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전.후 여성의 골밀도 및 골대사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bone mineral density (BMD), biochemical bone markers, nutrients, and salt intake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We evaluated 431 subjec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8 and...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Hanʼguk yongyang hakhoe chi 2011, Vol.44 (1), p.29-40
Hauptverfasser: 박지연, 최미연, 이선희, 최윤호, 박유경, Park, Ji-Youn, Choi, Mi-Youn, Lee, Seon-Heui, Choi, Yoon-Ho, Park, Yoo-Kyoung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container_end_page 40
container_issue 1
container_start_page 29
container_title Hanʼguk yongyang hakhoe chi
container_volume 44
creator 박지연
최미연
이선희
최윤호
박유경
Park, Ji-Youn
Choi, Mi-Youn
Lee, Seon-Heui
Choi, Yoon-Ho
Park, Yoo-Kyoung
descri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bone mineral density (BMD), biochemical bone markers, nutrients, and salt intake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We evaluated 431 subjec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8 and July 2009. We excluded those who were taking medications or who had an endocrine disorder affecting osteoporosi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premenopausal (n = 283) and postmenopausal (n = 143) women.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among BMD of the lumbar spine, femoral neck, and total femoral, as well as biochemical bone markers, hormone, serum profiles,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s, and food intake frequencies. From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umbar spine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p < 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osteocalcin (OC)(p < 0.001), Femoral neck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p < 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telopeptide (CTx) and alkaline phosphatase (ALP)(p < 0.001, p < 0.05). In premenopausal women, femoral total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p < 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Tx (p < 0.001). In postmenopausal women, lumbar spine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lcium intake (p < 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dium intake (p < 0.01). Femoral neck and femoral total BMD were both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p < 0.001), and femoral neck BM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ALP (p < 0.001, p < 0.05). Femoral total BM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OC (p < 0.001, p < 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ucing sodium intake may play an important role delaying bone resorption and preventing a decrease in BMD.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병원에서 건강검진을 한 폐경 전 (283명)과 폐경 후 (143명) 여성 총 431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골대사지표, 여성호르몬 및 영양소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48.4세였고, 폐경 후 여성의 평균 폐경 나이는 50.3세였으며, 폐경 후 경과기간은 5.17년 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체지 방률은 각각 159.2 cm, 55.6 kg, 74.4 cm, $21.9\;kg/m^2$, 29.1% 이었으며, 폐경 후 여성의 나이, 신장, 허리둘레, BMI, 체지방률이 폐경 전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p < 0.001, p < 0.001, p < 0.01, p < 0.001). 평균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은 각각 113.5 mmHg, 69.4 mmHg었으며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01, p < 0.01). 연구 대상자의 골 밀도를 살펴본 결과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보다 요추, 대퇴경부, 대퇴전체 골 밀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p < 0.001) OC, CTx, ALP 지표는 폐경 전 여성보다 폐경 후 여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01). 평균 열량 섭취량은 폐경 전 여성 1,679.4 kcal, 폐경 후 여성 1,621 kcal로 권장량의 93.2%, 90.05%이었으며 탄수화물,
format Article
fullrecord <record><control><sourceid>kisti</sourceid><recordid>TN_cdi_kisti_ndsl_JAKO201116450098104</recordid><sourceformat>XML</sourceformat><sourcesystem>PC</sourcesystem><sourcerecordid>JAKO201116450098104</sourcerecordid><originalsourceid>FETCH-kisti_ndsl_JAKO2011164500981043</originalsourceid><addsrcrecordid>eNpjYuA0MjAw1TU3NDJkYeA0MDYz1zUzMTPmYOAqLs4yMDAzMTE15WQIfds_4dWmvQpvFrTovZ3dovBm-po3LRvfzJ2h8GrzitcbGl73tyi83tAP5vU0vGlao_BmecPbiXPeTJ-g8GZG49tpS9_MBapYv-PNzhmvu6YovJk15c3cHTwMrGmJOcWpvFCam0HVzTXE2UM3O7O4JDM-L6U4J97L0dvfyMDQ0NDMxNTAwNLC0MDEmFh1AMOxVuw</addsrcrecordid><sourcetype>Open Access Repository</sourcetype><iscdi>true</iscdi><recordtype>article</recordtype></control><display><type>article</type><title>폐경 전.후 여성의 골밀도 및 골대사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title><source>KoreaMed Synapse</source><source>KoreaMed Open Access</source><creator>박지연 ; 최미연 ; 이선희 ; 최윤호 ; 박유경 ; Park, Ji-Youn ; Choi, Mi-Youn ; Lee, Seon-Heui ; Choi, Yoon-Ho ; Park, Yoo-Kyoung</creator><creatorcontrib>박지연 ; 최미연 ; 이선희 ; 최윤호 ; 박유경 ; Park, Ji-Youn ; Choi, Mi-Youn ; Lee, Seon-Heui ; Choi, Yoon-Ho ; Park, Yoo-Kyoung</creatorcontrib><description><![CDATA[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bone mineral density (BMD), biochemical bone markers, nutrients, and salt intake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We evaluated 431 subjec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8 and July 2009. We excluded those who were taking medications or who had an endocrine disorder affecting osteoporosi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premenopausal (n = 283) and postmenopausal (n = 143) women.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among BMD of the lumbar spine, femoral neck, and total femoral, as well as biochemical bone markers, hormone, serum profiles,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s, and food intake frequencies. From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umbar spine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p < 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osteocalcin (OC)(p < 0.001), Femoral neck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p < 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telopeptide (CTx) and alkaline phosphatase (ALP)(p < 0.001, p < 0.05). In premenopausal women, femoral total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p < 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Tx (p < 0.001). In postmenopausal women, lumbar spine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lcium intake (p < 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dium intake (p < 0.01). Femoral neck and femoral total BMD were both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p < 0.001), and femoral neck BM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ALP (p < 0.001, p < 0.05). Femoral total BM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OC (p < 0.001, p < 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ucing sodium intake may play an important role delaying bone resorption and preventing a decrease in BMD.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병원에서 건강검진을 한 폐경 전 (283명)과 폐경 후 (143명) 여성 총 431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골대사지표, 여성호르몬 및 영양소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48.4세였고, 폐경 후 여성의 평균 폐경 나이는 50.3세였으며, 폐경 후 경과기간은 5.17년 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체지 방률은 각각 159.2 cm, 55.6 kg, 74.4 cm, $21.9\;kg/m^2$, 29.1% 이었으며, 폐경 후 여성의 나이, 신장, 허리둘레, BMI, 체지방률이 폐경 전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p < 0.001, p < 0.001, p < 0.01, p < 0.001). 평균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은 각각 113.5 mmHg, 69.4 mmHg었으며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01, p < 0.01). 연구 대상자의 골 밀도를 살펴본 결과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보다 요추, 대퇴경부, 대퇴전체 골 밀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p < 0.001) OC, CTx, ALP 지표는 폐경 전 여성보다 폐경 후 여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01). 평균 열량 섭취량은 폐경 전 여성 1,679.4 kcal, 폐경 후 여성 1,621 kcal로 권장량의 93.2%, 90.05%이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량의 에너지 기여 비율은 각각 58 : 18 : 24, 61 : 18 : 21 이었다, 단백질, 지방,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폐경 전 여성보다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p < 0.001, p < 0.001). 일반 영양소 섭취량 중에서 특히 칼륨 섭취량 (폐경 전 후 여성의 칼륨 섭취량은 권장량의 66.69%, 71.54%)이 권장량에 많이 부족한 반면 나트륨 섭취량 (폐경 전 후 여성의 나트륨 섭취량은 권장량의 226.8%, 216.5%)은 권장량보다 훨씬 높았으며 섬유소, 칼륨의 섭취량은 폐경 전 여성이 폐경 후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 < 0.05, p < 0.05). 폐경 전 여성은 요추 골 밀도와 칼륨 섭취량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폐경 후 여성에서는 요추 골 밀도와 칼슘 섭취량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CTx와 열량, 지방, 탄수화물, 철분, 칼륨, 비타민 A, 베타카로틴, 나이아신, 엽산, 섬유소 섭취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OC와 나이아신 섭취량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요추골 밀도는 단백질, 지방, 칼슘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FSH 또한 지방, 나이아신 섭취량 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에서 골 표지자인 OC, CTx, ALP 지표는 골 밀도와 여성 호르몬 농도와 연관되어, 체내의 골 대사에 관련된 중요한 중재자의 하나임을 재확인하였고, 골 밀도를 예측하는 인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폐경 전 여성에서 체중, BMI, 폐경 후 여성에서는 칼슘 섭취량, 나이 등이 다른 인자들보다 중요도 및 예측에 있어 상대적인 영향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양 섭취 상태는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에서 열량 섭취는 권장량과 비교하였을 때 양호한 편이었으나 그에 반해, 칼륨, 칼슘 섭취는 부족, 나트륨은 과잉 섭취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폐경 후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골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골 밀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 혈청 칼슘의 충분한 섭취와 적절한 체중유지가 중요하며 반대로 부정적 영향을 미친 나트륨 섭취 감소는 골밀도의 감소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description><identifier>ISSN: 0367-6463</identifier><identifier>EISSN: 2005-7121</identifier><language>kor</language><ispartof>Hanʼguk yongyang hakhoe chi, 2011, Vol.44 (1), p.29-40</ispartof><oa>free_for_read</oa><woscitedreferencessubscribed>false</woscitedreferencessubscribed></display><links><openurl>$$Topenurl_article</openurl><openurlfulltext>$$Topenurlfull_article</openurlfulltext><thumbnail>$$Tsyndetics_thumb_exl</thumbnail><link.rule.ids>230,314,778,782,883,4012</link.rule.ids></links><search><creatorcontrib>박지연</creatorcontrib><creatorcontrib>최미연</creatorcontrib><creatorcontrib>이선희</creatorcontrib><creatorcontrib>최윤호</creatorcontrib><creatorcontrib>박유경</creatorcontrib><creatorcontrib>Park, Ji-Youn</creatorcontrib><creatorcontrib>Choi, Mi-Youn</creatorcontrib><creatorcontrib>Lee, Seon-Heui</creatorcontrib><creatorcontrib>Choi, Yoon-Ho</creatorcontrib><creatorcontrib>Park, Yoo-Kyoung</creatorcontrib><title>폐경 전.후 여성의 골밀도 및 골대사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title><title>Hanʼguk yongyang hakhoe chi</title><addtitle>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addtitle><description><![CDATA[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bone mineral density (BMD), biochemical bone markers, nutrients, and salt intake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We evaluated 431 subjec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8 and July 2009. We excluded those who were taking medications or who had an endocrine disorder affecting osteoporosi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premenopausal (n = 283) and postmenopausal (n = 143) women.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among BMD of the lumbar spine, femoral neck, and total femoral, as well as biochemical bone markers, hormone, serum profiles,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s, and food intake frequencies. From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umbar spine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p < 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osteocalcin (OC)(p < 0.001), Femoral neck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p < 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telopeptide (CTx) and alkaline phosphatase (ALP)(p < 0.001, p < 0.05). In premenopausal women, femoral total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p < 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Tx (p < 0.001). In postmenopausal women, lumbar spine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lcium intake (p < 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dium intake (p < 0.01). Femoral neck and femoral total BMD were both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p < 0.001), and femoral neck BM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ALP (p < 0.001, p < 0.05). Femoral total BM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OC (p < 0.001, p < 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ucing sodium intake may play an important role delaying bone resorption and preventing a decrease in BMD.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병원에서 건강검진을 한 폐경 전 (283명)과 폐경 후 (143명) 여성 총 431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골대사지표, 여성호르몬 및 영양소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48.4세였고, 폐경 후 여성의 평균 폐경 나이는 50.3세였으며, 폐경 후 경과기간은 5.17년 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체지 방률은 각각 159.2 cm, 55.6 kg, 74.4 cm, $21.9\;kg/m^2$, 29.1% 이었으며, 폐경 후 여성의 나이, 신장, 허리둘레, BMI, 체지방률이 폐경 전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p < 0.001, p < 0.001, p < 0.01, p < 0.001). 평균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은 각각 113.5 mmHg, 69.4 mmHg었으며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01, p < 0.01). 연구 대상자의 골 밀도를 살펴본 결과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보다 요추, 대퇴경부, 대퇴전체 골 밀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p < 0.001) OC, CTx, ALP 지표는 폐경 전 여성보다 폐경 후 여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01). 평균 열량 섭취량은 폐경 전 여성 1,679.4 kcal, 폐경 후 여성 1,621 kcal로 권장량의 93.2%, 90.05%이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량의 에너지 기여 비율은 각각 58 : 18 : 24, 61 : 18 : 21 이었다, 단백질, 지방,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폐경 전 여성보다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p < 0.001, p < 0.001). 일반 영양소 섭취량 중에서 특히 칼륨 섭취량 (폐경 전 후 여성의 칼륨 섭취량은 권장량의 66.69%, 71.54%)이 권장량에 많이 부족한 반면 나트륨 섭취량 (폐경 전 후 여성의 나트륨 섭취량은 권장량의 226.8%, 216.5%)은 권장량보다 훨씬 높았으며 섬유소, 칼륨의 섭취량은 폐경 전 여성이 폐경 후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 < 0.05, p < 0.05). 폐경 전 여성은 요추 골 밀도와 칼륨 섭취량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폐경 후 여성에서는 요추 골 밀도와 칼슘 섭취량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CTx와 열량, 지방, 탄수화물, 철분, 칼륨, 비타민 A, 베타카로틴, 나이아신, 엽산, 섬유소 섭취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OC와 나이아신 섭취량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요추골 밀도는 단백질, 지방, 칼슘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FSH 또한 지방, 나이아신 섭취량 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에서 골 표지자인 OC, CTx, ALP 지표는 골 밀도와 여성 호르몬 농도와 연관되어, 체내의 골 대사에 관련된 중요한 중재자의 하나임을 재확인하였고, 골 밀도를 예측하는 인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폐경 전 여성에서 체중, BMI, 폐경 후 여성에서는 칼슘 섭취량, 나이 등이 다른 인자들보다 중요도 및 예측에 있어 상대적인 영향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양 섭취 상태는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에서 열량 섭취는 권장량과 비교하였을 때 양호한 편이었으나 그에 반해, 칼륨, 칼슘 섭취는 부족, 나트륨은 과잉 섭취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폐경 후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골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골 밀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 혈청 칼슘의 충분한 섭취와 적절한 체중유지가 중요하며 반대로 부정적 영향을 미친 나트륨 섭취 감소는 골밀도의 감소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description><issn>0367-6463</issn><issn>2005-7121</issn><fulltext>true</fulltext><rsrctype>article</rsrctype><creationdate>2011</creationdate><recordtype>article</recordtype><sourceid>JDI</sourceid><recordid>eNpjYuA0MjAw1TU3NDJkYeA0MDYz1zUzMTPmYOAqLs4yMDAzMTE15WQIfds_4dWmvQpvFrTovZ3dovBm-po3LRvfzJ2h8GrzitcbGl73tyi83tAP5vU0vGlao_BmecPbiXPeTJ-g8GZG49tpS9_MBapYv-PNzhmvu6YovJk15c3cHTwMrGmJOcWpvFCam0HVzTXE2UM3O7O4JDM-L6U4J97L0dvfyMDQ0NDMxNTAwNLC0MDEmFh1AMOxVuw</recordid><startdate>2011</startdate><enddate>2011</enddate><creator>박지연</creator><creator>최미연</creator><creator>이선희</creator><creator>최윤호</creator><creator>박유경</creator><creator>Park, Ji-Youn</creator><creator>Choi, Mi-Youn</creator><creator>Lee, Seon-Heui</creator><creator>Choi, Yoon-Ho</creator><creator>Park, Yoo-Kyoung</creator><scope>JDI</scope></search><sort><creationdate>2011</creationdate><title>폐경 전.후 여성의 골밀도 및 골대사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title><author>박지연 ; 최미연 ; 이선희 ; 최윤호 ; 박유경 ; Park, Ji-Youn ; Choi, Mi-Youn ; Lee, Seon-Heui ; Choi, Yoon-Ho ; Park, Yoo-Kyoung</author></sort><facets><frbrtype>5</frbrtype><frbrgroupid>cdi_FETCH-kisti_ndsl_JAKO2011164500981043</frbrgroupid><rsrctype>articles</rsrctype><prefilter>articles</prefilter><language>kor</language><creationdate>2011</creationdate><toplevel>online_resources</toplevel><creatorcontrib>박지연</creatorcontrib><creatorcontrib>최미연</creatorcontrib><creatorcontrib>이선희</creatorcontrib><creatorcontrib>최윤호</creatorcontrib><creatorcontrib>박유경</creatorcontrib><creatorcontrib>Park, Ji-Youn</creatorcontrib><creatorcontrib>Choi, Mi-Youn</creatorcontrib><creatorcontrib>Lee, Seon-Heui</creatorcontrib><creatorcontrib>Choi, Yoon-Ho</creatorcontrib><creatorcontrib>Park, Yoo-Kyoung</creatorcontrib><collection>KoreaScience</collection><jtitle>Hanʼguk yongyang hakhoe chi</jtitle></facets><delivery><delcategory>Remote Search Resource</delcategory><fulltext>fulltext</fulltext></delivery><addata><au>박지연</au><au>최미연</au><au>이선희</au><au>최윤호</au><au>박유경</au><au>Park, Ji-Youn</au><au>Choi, Mi-Youn</au><au>Lee, Seon-Heui</au><au>Choi, Yoon-Ho</au><au>Park, Yoo-Kyoung</au><format>journal</format><genre>article</genre><ristype>JOUR</ristype><atitle>폐경 전.후 여성의 골밀도 및 골대사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atitle><jtitle>Hanʼguk yongyang hakhoe chi</jtitle><addtitle>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addtitle><date>2011</date><risdate>2011</risdate><volume>44</volume><issue>1</issue><spage>29</spage><epage>40</epage><pages>29-40</pages><issn>0367-6463</issn><eissn>2005-7121</eissn><abstract><![CDATA[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bone mineral density (BMD), biochemical bone markers, nutrients, and salt intake i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We evaluated 431 subjects who visited a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8 and July 2009. We excluded those who were taking medications or who had an endocrine disorder affecting osteoporosi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premenopausal (n = 283) and postmenopausal (n = 143) women.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among BMD of the lumbar spine, femoral neck, and total femoral, as well as biochemical bone markers, hormone, serum profiles,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s, and food intake frequencies. From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umbar spine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p < 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osteocalcin (OC)(p < 0.001), Femoral neck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p < 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telopeptide (CTx) and alkaline phosphatase (ALP)(p < 0.001, p < 0.05). In premenopausal women, femoral total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p < 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Tx (p < 0.001). In postmenopausal women, lumbar spine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lcium intake (p < 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dium intake (p < 0.01). Femoral neck and femoral total BMD were both posi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p < 0.001), and femoral neck BM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ALP (p < 0.001, p < 0.05). Femoral total BM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OC (p < 0.001, p < 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ucing sodium intake may play an important role delaying bone resorption and preventing a decrease in BMD.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병원에서 건강검진을 한 폐경 전 (283명)과 폐경 후 (143명) 여성 총 431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골대사지표, 여성호르몬 및 영양소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48.4세였고, 폐경 후 여성의 평균 폐경 나이는 50.3세였으며, 폐경 후 경과기간은 5.17년 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체지 방률은 각각 159.2 cm, 55.6 kg, 74.4 cm, $21.9\;kg/m^2$, 29.1% 이었으며, 폐경 후 여성의 나이, 신장, 허리둘레, BMI, 체지방률이 폐경 전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01, p < 0.001, p < 0.001, p < 0.01, p < 0.001). 평균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은 각각 113.5 mmHg, 69.4 mmHg었으며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01, p < 0.01). 연구 대상자의 골 밀도를 살펴본 결과 폐경 후 여성이 폐경 전 여성보다 요추, 대퇴경부, 대퇴전체 골 밀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p < 0.001) OC, CTx, ALP 지표는 폐경 전 여성보다 폐경 후 여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01). 평균 열량 섭취량은 폐경 전 여성 1,679.4 kcal, 폐경 후 여성 1,621 kcal로 권장량의 93.2%, 90.05%이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량의 에너지 기여 비율은 각각 58 : 18 : 24, 61 : 18 : 21 이었다, 단백질, 지방,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폐경 전 여성보다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 < 0.05, p < 0.001, p < 0.001). 일반 영양소 섭취량 중에서 특히 칼륨 섭취량 (폐경 전 후 여성의 칼륨 섭취량은 권장량의 66.69%, 71.54%)이 권장량에 많이 부족한 반면 나트륨 섭취량 (폐경 전 후 여성의 나트륨 섭취량은 권장량의 226.8%, 216.5%)은 권장량보다 훨씬 높았으며 섬유소, 칼륨의 섭취량은 폐경 전 여성이 폐경 후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 < 0.05, p < 0.05). 폐경 전 여성은 요추 골 밀도와 칼륨 섭취량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폐경 후 여성에서는 요추 골 밀도와 칼슘 섭취량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CTx와 열량, 지방, 탄수화물, 철분, 칼륨, 비타민 A, 베타카로틴, 나이아신, 엽산, 섬유소 섭취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OC와 나이아신 섭취량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요추골 밀도는 단백질, 지방, 칼슘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FSH 또한 지방, 나이아신 섭취량 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에서 골 표지자인 OC, CTx, ALP 지표는 골 밀도와 여성 호르몬 농도와 연관되어, 체내의 골 대사에 관련된 중요한 중재자의 하나임을 재확인하였고, 골 밀도를 예측하는 인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폐경 전 여성에서 체중, BMI, 폐경 후 여성에서는 칼슘 섭취량, 나이 등이 다른 인자들보다 중요도 및 예측에 있어 상대적인 영향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양 섭취 상태는 폐경 전과 폐경 후 여성에서 열량 섭취는 권장량과 비교하였을 때 양호한 편이었으나 그에 반해, 칼륨, 칼슘 섭취는 부족, 나트륨은 과잉 섭취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폐경 후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골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골 밀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 혈청 칼슘의 충분한 섭취와 적절한 체중유지가 중요하며 반대로 부정적 영향을 미친 나트륨 섭취 감소는 골밀도의 감소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제안한다.]]></abstract><oa>free_for_read</oa></addata></record>
fulltext fulltext
identifier ISSN: 0367-6463
ispartof Hanʼguk yongyang hakhoe chi, 2011, Vol.44 (1), p.29-40
issn 0367-6463
2005-7121
language kor
recordid cdi_kisti_ndsl_JAKO201116450098104
source KoreaMed Synapse; KoreaMed Open Access
title 폐경 전.후 여성의 골밀도 및 골대사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url https://sfx.bib-bvb.de/sfx_tum?ctx_ver=Z39.88-2004&ctx_enc=info:ofi/enc:UTF-8&ctx_tim=2025-01-17T08%3A36%3A52IST&url_ver=Z39.88-2004&url_ctx_fmt=infofi/fmt:kev:mtx:ctx&rfr_id=info:sid/primo.exlibrisgroup.com:primo3-Article-kisti&rft_val_fmt=info:ofi/fmt:kev:mtx: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8F%90%EA%B2%BD%20%EC%A0%84.%ED%9B%84%20%EC%97%AC%EC%84%B1%EC%9D%98%20%EA%B3%A8%EB%B0%80%EB%8F%84%20%EB%B0%8F%20%EA%B3%A8%EB%8C%80%EC%82%AC%20%EC%A7%80%ED%91%9C%EC%97%90%20%EC%98%81%ED%96%A5%EC%9D%84%20%EB%AF%B8%EC%B9%98%EB%8A%94%20%EC%9A%94%EC%9D%B8&rft.jtitle=Han%CA%BCguk%20yongyang%20hakhoe%20chi&rft.au=%EB%B0%95%EC%A7%80%EC%97%B0&rft.date=2011&rft.volume=44&rft.issue=1&rft.spage=29&rft.epage=40&rft.pages=29-40&rft.issn=0367-6463&rft.eissn=2005-7121&rft_id=info:doi/&rft_dat=%3Ckisti%3EJAKO201116450098104%3C/kisti%3E%3Curl%3E%3C/url%3E&disable_directlink=true&sfx.directlink=off&sfx.report_link=0&rft_id=info:oai/&rft_id=info:pmid/&rfr_iscdi=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