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의 완전미 비율 증가가 식미에 미치는 영향

불완전미가 식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미외 관별로 백미 품위를 구분하고 각각의 불완전미를 완전미와 혼입하여 근적외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식미치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수확한 현미의 정상립은 75.7~% 였으며, 불완전렵은 변색립이 11.0~% , 청미가 8.0~% , 그리고 사미가 5.3~% 였다. 나. 정상립 현미에서 도정된 백미는 완전미가 64.7~% 였으며, 동할미가 25.3~% , 심복백미가 10~% 였으며, 변색립 현미는 정상립에서 도정된 백미외관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미는 완전미가...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2005, Vol.50 (별호1), p.29-32
Hauptverfasser: 정남진, Nam Jin Chung, 박정화, Jeong Hwa Park, 김기종, Kee Jong Kim, 김제규, Je Kyu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