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대한 탈무기질화 골기질의 효과
목적: 골다공증을 동반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불량한 골질은 다양한 치료 실패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내고정술과 함께 해면골 혹은 피질골의 골결손에 대한 DBM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비교적 안정하다고 생각되는 AO/OTA 분류상 31-A1형과 2형 환자 171명을 대상으로 DBM 사용 유무(A군: DBM을 사용한 군, B군: D...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대한골절학회지 2022-10, Vol.35 (4), p.151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container_end_page | |
---|---|
container_issue | 4 |
container_start_page | 151 |
container_title | 대한골절학회지 |
container_volume | 35 |
creator | 김세진 Se Jin Kim 조홍만 Hong-man Cho 정명철 Myung Cheol Jung |
description | 목적: 골다공증을 동반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불량한 골질은 다양한 치료 실패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내고정술과 함께 해면골 혹은 피질골의 골결손에 대한 DBM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비교적 안정하다고 생각되는 AO/OTA 분류상 31-A1형과 2형 환자 171명을 대상으로 DBM 사용 유무(A군: DBM을 사용한 군, B군: DBM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 따른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외에 정복 상태와 나선검 위치 등 치료 실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한 후(A-a군, B-b군),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동반될 수 있는 해면골 혹은 피질골의 골결손에 따라 환자를 세분화(A-a-1/2/3/4군, B-b-1/2/3/4군)하고 난 후 DBM 사용 유무에 따른 결과도 추가로 알아보았다.
결과: A군과 B군의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 결과와 합병증 발생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전 체중부하 시기(p |
format | Article |
fullrecord | <record><control><sourceid>kiss</sourceid><recordid>TN_cdi_kiss_primary_3974457</recordid><sourceformat>XML</sourceformat><sourcesystem>PC</sourcesystem><kiss_id>3974457</kiss_id><sourcerecordid>3974457</sourcerecordid><originalsourceid>FETCH-kiss_primary_39744573</originalsourceid><addsrcrecordid>eNpjYeA0NDIy1TU0szDiYOAtLs5MMjAwNTWzMDcx4WTweN3T8LZ9y6vNKxTeLGh5M2_Cqw0tCkDemwUdb6ZPUADJTp2j8La54_WaLa92bHizvOPtzCkgBRDOm7kzFN7OWvFq8x4eBta0xJziVF4ozc0g7eYa4uyhm51ZXBxfUJSZm1hUGW9sCbTV1NwYvywA7kBL1Q</addsrcrecordid><sourcetype>Publisher</sourcetype><iscdi>true</iscdi><recordtype>article</recordtype></control><display><type>article</type><title>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대한 탈무기질화 골기질의 효과</title><source>KoreaMed Synapse (Open Access)</source><source>KoreaMed Open Access</source><creator>김세진 ; Se Jin Kim ; 조홍만 ; Hong-man Cho ; 정명철 ; Myung Cheol Jung</creator><creatorcontrib>김세진 ; Se Jin Kim ; 조홍만 ; Hong-man Cho ; 정명철 ; Myung Cheol Jung</creatorcontrib><description>목적: 골다공증을 동반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불량한 골질은 다양한 치료 실패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내고정술과 함께 해면골 혹은 피질골의 골결손에 대한 DBM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비교적 안정하다고 생각되는 AO/OTA 분류상 31-A1형과 2형 환자 171명을 대상으로 DBM 사용 유무(A군: DBM을 사용한 군, B군: DBM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 따른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외에 정복 상태와 나선검 위치 등 치료 실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한 후(A-a군, B-b군),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동반될 수 있는 해면골 혹은 피질골의 골결손에 따라 환자를 세분화(A-a-1/2/3/4군, B-b-1/2/3/4군)하고 난 후 DBM 사용 유무에 따른 결과도 추가로 알아보았다.
결과: A군과 B군의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 결과와 합병증 발생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전 체중부하 시기(p<0.001)와 수술 후 3개월 HSS (p=0.029)는 A군에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전자간 골절 실패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요인들을 제거하고 알아본 결과 분석에서 A-a군에서 전 체중부하 시기(p=0.055)는 유의 수준에 근접하였고, 수술 후 3개월 HSS (p=0.036)는 A-a군에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그리고 이후 시행한 추가 분석에서 2단계 하위 집단 1군(cancellous defect only)과 3군(cancellous and cortical defect)에서 DBM을 사용한 경우(A-a-1군, A-a-3군) 전 체중부하 시기(p=0.088, 0.052)는 유의 수준에 근접, 수술 후 3개월 HSS (p=0.039, 0.018)는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결론: AO/OTA 31-A2.3형 이하의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안정적인 정복과 고정이 이루어진 경우 선택적인 DBM의 사용은 수술 후 조기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Purpose: Osteoporosis causes various fixation failures in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for cancellous or cortical bone defects on internal fixation in older osteoporotic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21 at a facility, 171 patients were AO/OTA type 31-A1 and type 2 fractures which are considered relatively stable. The patients were grouped based on DBM use (Group A: DBM use, Group B: DBM non-use), and their clinical and radiology resul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then subdivided into Group A-a and -b after removing factors that could cause treatment failures, such as the reduction status and location of the helical blade, and then further subdivided (Group A-a-1/2/3/4 and Group B-b-1/2/3/4) according to cancellous or cortical bone defects that could accompany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he time to full weight-bearing (FWB) and Harris hip score (HSS) 3 months after surgery in these subgroup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inical radiology results and complications between Group A and Group B. However, the time to FWB (p<0.001) and HSS (p=0.029) were significantly superior in Group A. In Group A-a with DBM use, after removing the risk factors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failure, the time to FWB (p=0.055) was close to the significance level, and HSS (p=0.036) was significantly superior. In Group A-a-1 (cancellous defect only) and Group A-a-3 (cancellous and cortical defect), the time to FWB (p=0.088, 0.052) was close to the significance level, and the HSS (p=0.039, 0.018) was significantly superior when DBM was used.
Conclusion: In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AO/OTA type 31-A2.3 or less, if stable reduction and firm fixation are achieved, selective DBM use may help early recovery after surgery.</description><identifier>ISSN: 1225-1682</identifier><language>kor</language><publisher>대한골절학회</publisher><subject>Bone matrix ; Hip fractures ; Osteoporosis ; 고관절 골절 ; 골기질 ; 골다공증</subject><ispartof>대한골절학회지, 2022-10, Vol.35 (4), p.151</ispartof><lds50>peer_reviewed</lds50><woscitedreferencessubscribed>false</woscitedreferencessubscribed></display><links><openurl>$$Topenurl_article</openurl><openurlfulltext>$$Topenurlfull_article</openurlfulltext><thumbnail>$$Tsyndetics_thumb_exl</thumbnail><link.rule.ids>315,781,785</link.rule.ids></links><search><creatorcontrib>김세진</creatorcontrib><creatorcontrib>Se Jin Kim</creatorcontrib><creatorcontrib>조홍만</creatorcontrib><creatorcontrib>Hong-man Cho</creatorcontrib><creatorcontrib>정명철</creatorcontrib><creatorcontrib>Myung Cheol Jung</creatorcontrib><title>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대한 탈무기질화 골기질의 효과</title><title>대한골절학회지</title><addtitle>대한골절학회지</addtitle><description>목적: 골다공증을 동반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불량한 골질은 다양한 치료 실패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내고정술과 함께 해면골 혹은 피질골의 골결손에 대한 DBM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비교적 안정하다고 생각되는 AO/OTA 분류상 31-A1형과 2형 환자 171명을 대상으로 DBM 사용 유무(A군: DBM을 사용한 군, B군: DBM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 따른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외에 정복 상태와 나선검 위치 등 치료 실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한 후(A-a군, B-b군),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동반될 수 있는 해면골 혹은 피질골의 골결손에 따라 환자를 세분화(A-a-1/2/3/4군, B-b-1/2/3/4군)하고 난 후 DBM 사용 유무에 따른 결과도 추가로 알아보았다.
결과: A군과 B군의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 결과와 합병증 발생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전 체중부하 시기(p<0.001)와 수술 후 3개월 HSS (p=0.029)는 A군에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전자간 골절 실패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요인들을 제거하고 알아본 결과 분석에서 A-a군에서 전 체중부하 시기(p=0.055)는 유의 수준에 근접하였고, 수술 후 3개월 HSS (p=0.036)는 A-a군에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그리고 이후 시행한 추가 분석에서 2단계 하위 집단 1군(cancellous defect only)과 3군(cancellous and cortical defect)에서 DBM을 사용한 경우(A-a-1군, A-a-3군) 전 체중부하 시기(p=0.088, 0.052)는 유의 수준에 근접, 수술 후 3개월 HSS (p=0.039, 0.018)는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결론: AO/OTA 31-A2.3형 이하의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안정적인 정복과 고정이 이루어진 경우 선택적인 DBM의 사용은 수술 후 조기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Purpose: Osteoporosis causes various fixation failures in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for cancellous or cortical bone defects on internal fixation in older osteoporotic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21 at a facility, 171 patients were AO/OTA type 31-A1 and type 2 fractures which are considered relatively stable. The patients were grouped based on DBM use (Group A: DBM use, Group B: DBM non-use), and their clinical and radiology resul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then subdivided into Group A-a and -b after removing factors that could cause treatment failures, such as the reduction status and location of the helical blade, and then further subdivided (Group A-a-1/2/3/4 and Group B-b-1/2/3/4) according to cancellous or cortical bone defects that could accompany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he time to full weight-bearing (FWB) and Harris hip score (HSS) 3 months after surgery in these subgroup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inical radiology results and complications between Group A and Group B. However, the time to FWB (p<0.001) and HSS (p=0.029) were significantly superior in Group A. In Group A-a with DBM use, after removing the risk factors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failure, the time to FWB (p=0.055) was close to the significance level, and HSS (p=0.036) was significantly superior. In Group A-a-1 (cancellous defect only) and Group A-a-3 (cancellous and cortical defect), the time to FWB (p=0.088, 0.052) was close to the significance level, and the HSS (p=0.039, 0.018) was significantly superior when DBM was used.
Conclusion: In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AO/OTA type 31-A2.3 or less, if stable reduction and firm fixation are achieved, selective DBM use may help early recovery after surgery.</description><subject>Bone matrix</subject><subject>Hip fractures</subject><subject>Osteoporosis</subject><subject>고관절 골절</subject><subject>골기질</subject><subject>골다공증</subject><issn>1225-1682</issn><fulltext>true</fulltext><rsrctype>article</rsrctype><creationdate>2022</creationdate><recordtype>article</recordtype><recordid>eNpjYeA0NDIy1TU0szDiYOAtLs5MMjAwNTWzMDcx4WTweN3T8LZ9y6vNKxTeLGh5M2_Cqw0tCkDemwUdb6ZPUADJTp2j8La54_WaLa92bHizvOPtzCkgBRDOm7kzFN7OWvFq8x4eBta0xJziVF4ozc0g7eYa4uyhm51ZXBxfUJSZm1hUGW9sCbTV1NwYvywA7kBL1Q</recordid><startdate>20221025</startdate><enddate>20221025</enddate><creator>김세진</creator><creator>Se Jin Kim</creator><creator>조홍만</creator><creator>Hong-man Cho</creator><creator>정명철</creator><creator>Myung Cheol Jung</creator><general>대한골절학회</general><scope>HZB</scope><scope>Q5X</scope></search><sort><creationdate>20221025</creationdate><title>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대한 탈무기질화 골기질의 효과</title><author>김세진 ; Se Jin Kim ; 조홍만 ; Hong-man Cho ; 정명철 ; Myung Cheol Jung</author></sort><facets><frbrtype>5</frbrtype><frbrgroupid>cdi_FETCH-kiss_primary_39744573</frbrgroupid><rsrctype>articles</rsrctype><prefilter>articles</prefilter><language>kor</language><creationdate>2022</creationdate><topic>Bone matrix</topic><topic>Hip fractures</topic><topic>Osteoporosis</topic><topic>고관절 골절</topic><topic>골기질</topic><topic>골다공증</topic><toplevel>peer_reviewed</toplevel><toplevel>online_resources</toplevel><creatorcontrib>김세진</creatorcontrib><creatorcontrib>Se Jin Kim</creatorcontrib><creatorcontrib>조홍만</creatorcontrib><creatorcontrib>Hong-man Cho</creatorcontrib><creatorcontrib>정명철</creatorcontrib><creatorcontrib>Myung Cheol Jung</creatorcontrib><collection>KISS</collection><collection>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collection><jtitle>대한골절학회지</jtitle></facets><delivery><delcategory>Remote Search Resource</delcategory><fulltext>fulltext</fulltext></delivery><addata><au>김세진</au><au>Se Jin Kim</au><au>조홍만</au><au>Hong-man Cho</au><au>정명철</au><au>Myung Cheol Jung</au><format>journal</format><genre>article</genre><ristype>JOUR</ristype><atitle>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대한 탈무기질화 골기질의 효과</atitle><jtitle>대한골절학회지</jtitle><addtitle>대한골절학회지</addtitle><date>2022-10-25</date><risdate>2022</risdate><volume>35</volume><issue>4</issue><spage>151</spage><pages>151-</pages><issn>1225-1682</issn><abstract>목적: 골다공증을 동반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불량한 골질은 다양한 치료 실패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내고정술과 함께 해면골 혹은 피질골의 골결손에 대한 DBM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비교적 안정하다고 생각되는 AO/OTA 분류상 31-A1형과 2형 환자 171명을 대상으로 DBM 사용 유무(A군: DBM을 사용한 군, B군: DBM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 따른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외에 정복 상태와 나선검 위치 등 치료 실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한 후(A-a군, B-b군),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동반될 수 있는 해면골 혹은 피질골의 골결손에 따라 환자를 세분화(A-a-1/2/3/4군, B-b-1/2/3/4군)하고 난 후 DBM 사용 유무에 따른 결과도 추가로 알아보았다.
결과: A군과 B군의 임상적 및 영상의학적 결과와 합병증 발생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전 체중부하 시기(p<0.001)와 수술 후 3개월 HSS (p=0.029)는 A군에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전자간 골절 실패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요인들을 제거하고 알아본 결과 분석에서 A-a군에서 전 체중부하 시기(p=0.055)는 유의 수준에 근접하였고, 수술 후 3개월 HSS (p=0.036)는 A-a군에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그리고 이후 시행한 추가 분석에서 2단계 하위 집단 1군(cancellous defect only)과 3군(cancellous and cortical defect)에서 DBM을 사용한 경우(A-a-1군, A-a-3군) 전 체중부하 시기(p=0.088, 0.052)는 유의 수준에 근접, 수술 후 3개월 HSS (p=0.039, 0.018)는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결론: AO/OTA 31-A2.3형 이하의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안정적인 정복과 고정이 이루어진 경우 선택적인 DBM의 사용은 수술 후 조기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Purpose: Osteoporosis causes various fixation failures in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for cancellous or cortical bone defects on internal fixation in older osteoporotic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21 at a facility, 171 patients were AO/OTA type 31-A1 and type 2 fractures which are considered relatively stable. The patients were grouped based on DBM use (Group A: DBM use, Group B: DBM non-use), and their clinical and radiology resul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then subdivided into Group A-a and -b after removing factors that could cause treatment failures, such as the reduction status and location of the helical blade, and then further subdivided (Group A-a-1/2/3/4 and Group B-b-1/2/3/4) according to cancellous or cortical bone defects that could accompany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he time to full weight-bearing (FWB) and Harris hip score (HSS) 3 months after surgery in these subgroup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inical radiology results and complications between Group A and Group B. However, the time to FWB (p<0.001) and HSS (p=0.029) were significantly superior in Group A. In Group A-a with DBM use, after removing the risk factors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 failure, the time to FWB (p=0.055) was close to the significance level, and HSS (p=0.036) was significantly superior. In Group A-a-1 (cancellous defect only) and Group A-a-3 (cancellous and cortical defect), the time to FWB (p=0.088, 0.052) was close to the significance level, and the HSS (p=0.039, 0.018) was significantly superior when DBM was used.
Conclusion: In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AO/OTA type 31-A2.3 or less, if stable reduction and firm fixation are achieved, selective DBM use may help early recovery after surgery.</abstract><pub>대한골절학회</pub><tpages>11</tpages></addata></record> |
fulltext | fulltext |
identifier | ISSN: 1225-1682 |
ispartof | 대한골절학회지, 2022-10, Vol.35 (4), p.151 |
issn | 1225-1682 |
language | kor |
recordid | cdi_kiss_primary_3974457 |
source | KoreaMed Synapse (Open Access); KoreaMed Open Access |
subjects | Bone matrix Hip fractures Osteoporosis 고관절 골절 골기질 골다공증 |
title |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대한 탈무기질화 골기질의 효과 |
url | https://sfx.bib-bvb.de/sfx_tum?ctx_ver=Z39.88-2004&ctx_enc=info:ofi/enc:UTF-8&ctx_tim=2024-12-17T19%3A56%3A22IST&url_ver=Z39.88-2004&url_ctx_fmt=infofi/fmt:kev:mtx:ctx&rfr_id=info:sid/primo.exlibrisgroup.com:primo3-Article-kiss&rft_val_fmt=info:ofi/fmt:kev:mtx: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C%80%ED%87%B4%EA%B3%A8%20%EC%A0%84%EC%9E%90%EA%B0%84%20%EA%B3%A8%EC%A0%88%EC%97%90%20%EB%8C%80%ED%95%9C%20%ED%83%88%EB%AC%B4%EA%B8%B0%EC%A7%88%ED%99%94%20%EA%B3%A8%EA%B8%B0%EC%A7%88%EC%9D%98%20%ED%9A%A8%EA%B3%BC&rft.jtitle=%EB%8C%80%ED%95%9C%EA%B3%A8%EC%A0%88%ED%95%99%ED%9A%8C%EC%A7%80&rft.au=%EA%B9%80%EC%84%B8%EC%A7%84&rft.date=2022-10-25&rft.volume=35&rft.issue=4&rft.spage=151&rft.pages=151-&rft.issn=1225-1682&rft_id=info:doi/&rft_dat=%3Ckiss%3E3974457%3C/kiss%3E%3Curl%3E%3C/url%3E&disable_directlink=true&sfx.directlink=off&sfx.report_link=0&rft_id=info:oai/&rft_id=info:pmid/&rft_kiss_id=3974457&rfr_iscdi=tru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