lower score than other items. 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enefits were more scored than in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arriers respectively in the subjects. The subjects with higher accurate illness beliefs, lower inaccurate illness beliefs, higher perceived benefits, and lower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showed higher dietary self-efficacy. In summary, 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enefit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etary self-efficacy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whereas inaccurate illness beliefs and perceived barriers are negatively correlated. 본 연구는 노인들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으로의 식행동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식이 자아효능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건강신념모델의 구성 요소 중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 인지와 식이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2011년 3월 21일부터 3월 30일까지 대전시와 제천시에 사는 65세 이상 노인 252명 (남자 42.5%, 여자 57.5%)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이 자아효능감은 나트륨 과다 섭취 재발방지 (특정 상황에서의 통제력),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일반적 행동 (음식 선택과 소금 사용), 적극적 행동 (영양표시 확인, 외식시 소금 감량 요구, 자기강화)의 3개 요인에 대해 각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의 2개 요인의 각 7개 문항,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 인지는 각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4점 척도의 질병에 대한 신념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식이 자아효능감 3개 요인의 평균점수의 비교를 위해 일원변량 분석 방법을,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그릇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와 장애인지의 평균점수 비교에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각 항목 간의 상관분석은 스피어만 상관계수로 구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분포에서 70세 이상 노인이 77%이었다.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가 48.4%이었고, 가족형태는 배우자와 함께 사는 경우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홀로 사는 노인은 20%이었다. 조사대상자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높았고, 식행동의 장애 인지 점수는 낮았다 (p < 0.01). 식행동의 이점 인지 점수가 홀로 사는 노인에서 자녀나 배우자와 함께 사는 노인에 비해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3개 요인별 식이 자아효능감에서는 나트륨 과다 섭취 감량을 위한 일반적 행동요인 점수가 높았고, 적극적 행동요인 점수가 낮았으며, 적극적 행동요인 중에서도 식사일기 쓰기나 영양표시 읽기 항목이 가장 낮았다 (p < 0.001). 3)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그릇된 신념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의 이점 인지 점수가 장애 인지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p < 0.001). 4)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이 높거나, 그릇된 신념이 낮거나,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높거나, 식행동의 장애 인지가 낮은 군에서 총 식이 자아효능감이 높았다 (p < 0.001). 5) 조사대상자의 질병에 대한 신념 문항 중에서 올바른 신념 문항 7가지는 총 식이자아효능감과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릇된 신념 7개 문항 중 3개 문항이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6)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의 이점 인지에 대한 문항 5가지는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장애 인지에 대한 문항 5개 중 3개 문항은 총 식이 자아효능감과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7) 조사대상자의 요인별 식이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에서는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나트륨 섭취 감량 행동을 위한 식이 자아효능감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식행동의 장애 인지가 나트륨 재발방지 식이 자아효능감과 높은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부터 질병에 대한 올바른 신념과 식행동의 이점 인지가 높고 장애 인지가 낮을 때 식이 자아효능감이 높게 나타났고, 노인의 일반</abstract><pub>한국영양학회</pub><tpages>12</tpages><oa>free_for_read</oa></addata></record> |
fulltext | fulltext |
identifier | ISSN: 0367-6463 |
ispartof | Hanʼguk yongyang hakhoe chi, 2012, Vol.45 (4), p.324-335 |
issn | 0367-6463 2005-7121 |
language | kor |
recordid | cdi_kisti_ndsl_JAKO201227942002475 |
source | KoreaMed Synapse; KoreaMed Open Access |
title | 노인에서 나트륨 섭취 감량을 위한 식이 자아효능감과 질병에 대한 신념, 식행동의 이점 인지, 장애 인지 간의 관련성 |
url | https://sfx.bib-bvb.de/sfx_tum?ctx_ver=Z39.88-2004&ctx_enc=info:ofi/enc:UTF-8&ctx_tim=2025-02-12T18%3A36%3A36IST&url_ver=Z39.88-2004&url_ctx_fmt=infofi/fmt:kev:mtx:ctx&rfr_id=info:sid/primo.exlibrisgroup.com:primo3-Article-nurimedia_kisti&rft_val_fmt=info:ofi/fmt:kev:mtx: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5%B8%EC%9D%B8%EC%97%90%EC%84%9C%20%EB%82%98%ED%8A%B8%EB%A5%A8%20%EC%84%AD%EC%B7%A8%20%EA%B0%90%EB%9F%89%EC%9D%84%20%EC%9C%84%ED%95%9C%20%EC%8B%9D%EC%9D%B4%20%EC%9E%90%EC%95%84%ED%9A%A8%EB%8A%A5%EA%B0%90%EA%B3%BC%20%EC%A7%88%EB%B3%91%EC%97%90%20%EB%8C%80%ED%95%9C%20%EC%8B%A0%EB%85%90,%20%EC%8B%9D%ED%96%89%EB%8F%99%EC%9D%98%20%EC%9D%B4%EC%A0%90%20%EC%9D%B8%EC%A7%80,%20%EC%9E%A5%EC%95%A0%20%EC%9D%B8%EC%A7%80%20%EA%B0%84%EC%9D%98%20%EA%B4%80%EB%A0%A8%EC%84%B1&rft.jtitle=Han%CA%BCguk%20yongyang%20hakhoe%20chi&rft.au=%EC%84%9C%EC%9C%A4%EC%84%9D(Suh,%20Yoonsuk)&rft.date=2012&rft.volume=45&rft.issue=4&rft.spage=324&rft.epage=335&rft.pages=324-335&rft.issn=0367-6463&rft.eissn=2005-7121&rft_id=info:doi/&rft_dat=%3Cnurimedia_kisti%3ENODE01940854%3C/nurimedia_kisti%3E%3Curl%3E%3C/url%3E&disable_directlink=true&sfx.directlink=off&sfx.report_link=0&rft_id=info:oai/&rft_id=info:pmid/&rft_nurid=NODE01940854&rfr_iscdi=tru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