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수발아의 품종간 차이와 왕겨 추출물질의 발아억제효과

수발아가 벼의 품질 및 정현 비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 수발아성의 품종간 차이 및 왕겨로부터 발아 억제물질을 추출하여 수발아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미중은 무처리에 비하여 수발아 처리일수가 길어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으로 6일 처리시 약 20% 감소되었다. 2. 수발아 처리일수에 따른 완전립 비율은 무처리가 99.5%인데 반해 6일 처리시 41.3%로 현저히 저하되었다. 3. 인디카품종은 대부분 난수발아성이었으나 자포니카(9.2∼79.7%) 및 통일형 품종(2.1∼63.7%)은 품종간 차이가...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1996-08, Vol.41 (4), p.434-440
Hauptverfasser: 김봉구, 이동진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수발아가 벼의 품질 및 정현 비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 수발아성의 품종간 차이 및 왕겨로부터 발아 억제물질을 추출하여 수발아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미중은 무처리에 비하여 수발아 처리일수가 길어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으로 6일 처리시 약 20% 감소되었다. 2. 수발아 처리일수에 따른 완전립 비율은 무처리가 99.5%인데 반해 6일 처리시 41.3%로 현저히 저하되었다. 3. 인디카품종은 대부분 난수발아성이었으나 자포니카(9.2∼79.7%) 및 통일형 품종(2.1∼63.7%)은 품종간 차이가 현저히 나타났다. 4. 난수발아성인 IR36, 신운봉벼 및 중원벼의 왕겨를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물질이 발아억제에 효과가 있었다. This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elucidate the damage by viviparity during grain filling on grain quality and hulling recovery and to understand the varietal differences of viviparity and the effect of extractive from rice hull of hardly viviparous varietie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Ten rice cultivars, such as three indica, four japonica and three Tongil-type rice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brown rice yield was de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the artificial viviparous treatment periods. At six days after treatment, brown rice yield of Daeseongbyeo was reduce 20% as compared with control. The ratio of head rice was 41.3% at six days after viviparous treatment with 25~circC temperature and over 95% relative humidity, while it was 99.5% in control. Varietal differences of viviparity in three rice groups were ranged from 1.1 to 5.2% in indica rices, 9.2 to 79.7% in japonica rices and 2.1 to 63.7% in Tongil-type rices. Methanol extractives from rice hull of IR36, Shinunbongbyeo and Jungwonbyeo inhibited significantly the germination of Deaseongbyeo.
ISSN:0252-9777
2287-8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