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 파종심도에 따른 유효분벽의 양상과 수량

보리의 파종심도에 따른 유효분얼의 생태반응과 수량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파종심도를 1cm, 3cm, 5cm, 7cm, 9cm의 5처리로 하여 각각의 분얼별 생산성에 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간장은 파종심도 1cm구에서 다소 짧은 경향이었고 전처리가 주간 > 1차분얼 > 2차분얼 > 3차분얼의 순위로 고차분얼일수록 짧은 경향이었다. 2. 주간엽수는 1cm구 11.1, 3cm구와 5cm구 13.0, 7cm구 12.5, 9cm구는 11.0수로서 1cm구는 동해, 심파구에서는 생육 지정...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1995-12, Vol.40 (6), p.671-683
Hauptverfasser: 신만균, 栗原浩
Format: Artikel
Sprache:kor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container_end_page 683
container_issue 6
container_start_page 671
container_titl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container_volume 40
creator 신만균
栗原浩
description 보리의 파종심도에 따른 유효분얼의 생태반응과 수량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파종심도를 1cm, 3cm, 5cm, 7cm, 9cm의 5처리로 하여 각각의 분얼별 생산성에 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간장은 파종심도 1cm구에서 다소 짧은 경향이었고 전처리가 주간 > 1차분얼 > 2차분얼 > 3차분얼의 순위로 고차분얼일수록 짧은 경향이었다. 2. 주간엽수는 1cm구 11.1, 3cm구와 5cm구 13.0, 7cm구 12.5, 9cm구는 11.0수로서 1cm구는 동해, 심파구에서는 생육 지정 때문에 엽수가 적었다. 3. 유효경이나 유효수율은 3cm구와 5cm구에서 높았고 1cm구나 7cm이상의 구에서는 낮았으며 전처리에서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 1절에서 발생한 분얼의 유효경율이 높았다. 4. 주당유효경은 3cm구와 5cm구에서 31본, 1주 유효수는 18본으로 가장 많았고 분얼차위별 유효수수는 2차분얼 > 1차분얼의 순으로 많고 3차분얼은 유효수수가 없었다. 유효경율이 70%이상인 얼자는 전처리에서 0, 1, 2, 3, 11, 21과 9cm구의 22이였다. 5. 주당유효경립수는 3cm구가 673.7립에 비하여 5cm구 104%, 7cm구 74.5%, 9cm구 65%, 1cm구는 50%이었고 유효수립수는 3cm구 562.5립에 비하여 7cm구 81%, 9cm구 82.3%, 1cm구는 50.2%이었으며 유효경에 대한 유효수립수비율은 3cm구나 5cm구보다 심파구에서 높았다. 6. 유효수의 평균1수립수는 조기발생한 저위. 저차위분얼에서 많았고 고위. 고차위분얼은 적은 경향을 보였으며 어느 파종심도에서나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 1절에서 발생한 분얼이 1수립수가 많았다. 7. 1주당유효경 및 유효수자실중은 5cm구 > 3cm구 > 7cm구 > 9cm구 > 1cm구의 순위였으며 평균1수자실중은 1차분얼은 파종심도 3cm구보다 깊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2차분얼은 1cm구에서 유효수가 적어 평균자실중이 증가했다. 1수자실중도 1수립수와 같이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1절의 분얼에서 가장 무거웠고 그 이상의 상위절의 분얼에서는 절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8. 수량기여도가 높은 분얼은 전 처리에서 주간과 1차분얼의 1, 2, 3, 4와 2차분얼의 11, 12, 21, 1P, 2P, 31이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understanding on the eco-physiological response of barley tillers as affected by sowing depth. Yield and yield contribution rate of tillers were investigated with the data of field experiments in the former Wheat and Barley Research Institute of Suwon, Korea from October 1983 to July 1984. When barley was sowed in various depth of 1, 3, 5, 7 and 9cm below the ground surface, 13 mainstem leaves appeared by 3 and 5cm treatments, and 11 leaves by 1, 7 and 9cm treatments. The effective tillers were observed from 8/0 in lcm depth, while 10/0 in 3-5cm depth and 9/0 in 7cm depth. There was no coleoptile tiller in 7cm depth sowing. Deep and shallow sowings produced fewer leaves and tillers, as early growth was hindered by deep sowing whereas cold damage was apparent in shallow sowing. Accordingly, more effective tillers per plant and higher grain weight per ear were observed in 3∼5cm depth sowing. Yield contribution by the tillers with various sowing depth was as follows: mainstem, 1, 2, 11, 3, 21, 4 and 12. The contribution of 1P, 13, 2P, 23 and 31 varied with the treatments.
format Article
fullrecord <record><control><sourceid>koreascholar_kisti</sourceid><recordid>TN_cdi_kisti_ndsl_JAKO199511922908166</recordid><sourceformat>XML</sourceformat><sourcesystem>PC</sourcesystem><sourcerecordid>12979</sourcerecordid><originalsourceid>FETCH-LOGICAL-k579-13fe1d84e1b6790561f1e53ec27bc25f14bc3863a520475a8818c0e5cb85e3f83</originalsourceid><addsrcrecordid>eNotjs1Kw0AYABdRMNS-QxA8Bvbbn-zuRSjF_0IvvYck3WBtaCCrDyBWUCyoIFpEUQTFQw9iRTzoC7nbd7BgT3MZhplDHiFSBJJRMo88TDgJlBBiEVWN6SQYMyoxY8JDq3b8YV9G_mQwcE_H7mxkz_vu5sK3V2_2-ct3d4-T21f72bfvP-5-6LvrS3d0-Dv-9t3J0D6cLqGFLM6Nrs5YQa31tVZ9M2g0N7bqtUbQ5UIFQDMNbck0JKFQmIeQgeZUp0QkKeEZsCSlMqQxJ5gJHksJMsWap4nkmmaSVtDKf7bbMfudqNc2ebRd22mCUhxAEaKwhDCcesszryh1bNLdIo_LaK84KHvTuwiIEor-Adg_Yt4</addsrcrecordid><sourcetype>Open Access Repository</sourcetype><iscdi>true</iscdi><recordtype>article</recordtype></control><display><type>article</type><title>보리 파종심도에 따른 유효분벽의 양상과 수량</title><source>Elektronische Zeitschriftenbibliothek - Frei zugängliche E-Journals</source><source>KoreaScience</source><creator>신만균 ; 栗原浩</creator><creatorcontrib>신만균 ; 栗原浩</creatorcontrib><description>보리의 파종심도에 따른 유효분얼의 생태반응과 수량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파종심도를 1cm, 3cm, 5cm, 7cm, 9cm의 5처리로 하여 각각의 분얼별 생산성에 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간장은 파종심도 1cm구에서 다소 짧은 경향이었고 전처리가 주간 &gt; 1차분얼 &gt; 2차분얼 &gt; 3차분얼의 순위로 고차분얼일수록 짧은 경향이었다. 2. 주간엽수는 1cm구 11.1, 3cm구와 5cm구 13.0, 7cm구 12.5, 9cm구는 11.0수로서 1cm구는 동해, 심파구에서는 생육 지정 때문에 엽수가 적었다. 3. 유효경이나 유효수율은 3cm구와 5cm구에서 높았고 1cm구나 7cm이상의 구에서는 낮았으며 전처리에서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 1절에서 발생한 분얼의 유효경율이 높았다. 4. 주당유효경은 3cm구와 5cm구에서 31본, 1주 유효수는 18본으로 가장 많았고 분얼차위별 유효수수는 2차분얼 &gt; 1차분얼의 순으로 많고 3차분얼은 유효수수가 없었다. 유효경율이 70%이상인 얼자는 전처리에서 0, 1, 2, 3, 11, 21과 9cm구의 22이였다. 5. 주당유효경립수는 3cm구가 673.7립에 비하여 5cm구 104%, 7cm구 74.5%, 9cm구 65%, 1cm구는 50%이었고 유효수립수는 3cm구 562.5립에 비하여 7cm구 81%, 9cm구 82.3%, 1cm구는 50.2%이었으며 유효경에 대한 유효수립수비율은 3cm구나 5cm구보다 심파구에서 높았다. 6. 유효수의 평균1수립수는 조기발생한 저위. 저차위분얼에서 많았고 고위. 고차위분얼은 적은 경향을 보였으며 어느 파종심도에서나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 1절에서 발생한 분얼이 1수립수가 많았다. 7. 1주당유효경 및 유효수자실중은 5cm구 &gt; 3cm구 &gt; 7cm구 &gt; 9cm구 &gt; 1cm구의 순위였으며 평균1수자실중은 1차분얼은 파종심도 3cm구보다 깊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2차분얼은 1cm구에서 유효수가 적어 평균자실중이 증가했다. 1수자실중도 1수립수와 같이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1절의 분얼에서 가장 무거웠고 그 이상의 상위절의 분얼에서는 절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8. 수량기여도가 높은 분얼은 전 처리에서 주간과 1차분얼의 1, 2, 3, 4와 2차분얼의 11, 12, 21, 1P, 2P, 31이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understanding on the eco-physiological response of barley tillers as affected by sowing depth. Yield and yield contribution rate of tillers were investigated with the data of field experiments in the former Wheat and Barley Research Institute of Suwon, Korea from October 1983 to July 1984. When barley was sowed in various depth of 1, 3, 5, 7 and 9cm below the ground surface, 13 mainstem leaves appeared by 3 and 5cm treatments, and 11 leaves by 1, 7 and 9cm treatments. The effective tillers were observed from 8/0 in lcm depth, while 10/0 in 3-5cm depth and 9/0 in 7cm depth. There was no coleoptile tiller in 7cm depth sowing. Deep and shallow sowings produced fewer leaves and tillers, as early growth was hindered by deep sowing whereas cold damage was apparent in shallow sowing. Accordingly, more effective tillers per plant and higher grain weight per ear were observed in 3∼5cm depth sowing. Yield contribution by the tillers with various sowing depth was as follows: mainstem, 1, 2, 11, 3, 21, 4 and 12. The contribution of 1P, 13, 2P, 23 and 31 varied with the treatments.</description><identifier>ISSN: 0252-9777</identifier><identifier>EISSN: 2287-8432</identifier><language>kor</language><publisher>한국작물학회</publisher><ispartof>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1995-12, Vol.40 (6), p.671-683</ispartof><lds50>peer_reviewed</lds50><oa>free_for_read</oa><woscitedreferencessubscribed>false</woscitedreferencessubscribed></display><links><openurl>$$Topenurl_article</openurl><openurlfulltext>$$Topenurlfull_article</openurlfulltext><thumbnail>$$Tsyndetics_thumb_exl</thumbnail><link.rule.ids>230,314,776,780,881,26990</link.rule.ids></links><search><creatorcontrib>신만균</creatorcontrib><creatorcontrib>栗原浩</creatorcontrib><title>보리 파종심도에 따른 유효분벽의 양상과 수량</title><title>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title><addtitle>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addtitle><description>보리의 파종심도에 따른 유효분얼의 생태반응과 수량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파종심도를 1cm, 3cm, 5cm, 7cm, 9cm의 5처리로 하여 각각의 분얼별 생산성에 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간장은 파종심도 1cm구에서 다소 짧은 경향이었고 전처리가 주간 &gt; 1차분얼 &gt; 2차분얼 &gt; 3차분얼의 순위로 고차분얼일수록 짧은 경향이었다. 2. 주간엽수는 1cm구 11.1, 3cm구와 5cm구 13.0, 7cm구 12.5, 9cm구는 11.0수로서 1cm구는 동해, 심파구에서는 생육 지정 때문에 엽수가 적었다. 3. 유효경이나 유효수율은 3cm구와 5cm구에서 높았고 1cm구나 7cm이상의 구에서는 낮았으며 전처리에서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 1절에서 발생한 분얼의 유효경율이 높았다. 4. 주당유효경은 3cm구와 5cm구에서 31본, 1주 유효수는 18본으로 가장 많았고 분얼차위별 유효수수는 2차분얼 &gt; 1차분얼의 순으로 많고 3차분얼은 유효수수가 없었다. 유효경율이 70%이상인 얼자는 전처리에서 0, 1, 2, 3, 11, 21과 9cm구의 22이였다. 5. 주당유효경립수는 3cm구가 673.7립에 비하여 5cm구 104%, 7cm구 74.5%, 9cm구 65%, 1cm구는 50%이었고 유효수립수는 3cm구 562.5립에 비하여 7cm구 81%, 9cm구 82.3%, 1cm구는 50.2%이었으며 유효경에 대한 유효수립수비율은 3cm구나 5cm구보다 심파구에서 높았다. 6. 유효수의 평균1수립수는 조기발생한 저위. 저차위분얼에서 많았고 고위. 고차위분얼은 적은 경향을 보였으며 어느 파종심도에서나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 1절에서 발생한 분얼이 1수립수가 많았다. 7. 1주당유효경 및 유효수자실중은 5cm구 &gt; 3cm구 &gt; 7cm구 &gt; 9cm구 &gt; 1cm구의 순위였으며 평균1수자실중은 1차분얼은 파종심도 3cm구보다 깊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2차분얼은 1cm구에서 유효수가 적어 평균자실중이 증가했다. 1수자실중도 1수립수와 같이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1절의 분얼에서 가장 무거웠고 그 이상의 상위절의 분얼에서는 절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8. 수량기여도가 높은 분얼은 전 처리에서 주간과 1차분얼의 1, 2, 3, 4와 2차분얼의 11, 12, 21, 1P, 2P, 31이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understanding on the eco-physiological response of barley tillers as affected by sowing depth. Yield and yield contribution rate of tillers were investigated with the data of field experiments in the former Wheat and Barley Research Institute of Suwon, Korea from October 1983 to July 1984. When barley was sowed in various depth of 1, 3, 5, 7 and 9cm below the ground surface, 13 mainstem leaves appeared by 3 and 5cm treatments, and 11 leaves by 1, 7 and 9cm treatments. The effective tillers were observed from 8/0 in lcm depth, while 10/0 in 3-5cm depth and 9/0 in 7cm depth. There was no coleoptile tiller in 7cm depth sowing. Deep and shallow sowings produced fewer leaves and tillers, as early growth was hindered by deep sowing whereas cold damage was apparent in shallow sowing. Accordingly, more effective tillers per plant and higher grain weight per ear were observed in 3∼5cm depth sowing. Yield contribution by the tillers with various sowing depth was as follows: mainstem, 1, 2, 11, 3, 21, 4 and 12. The contribution of 1P, 13, 2P, 23 and 31 varied with the treatments.</description><issn>0252-9777</issn><issn>2287-8432</issn><fulltext>true</fulltext><rsrctype>article</rsrctype><creationdate>1995</creationdate><recordtype>article</recordtype><sourceid>JDI</sourceid><recordid>eNotjs1Kw0AYABdRMNS-QxA8Bvbbn-zuRSjF_0IvvYck3WBtaCCrDyBWUCyoIFpEUQTFQw9iRTzoC7nbd7BgT3MZhplDHiFSBJJRMo88TDgJlBBiEVWN6SQYMyoxY8JDq3b8YV9G_mQwcE_H7mxkz_vu5sK3V2_2-ct3d4-T21f72bfvP-5-6LvrS3d0-Dv-9t3J0D6cLqGFLM6Nrs5YQa31tVZ9M2g0N7bqtUbQ5UIFQDMNbck0JKFQmIeQgeZUp0QkKeEZsCSlMqQxJ5gJHksJMsWap4nkmmaSVtDKf7bbMfudqNc2ebRd22mCUhxAEaKwhDCcesszryh1bNLdIo_LaK84KHvTuwiIEor-Adg_Yt4</recordid><startdate>19951231</startdate><enddate>19951231</enddate><creator>신만균</creator><creator>栗原浩</creator><general>한국작물학회</general><scope>KROLR</scope><scope>JDI</scope></search><sort><creationdate>19951231</creationdate><title>보리 파종심도에 따른 유효분벽의 양상과 수량</title><author>신만균 ; 栗原浩</author></sort><facets><frbrtype>5</frbrtype><frbrgroupid>cdi_FETCH-LOGICAL-k579-13fe1d84e1b6790561f1e53ec27bc25f14bc3863a520475a8818c0e5cb85e3f83</frbrgroupid><rsrctype>articles</rsrctype><prefilter>articles</prefilter><language>kor</language><creationdate>1995</creationdate><toplevel>peer_reviewed</toplevel><toplevel>online_resources</toplevel><creatorcontrib>신만균</creatorcontrib><creatorcontrib>栗原浩</creatorcontrib><collection>Korea Scholar</collection><collection>KoreaScience</collection><jtitle>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jtitle></facets><delivery><delcategory>Remote Search Resource</delcategory><fulltext>fulltext</fulltext></delivery><addata><au>신만균</au><au>栗原浩</au><format>journal</format><genre>article</genre><ristype>JOUR</ristype><atitle>보리 파종심도에 따른 유효분벽의 양상과 수량</atitle><jtitle>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jtitle><addtitle>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addtitle><date>1995-12-31</date><risdate>1995</risdate><volume>40</volume><issue>6</issue><spage>671</spage><epage>683</epage><pages>671-683</pages><issn>0252-9777</issn><eissn>2287-8432</eissn><abstract>보리의 파종심도에 따른 유효분얼의 생태반응과 수량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파종심도를 1cm, 3cm, 5cm, 7cm, 9cm의 5처리로 하여 각각의 분얼별 생산성에 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간장은 파종심도 1cm구에서 다소 짧은 경향이었고 전처리가 주간 &gt; 1차분얼 &gt; 2차분얼 &gt; 3차분얼의 순위로 고차분얼일수록 짧은 경향이었다. 2. 주간엽수는 1cm구 11.1, 3cm구와 5cm구 13.0, 7cm구 12.5, 9cm구는 11.0수로서 1cm구는 동해, 심파구에서는 생육 지정 때문에 엽수가 적었다. 3. 유효경이나 유효수율은 3cm구와 5cm구에서 높았고 1cm구나 7cm이상의 구에서는 낮았으며 전처리에서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 1절에서 발생한 분얼의 유효경율이 높았다. 4. 주당유효경은 3cm구와 5cm구에서 31본, 1주 유효수는 18본으로 가장 많았고 분얼차위별 유효수수는 2차분얼 &gt; 1차분얼의 순으로 많고 3차분얼은 유효수수가 없었다. 유효경율이 70%이상인 얼자는 전처리에서 0, 1, 2, 3, 11, 21과 9cm구의 22이였다. 5. 주당유효경립수는 3cm구가 673.7립에 비하여 5cm구 104%, 7cm구 74.5%, 9cm구 65%, 1cm구는 50%이었고 유효수립수는 3cm구 562.5립에 비하여 7cm구 81%, 9cm구 82.3%, 1cm구는 50.2%이었으며 유효경에 대한 유효수립수비율은 3cm구나 5cm구보다 심파구에서 높았다. 6. 유효수의 평균1수립수는 조기발생한 저위. 저차위분얼에서 많았고 고위. 고차위분얼은 적은 경향을 보였으며 어느 파종심도에서나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 1절에서 발생한 분얼이 1수립수가 많았다. 7. 1주당유효경 및 유효수자실중은 5cm구 &gt; 3cm구 &gt; 7cm구 &gt; 9cm구 &gt; 1cm구의 순위였으며 평균1수자실중은 1차분얼은 파종심도 3cm구보다 깊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2차분얼은 1cm구에서 유효수가 적어 평균자실중이 증가했다. 1수자실중도 1수립수와 같이 자엽간 및 전엽분얼보다 상위1절의 분얼에서 가장 무거웠고 그 이상의 상위절의 분얼에서는 절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8. 수량기여도가 높은 분얼은 전 처리에서 주간과 1차분얼의 1, 2, 3, 4와 2차분얼의 11, 12, 21, 1P, 2P, 31이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understanding on the eco-physiological response of barley tillers as affected by sowing depth. Yield and yield contribution rate of tillers were investigated with the data of field experiments in the former Wheat and Barley Research Institute of Suwon, Korea from October 1983 to July 1984. When barley was sowed in various depth of 1, 3, 5, 7 and 9cm below the ground surface, 13 mainstem leaves appeared by 3 and 5cm treatments, and 11 leaves by 1, 7 and 9cm treatments. The effective tillers were observed from 8/0 in lcm depth, while 10/0 in 3-5cm depth and 9/0 in 7cm depth. There was no coleoptile tiller in 7cm depth sowing. Deep and shallow sowings produced fewer leaves and tillers, as early growth was hindered by deep sowing whereas cold damage was apparent in shallow sowing. Accordingly, more effective tillers per plant and higher grain weight per ear were observed in 3∼5cm depth sowing. Yield contribution by the tillers with various sowing depth was as follows: mainstem, 1, 2, 11, 3, 21, 4 and 12. The contribution of 1P, 13, 2P, 23 and 31 varied with the treatments.</abstract><pub>한국작물학회</pub><tpages>13</tpages><oa>free_for_read</oa></addata></record>
fulltext fulltext
identifier ISSN: 0252-9777
ispartof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1995-12, Vol.40 (6), p.671-683
issn 0252-9777
2287-8432
language kor
recordid cdi_kisti_ndsl_JAKO199511922908166
source Elektronische Zeitschriftenbibliothek - Frei zugängliche E-Journals; KoreaScience
title 보리 파종심도에 따른 유효분벽의 양상과 수량
url https://sfx.bib-bvb.de/sfx_tum?ctx_ver=Z39.88-2004&ctx_enc=info:ofi/enc:UTF-8&ctx_tim=2025-01-25T05%3A02%3A08IST&url_ver=Z39.88-2004&url_ctx_fmt=infofi/fmt:kev:mtx:ctx&rfr_id=info:sid/primo.exlibrisgroup.com:primo3-Article-koreascholar_kisti&rft_val_fmt=info:ofi/fmt:kev:mtx: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3%B4%EB%A6%AC%20%ED%8C%8C%EC%A2%85%EC%8B%AC%EB%8F%84%EC%97%90%20%EB%94%B0%EB%A5%B8%20%EC%9C%A0%ED%9A%A8%EB%B6%84%EB%B2%BD%EC%9D%98%20%EC%96%91%EC%83%81%EA%B3%BC%20%EC%88%98%EB%9F%89&rft.jtitle=Korean%20journal%20of%20crop%20science&rft.au=%EC%8B%A0%EB%A7%8C%EA%B7%A0&rft.date=1995-12-31&rft.volume=40&rft.issue=6&rft.spage=671&rft.epage=683&rft.pages=671-683&rft.issn=0252-9777&rft.eissn=2287-8432&rft_id=info:doi/&rft_dat=%3Ckoreascholar_kisti%3E12979%3C/koreascholar_kisti%3E%3Curl%3E%3C/url%3E&disable_directlink=true&sfx.directlink=off&sfx.report_link=0&rft_id=info:oai/&rft_id=info:pmid/&rfr_iscdi=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