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생검을 통한 양성 유방 병변의 맘모톰 절제에 대한 임상적 연구

연구목적: 핵생검과 맘모톰을 이용해서 절제된 병변의 병리조직학적 결과가 상이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특히 상피 증식의 조직학적 소견이나 유두상 종양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동반되는 암성 병변의 확률이 높으므로 주위 병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맘모톰 절제술을 통한 전체 병변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하여 핵생 검과 맘모톰 절제술의 조직학적 소견의 차이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10년 6월까지 화명일신기독병원 유방클리닉에서 초음파와 핵생검을 시행후 양성유방종양으로 진단...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2013-04, Vol.19 (1), p.9
Hauptverfasser: 정재혁, Jae Heok Jeong, 김휘곤, Hwi Gon Kim, 김기형, Ki Hyung Kim, 최욱환, Ook Hwan Choi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container_end_page
container_issue 1
container_start_page 9
container_title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container_volume 19
creator 정재혁
Jae Heok Jeong
김휘곤
Hwi Gon Kim
김기형
Ki Hyung Kim
최욱환
Ook Hwan Choi
description 연구목적: 핵생검과 맘모톰을 이용해서 절제된 병변의 병리조직학적 결과가 상이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특히 상피 증식의 조직학적 소견이나 유두상 종양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동반되는 암성 병변의 확률이 높으므로 주위 병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맘모톰 절제술을 통한 전체 병변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하여 핵생 검과 맘모톰 절제술의 조직학적 소견의 차이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10년 6월까지 화명일신기독병원 유방클리닉에서 초음파와 핵생검을 시행후 양성유방종양으로 진단되어 맘모톰 유방 종양 절제술을 시행한 347명을 대상으로 하여 맘모톰 절제술을 통한 전체 병변의 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하여 핵생검의 유용성에 대한 병리학적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결과: 섬유선종의 경우 핵생검에서 119예과 맘모톰 조직검사에서 123예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섬유선종성 증식의 경우 27예에서 65예로 8.3%에서 19.0%로 증가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섬유낭성변화의 경우 핵생검에서 단순 섬유낭성변화가 99예, 30.3%이었으나 맘모톰 조직검사상 단순 섬유낭성 변화는 35예, 10.2%에 지나지 않았고, 상피 증식을 동반한 경우가 45예, 13.2%에서 관찰되었고, 풍부한 상피 증식을 동반한 경우도 25예, 7.3%로 나타났으며, 비정형상피증식을 동반한 경우도 핵생검에서 12예, 3.7%에서 맘모톰 조직검사에는 16예, 4.7%로 증가하였다. 미세석회를 동반하는 경우는 핵생검에서 10예이었으며, 맘모톰에서는 14예로 증가하였다. 이들에 대한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Spearman 상관계수 0.413으로 관찰되어 핵생검과 맘모톰 생검과의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로 조직검사결과가 다르게 관찰되었다. 결론: 핵생검의 조직학적 결과와 맘모톰을 이용한 병변의 절제의 조직학적 결과가 상이함을 관찰하였고, 맘모톰은 핵생검으로 진단한 병변의 저평가를 줄일 수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sider the clinical experience of an ultrasound-guided vacuum-assisted resection (Mammotome) for benign breast lesions through a core needle biopsy. Methods: The authors carried out a core needle biopsy and Mammotome for 347 patients and investigated the pathologic results. Result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core needle biopsy and Mammotome results was demonstrate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is 0.413 in a correlation analysis. Conclusion: This experience suggest Mammotome is a useful procedure for providing more correct pathologic findings through complete resection of benign breast lesions. (J Korean Soc Menopause 2013;19:9-17)
format Article
fullrecord <record><control><sourceid>kiss</sourceid><recordid>TN_cdi_kiss_primary_3138827</recordid><sourceformat>XML</sourceformat><sourcesystem>PC</sourcesystem><kiss_id>3138827</kiss_id><sourcerecordid>3138827</sourcerecordid><originalsourceid>FETCH-kiss_primary_31388273</originalsourceid><addsrcrecordid>eNpjYuA0MrKw0DUzNzNkgbFNzC04GHiLizOTDExMzE1MDczMORnC307d-qZ57qtNDW_mtii8bdv6duochTfTJr5p2ajwZs6C1xtWKrzePPH1ZqD0DIXXy2e8XrXibdsGhTcLOt4smPNm-gSF1z0NYC3zWt40N75Z0KjwZvqGV1vX8DCwpiXmFKfyQmluBmk31xBnD93szOLi-IKizNzEosp4Y0NjCwsjc2P8sgA6X1YL</addsrcrecordid><sourcetype>Publisher</sourcetype><iscdi>true</iscdi><recordtype>article</recordtype></control><display><type>article</type><title>핵생검을 통한 양성 유방 병변의 맘모톰 절제에 대한 임상적 연구</title><source>KoreaMed Open Access</source><source>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source><source>Elektronische Zeitschriftenbibliothek - Frei zugängliche E-Journals</source><source>PubMed Central</source><source>PubMed Central Open Access</source><creator>정재혁 ; Jae Heok Jeong ; 김휘곤 ; Hwi Gon Kim ; 김기형 ; Ki Hyung Kim ; 최욱환 ; Ook Hwan Choi</creator><creatorcontrib>정재혁 ; Jae Heok Jeong ; 김휘곤 ; Hwi Gon Kim ; 김기형 ; Ki Hyung Kim ; 최욱환 ; Ook Hwan Choi</creatorcontrib><description>연구목적: 핵생검과 맘모톰을 이용해서 절제된 병변의 병리조직학적 결과가 상이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특히 상피 증식의 조직학적 소견이나 유두상 종양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동반되는 암성 병변의 확률이 높으므로 주위 병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맘모톰 절제술을 통한 전체 병변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하여 핵생 검과 맘모톰 절제술의 조직학적 소견의 차이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10년 6월까지 화명일신기독병원 유방클리닉에서 초음파와 핵생검을 시행후 양성유방종양으로 진단되어 맘모톰 유방 종양 절제술을 시행한 347명을 대상으로 하여 맘모톰 절제술을 통한 전체 병변의 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하여 핵생검의 유용성에 대한 병리학적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결과: 섬유선종의 경우 핵생검에서 119예과 맘모톰 조직검사에서 123예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섬유선종성 증식의 경우 27예에서 65예로 8.3%에서 19.0%로 증가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섬유낭성변화의 경우 핵생검에서 단순 섬유낭성변화가 99예, 30.3%이었으나 맘모톰 조직검사상 단순 섬유낭성 변화는 35예, 10.2%에 지나지 않았고, 상피 증식을 동반한 경우가 45예, 13.2%에서 관찰되었고, 풍부한 상피 증식을 동반한 경우도 25예, 7.3%로 나타났으며, 비정형상피증식을 동반한 경우도 핵생검에서 12예, 3.7%에서 맘모톰 조직검사에는 16예, 4.7%로 증가하였다. 미세석회를 동반하는 경우는 핵생검에서 10예이었으며, 맘모톰에서는 14예로 증가하였다. 이들에 대한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Spearman 상관계수 0.413으로 관찰되어 핵생검과 맘모톰 생검과의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로 조직검사결과가 다르게 관찰되었다. 결론: 핵생검의 조직학적 결과와 맘모톰을 이용한 병변의 절제의 조직학적 결과가 상이함을 관찰하였고, 맘모톰은 핵생검으로 진단한 병변의 저평가를 줄일 수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sider the clinical experience of an ultrasound-guided vacuum-assisted resection (Mammotome) for benign breast lesions through a core needle biopsy. Methods: The authors carried out a core needle biopsy and Mammotome for 347 patients and investigated the pathologic results. Result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core needle biopsy and Mammotome results was demonstrate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is 0.413 in a correlation analysis. Conclusion: This experience suggest Mammotome is a useful procedure for providing more correct pathologic findings through complete resection of benign breast lesions. (J Korean Soc Menopause 2013;19:9-17)</description><identifier>ISSN: 2288-6478</identifier><identifier>EISSN: 2288-6761</identifier><language>kor</language><publisher>대한폐경학회</publisher><subject>Biopsy needle ; Breast diseases ; Breast neoplasms ; Mammography ; Mammotome ; 맘모톰 ; 생검 ; 유방암 ; 유방질환 ; 유방촬영</subject><ispartof>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2013-04, Vol.19 (1), p.9</ispartof><lds50>peer_reviewed</lds50><woscitedreferencessubscribed>false</woscitedreferencessubscribed></display><links><openurl>$$Topenurl_article</openurl><openurlfulltext>$$Topenurlfull_article</openurlfulltext><thumbnail>$$Tsyndetics_thumb_exl</thumbnail><link.rule.ids>314,776,780</link.rule.ids></links><search><creatorcontrib>정재혁</creatorcontrib><creatorcontrib>Jae Heok Jeong</creatorcontrib><creatorcontrib>김휘곤</creatorcontrib><creatorcontrib>Hwi Gon Kim</creatorcontrib><creatorcontrib>김기형</creatorcontrib><creatorcontrib>Ki Hyung Kim</creatorcontrib><creatorcontrib>최욱환</creatorcontrib><creatorcontrib>Ook Hwan Choi</creatorcontrib><title>핵생검을 통한 양성 유방 병변의 맘모톰 절제에 대한 임상적 연구</title><title>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title><addtitle>대한폐경학회지</addtitle><description>연구목적: 핵생검과 맘모톰을 이용해서 절제된 병변의 병리조직학적 결과가 상이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특히 상피 증식의 조직학적 소견이나 유두상 종양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동반되는 암성 병변의 확률이 높으므로 주위 병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맘모톰 절제술을 통한 전체 병변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하여 핵생 검과 맘모톰 절제술의 조직학적 소견의 차이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10년 6월까지 화명일신기독병원 유방클리닉에서 초음파와 핵생검을 시행후 양성유방종양으로 진단되어 맘모톰 유방 종양 절제술을 시행한 347명을 대상으로 하여 맘모톰 절제술을 통한 전체 병변의 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하여 핵생검의 유용성에 대한 병리학적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결과: 섬유선종의 경우 핵생검에서 119예과 맘모톰 조직검사에서 123예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섬유선종성 증식의 경우 27예에서 65예로 8.3%에서 19.0%로 증가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섬유낭성변화의 경우 핵생검에서 단순 섬유낭성변화가 99예, 30.3%이었으나 맘모톰 조직검사상 단순 섬유낭성 변화는 35예, 10.2%에 지나지 않았고, 상피 증식을 동반한 경우가 45예, 13.2%에서 관찰되었고, 풍부한 상피 증식을 동반한 경우도 25예, 7.3%로 나타났으며, 비정형상피증식을 동반한 경우도 핵생검에서 12예, 3.7%에서 맘모톰 조직검사에는 16예, 4.7%로 증가하였다. 미세석회를 동반하는 경우는 핵생검에서 10예이었으며, 맘모톰에서는 14예로 증가하였다. 이들에 대한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Spearman 상관계수 0.413으로 관찰되어 핵생검과 맘모톰 생검과의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로 조직검사결과가 다르게 관찰되었다. 결론: 핵생검의 조직학적 결과와 맘모톰을 이용한 병변의 절제의 조직학적 결과가 상이함을 관찰하였고, 맘모톰은 핵생검으로 진단한 병변의 저평가를 줄일 수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sider the clinical experience of an ultrasound-guided vacuum-assisted resection (Mammotome) for benign breast lesions through a core needle biopsy. Methods: The authors carried out a core needle biopsy and Mammotome for 347 patients and investigated the pathologic results. Result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core needle biopsy and Mammotome results was demonstrate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is 0.413 in a correlation analysis. Conclusion: This experience suggest Mammotome is a useful procedure for providing more correct pathologic findings through complete resection of benign breast lesions. (J Korean Soc Menopause 2013;19:9-17)</description><subject>Biopsy needle</subject><subject>Breast diseases</subject><subject>Breast neoplasms</subject><subject>Mammography</subject><subject>Mammotome</subject><subject>맘모톰</subject><subject>생검</subject><subject>유방암</subject><subject>유방질환</subject><subject>유방촬영</subject><issn>2288-6478</issn><issn>2288-6761</issn><fulltext>true</fulltext><rsrctype>article</rsrctype><creationdate>2013</creationdate><recordtype>article</recordtype><recordid>eNpjYuA0MrKw0DUzNzNkgbFNzC04GHiLizOTDExMzE1MDczMORnC307d-qZ57qtNDW_mtii8bdv6duochTfTJr5p2ajwZs6C1xtWKrzePPH1ZqD0DIXXy2e8XrXibdsGhTcLOt4smPNm-gSF1z0NYC3zWt40N75Z0KjwZvqGV1vX8DCwpiXmFKfyQmluBmk31xBnD93szOLi-IKizNzEosp4Y0NjCwsjc2P8sgA6X1YL</recordid><startdate>20130430</startdate><enddate>20130430</enddate><creator>정재혁</creator><creator>Jae Heok Jeong</creator><creator>김휘곤</creator><creator>Hwi Gon Kim</creator><creator>김기형</creator><creator>Ki Hyung Kim</creator><creator>최욱환</creator><creator>Ook Hwan Choi</creator><general>대한폐경학회</general><scope>HZB</scope><scope>Q5X</scope></search><sort><creationdate>20130430</creationdate><title>핵생검을 통한 양성 유방 병변의 맘모톰 절제에 대한 임상적 연구</title><author>정재혁 ; Jae Heok Jeong ; 김휘곤 ; Hwi Gon Kim ; 김기형 ; Ki Hyung Kim ; 최욱환 ; Ook Hwan Choi</author></sort><facets><frbrtype>5</frbrtype><frbrgroupid>cdi_FETCH-kiss_primary_31388273</frbrgroupid><rsrctype>articles</rsrctype><prefilter>articles</prefilter><language>kor</language><creationdate>2013</creationdate><topic>Biopsy needle</topic><topic>Breast diseases</topic><topic>Breast neoplasms</topic><topic>Mammography</topic><topic>Mammotome</topic><topic>맘모톰</topic><topic>생검</topic><topic>유방암</topic><topic>유방질환</topic><topic>유방촬영</topic><toplevel>peer_reviewed</toplevel><toplevel>online_resources</toplevel><creatorcontrib>정재혁</creatorcontrib><creatorcontrib>Jae Heok Jeong</creatorcontrib><creatorcontrib>김휘곤</creatorcontrib><creatorcontrib>Hwi Gon Kim</creatorcontrib><creatorcontrib>김기형</creatorcontrib><creatorcontrib>Ki Hyung Kim</creatorcontrib><creatorcontrib>최욱환</creatorcontrib><creatorcontrib>Ook Hwan Choi</creatorcontrib><collection>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collection><collection>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collection><jtitle>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jtitle></facets><delivery><delcategory>Remote Search Resource</delcategory><fulltext>fulltext</fulltext></delivery><addata><au>정재혁</au><au>Jae Heok Jeong</au><au>김휘곤</au><au>Hwi Gon Kim</au><au>김기형</au><au>Ki Hyung Kim</au><au>최욱환</au><au>Ook Hwan Choi</au><format>journal</format><genre>article</genre><ristype>JOUR</ristype><atitle>핵생검을 통한 양성 유방 병변의 맘모톰 절제에 대한 임상적 연구</atitle><jtitle>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jtitle><addtitle>대한폐경학회지</addtitle><date>2013-04-30</date><risdate>2013</risdate><volume>19</volume><issue>1</issue><spage>9</spage><pages>9-</pages><issn>2288-6478</issn><eissn>2288-6761</eissn><abstract>연구목적: 핵생검과 맘모톰을 이용해서 절제된 병변의 병리조직학적 결과가 상이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특히 상피 증식의 조직학적 소견이나 유두상 종양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동반되는 암성 병변의 확률이 높으므로 주위 병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맘모톰 절제술을 통한 전체 병변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하여 핵생 검과 맘모톰 절제술의 조직학적 소견의 차이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10년 6월까지 화명일신기독병원 유방클리닉에서 초음파와 핵생검을 시행후 양성유방종양으로 진단되어 맘모톰 유방 종양 절제술을 시행한 347명을 대상으로 하여 맘모톰 절제술을 통한 전체 병변의 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하여 핵생검의 유용성에 대한 병리학적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결과: 섬유선종의 경우 핵생검에서 119예과 맘모톰 조직검사에서 123예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섬유선종성 증식의 경우 27예에서 65예로 8.3%에서 19.0%로 증가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섬유낭성변화의 경우 핵생검에서 단순 섬유낭성변화가 99예, 30.3%이었으나 맘모톰 조직검사상 단순 섬유낭성 변화는 35예, 10.2%에 지나지 않았고, 상피 증식을 동반한 경우가 45예, 13.2%에서 관찰되었고, 풍부한 상피 증식을 동반한 경우도 25예, 7.3%로 나타났으며, 비정형상피증식을 동반한 경우도 핵생검에서 12예, 3.7%에서 맘모톰 조직검사에는 16예, 4.7%로 증가하였다. 미세석회를 동반하는 경우는 핵생검에서 10예이었으며, 맘모톰에서는 14예로 증가하였다. 이들에 대한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Spearman 상관계수 0.413으로 관찰되어 핵생검과 맘모톰 생검과의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로 조직검사결과가 다르게 관찰되었다. 결론: 핵생검의 조직학적 결과와 맘모톰을 이용한 병변의 절제의 조직학적 결과가 상이함을 관찰하였고, 맘모톰은 핵생검으로 진단한 병변의 저평가를 줄일 수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sider the clinical experience of an ultrasound-guided vacuum-assisted resection (Mammotome) for benign breast lesions through a core needle biopsy. Methods: The authors carried out a core needle biopsy and Mammotome for 347 patients and investigated the pathologic results. Result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core needle biopsy and Mammotome results was demonstrate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is 0.413 in a correlation analysis. Conclusion: This experience suggest Mammotome is a useful procedure for providing more correct pathologic findings through complete resection of benign breast lesions. (J Korean Soc Menopause 2013;19:9-17)</abstract><pub>대한폐경학회</pub><tpages>9</tpages></addata></record>
fulltext fulltext
identifier ISSN: 2288-6478
ispartof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2013-04, Vol.19 (1), p.9
issn 2288-6478
2288-6761
language kor
recordid cdi_kiss_primary_3138827
source KoreaMed Open Access;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Elektronische Zeitschriftenbibliothek - Frei zugängliche E-Journals; PubMed Central; PubMed Central Open Access
subjects Biopsy needle
Breast diseases
Breast neoplasms
Mammography
Mammotome
맘모톰
생검
유방암
유방질환
유방촬영
title 핵생검을 통한 양성 유방 병변의 맘모톰 절제에 대한 임상적 연구
url https://sfx.bib-bvb.de/sfx_tum?ctx_ver=Z39.88-2004&ctx_enc=info:ofi/enc:UTF-8&ctx_tim=2025-02-01T18%3A20%3A19IST&url_ver=Z39.88-2004&url_ctx_fmt=infofi/fmt:kev:mtx:ctx&rfr_id=info:sid/primo.exlibrisgroup.com:primo3-Article-kiss&rft_val_fmt=info:ofi/fmt:kev:mtx: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5%B5%EC%83%9D%EA%B2%80%EC%9D%84%20%ED%86%B5%ED%95%9C%20%EC%96%91%EC%84%B1%20%EC%9C%A0%EB%B0%A9%20%EB%B3%91%EB%B3%80%EC%9D%98%20%EB%A7%98%EB%AA%A8%ED%86%B0%20%EC%A0%88%EC%A0%9C%EC%97%90%20%EB%8C%80%ED%95%9C%20%EC%9E%84%EC%83%81%EC%A0%81%20%EC%97%B0%EA%B5%AC&rft.jtitle=Journal%20of%20menopausal%20medicine&rft.au=%EC%A0%95%EC%9E%AC%ED%98%81&rft.date=2013-04-30&rft.volume=19&rft.issue=1&rft.spage=9&rft.pages=9-&rft.issn=2288-6478&rft.eissn=2288-6761&rft_id=info:doi/&rft_dat=%3Ckiss%3E3138827%3C/kiss%3E%3Curl%3E%3C/url%3E&disable_directlink=true&sfx.directlink=off&sfx.report_link=0&rft_id=info:oai/&rft_id=info:pmid/&rft_kiss_id=3138827&rfr_iscdi=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