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llel symposium B. 간질환에 대한 영상검사 및 중재적 시술 : 간 자기공명영상의 최신지견

최근 간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의 발전에 힘입어, 간 영상에서 MR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 중에서 새로운 간세포 특이적 조영제인 gadoxetate (Gd-EOB-DTPA)는 기존의 비특이적 세포외액조영제의 역동적 영상뿐만 아니라 간세포의 기능적 영상을 함께 얻을 수 있어서 주목 받고 있다. Gadoxetate는 간 국소 병변의 특성화에 추가적인 진단적 가치를 보이며, 간세포암 등의 발견에 있어서도 다중검출 CT (Multidetector CT)보다 우수한 성적이 보고되고 있다....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2010-11, Vol.16 (5s), p.112
Hauptverfasser: 원형진, Hyung Jin Wo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container_end_page
container_issue 5s
container_start_page 112
container_title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container_volume 16
creator 원형진
Hyung Jin Won
description 최근 간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의 발전에 힘입어, 간 영상에서 MR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 중에서 새로운 간세포 특이적 조영제인 gadoxetate (Gd-EOB-DTPA)는 기존의 비특이적 세포외액조영제의 역동적 영상뿐만 아니라 간세포의 기능적 영상을 함께 얻을 수 있어서 주목 받고 있다. Gadoxetate는 간 국소 병변의 특성화에 추가적인 진단적 가치를 보이며, 간세포암 등의 발견에 있어서도 다중검출 CT (Multidetector CT)보다 우수한 성적이 보고되고 있다. 또 다른 새로운 영상기법으로는 확산강조영상(Diffusion-weighted imaging, DWI)을 들 수 있다. 확산강조영상은 조직내의 물 분자의 확산 특성을 영상화하는 자기공명영상 기법이며, 간국소 병변의 검출과 감별진단에 도움을 준다. 이 글에서는 gadoxetate와 확산강조영상의 기본원리를 소개하고, 흔하게 마주치는 간 국소 병변, 특히 간세포암에 대하여 영상 소견과 진단적 가치를 기술하고자 한다.
format Article
fullrecord <record><control><sourceid>kiss</sourceid><recordid>TN_cdi_kiss_primary_2880403</recordid><sourceformat>XML</sourceformat><sourcesystem>PC</sourcesystem><kiss_id>2880403</kiss_id><sourcerecordid>2880403</sourcerecordid><originalsourceid>FETCH-kiss_primary_28804033</originalsourceid><addsrcrecordid>eNpjYeA0MrIw1zUyN7LgYOAtLs5MMjAxMTc2NjQx5WQoCUgsSszJSc1RKK7MLcgvzizNVXDSU3i1oeXN8o63M2e8mT5B4XVPw9upcxTezGh809z4alPDm6Y1Cq839Cu8WTLxzbw1bxY0KrzpnvOmY4GCFUifwpt5E17t2PBq89bXq1ohet7MnaHwZuucN90L3ixveLVpDQ8Da1piTnEqL5TmZpB2cw1x9tDNziwuji8oysxNLKqMN7KwMDAxMDbGLwsAugJgPQ</addsrcrecordid><sourcetype>Publisher</sourcetype><iscdi>true</iscdi><recordtype>article</recordtype></control><display><type>article</type><title>Parallel symposium B. 간질환에 대한 영상검사 및 중재적 시술 : 간 자기공명영상의 최신지견</title><source>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source><creator>원형진 ; Hyung Jin Won</creator><creatorcontrib>원형진 ; Hyung Jin Won</creatorcontrib><description>최근 간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의 발전에 힘입어, 간 영상에서 MR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 중에서 새로운 간세포 특이적 조영제인 gadoxetate (Gd-EOB-DTPA)는 기존의 비특이적 세포외액조영제의 역동적 영상뿐만 아니라 간세포의 기능적 영상을 함께 얻을 수 있어서 주목 받고 있다. Gadoxetate는 간 국소 병변의 특성화에 추가적인 진단적 가치를 보이며, 간세포암 등의 발견에 있어서도 다중검출 CT (Multidetector CT)보다 우수한 성적이 보고되고 있다. 또 다른 새로운 영상기법으로는 확산강조영상(Diffusion-weighted imaging, DWI)을 들 수 있다. 확산강조영상은 조직내의 물 분자의 확산 특성을 영상화하는 자기공명영상 기법이며, 간국소 병변의 검출과 감별진단에 도움을 준다. 이 글에서는 gadoxetate와 확산강조영상의 기본원리를 소개하고, 흔하게 마주치는 간 국소 병변, 특히 간세포암에 대하여 영상 소견과 진단적 가치를 기술하고자 한다.</description><identifier>ISSN: 2287-2728</identifier><language>kor</language><publisher>대한간학회</publisher><subject>Dif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 gadolinium ethoxybenzyl DTPA ; Liver neoplasms ; Magnetic Resonance Imaging ; 간 신생물 ; 자기공명영상 ; 확산강조영상</subject><ispartof>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2010-11, Vol.16 (5s), p.112</ispartof><lds50>peer_reviewed</lds50><woscitedreferencessubscribed>false</woscitedreferencessubscribed></display><links><openurl>$$Topenurl_article</openurl><openurlfulltext>$$Topenurlfull_article</openurlfulltext><thumbnail>$$Tsyndetics_thumb_exl</thumbnail><link.rule.ids>314,776,780</link.rule.ids></links><search><creatorcontrib>원형진</creatorcontrib><creatorcontrib>Hyung Jin Won</creatorcontrib><title>Parallel symposium B. 간질환에 대한 영상검사 및 중재적 시술 : 간 자기공명영상의 최신지견</title><title>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title><addtitle>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addtitle><description>최근 간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의 발전에 힘입어, 간 영상에서 MR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 중에서 새로운 간세포 특이적 조영제인 gadoxetate (Gd-EOB-DTPA)는 기존의 비특이적 세포외액조영제의 역동적 영상뿐만 아니라 간세포의 기능적 영상을 함께 얻을 수 있어서 주목 받고 있다. Gadoxetate는 간 국소 병변의 특성화에 추가적인 진단적 가치를 보이며, 간세포암 등의 발견에 있어서도 다중검출 CT (Multidetector CT)보다 우수한 성적이 보고되고 있다. 또 다른 새로운 영상기법으로는 확산강조영상(Diffusion-weighted imaging, DWI)을 들 수 있다. 확산강조영상은 조직내의 물 분자의 확산 특성을 영상화하는 자기공명영상 기법이며, 간국소 병변의 검출과 감별진단에 도움을 준다. 이 글에서는 gadoxetate와 확산강조영상의 기본원리를 소개하고, 흔하게 마주치는 간 국소 병변, 특히 간세포암에 대하여 영상 소견과 진단적 가치를 기술하고자 한다.</description><subject>Dif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subject><subject>gadolinium ethoxybenzyl DTPA</subject><subject>Liver neoplasms</subject><subject>Magnetic Resonance Imaging</subject><subject>간 신생물</subject><subject>자기공명영상</subject><subject>확산강조영상</subject><issn>2287-2728</issn><fulltext>true</fulltext><rsrctype>article</rsrctype><creationdate>2010</creationdate><recordtype>article</recordtype><recordid>eNpjYeA0MrIw1zUyN7LgYOAtLs5MMjAxMTc2NjQx5WQoCUgsSszJSc1RKK7MLcgvzizNVXDSU3i1oeXN8o63M2e8mT5B4XVPw9upcxTezGh809z4alPDm6Y1Cq839Cu8WTLxzbw1bxY0KrzpnvOmY4GCFUifwpt5E17t2PBq89bXq1ohet7MnaHwZuucN90L3ixveLVpDQ8Da1piTnEqL5TmZpB2cw1x9tDNziwuji8oysxNLKqMN7KwMDAxMDbGLwsAugJgPQ</recordid><startdate>20101124</startdate><enddate>20101124</enddate><creator>원형진</creator><creator>Hyung Jin Won</creator><general>대한간학회</general><scope>HZB</scope><scope>Q5X</scope></search><sort><creationdate>20101124</creationdate><title>Parallel symposium B. 간질환에 대한 영상검사 및 중재적 시술 : 간 자기공명영상의 최신지견</title><author>원형진 ; Hyung Jin Won</author></sort><facets><frbrtype>5</frbrtype><frbrgroupid>cdi_FETCH-kiss_primary_28804033</frbrgroupid><rsrctype>articles</rsrctype><prefilter>articles</prefilter><language>kor</language><creationdate>2010</creationdate><topic>Dif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topic><topic>gadolinium ethoxybenzyl DTPA</topic><topic>Liver neoplasms</topic><topic>Magnetic Resonance Imaging</topic><topic>간 신생물</topic><topic>자기공명영상</topic><topic>확산강조영상</topic><toplevel>peer_reviewed</toplevel><toplevel>online_resources</toplevel><creatorcontrib>원형진</creatorcontrib><creatorcontrib>Hyung Jin Won</creatorcontrib><collection>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collection><collection>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collection><jtitle>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jtitle></facets><delivery><delcategory>Remote Search Resource</delcategory><fulltext>fulltext</fulltext></delivery><addata><au>원형진</au><au>Hyung Jin Won</au><format>journal</format><genre>article</genre><ristype>JOUR</ristype><atitle>Parallel symposium B. 간질환에 대한 영상검사 및 중재적 시술 : 간 자기공명영상의 최신지견</atitle><jtitle>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jtitle><addtitle>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addtitle><date>2010-11-24</date><risdate>2010</risdate><volume>16</volume><issue>5s</issue><spage>112</spage><pages>112-</pages><issn>2287-2728</issn><abstract>최근 간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의 발전에 힘입어, 간 영상에서 MR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 중에서 새로운 간세포 특이적 조영제인 gadoxetate (Gd-EOB-DTPA)는 기존의 비특이적 세포외액조영제의 역동적 영상뿐만 아니라 간세포의 기능적 영상을 함께 얻을 수 있어서 주목 받고 있다. Gadoxetate는 간 국소 병변의 특성화에 추가적인 진단적 가치를 보이며, 간세포암 등의 발견에 있어서도 다중검출 CT (Multidetector CT)보다 우수한 성적이 보고되고 있다. 또 다른 새로운 영상기법으로는 확산강조영상(Diffusion-weighted imaging, DWI)을 들 수 있다. 확산강조영상은 조직내의 물 분자의 확산 특성을 영상화하는 자기공명영상 기법이며, 간국소 병변의 검출과 감별진단에 도움을 준다. 이 글에서는 gadoxetate와 확산강조영상의 기본원리를 소개하고, 흔하게 마주치는 간 국소 병변, 특히 간세포암에 대하여 영상 소견과 진단적 가치를 기술하고자 한다.</abstract><pub>대한간학회</pub><tpages>5</tpages></addata></record>
fulltext fulltext
identifier ISSN: 2287-2728
ispartof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2010-11, Vol.16 (5s), p.112
issn 2287-2728
language kor
recordid cdi_kiss_primary_2880403
source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subjects Dif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gadolinium ethoxybenzyl DTPA
Liver neoplasms
Magnetic Resonance Imaging
간 신생물
자기공명영상
확산강조영상
title Parallel symposium B. 간질환에 대한 영상검사 및 중재적 시술 : 간 자기공명영상의 최신지견
url https://sfx.bib-bvb.de/sfx_tum?ctx_ver=Z39.88-2004&ctx_enc=info:ofi/enc:UTF-8&ctx_tim=2025-02-07T00%3A01%3A48IST&url_ver=Z39.88-2004&url_ctx_fmt=infofi/fmt:kev:mtx:ctx&rfr_id=info:sid/primo.exlibrisgroup.com:primo3-Article-kiss&rft_val_fmt=info:ofi/fmt:kev:mtx: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Parallel%20symposium%20B.%20%EA%B0%84%EC%A7%88%ED%99%98%EC%97%90%20%EB%8C%80%ED%95%9C%20%EC%98%81%EC%83%81%EA%B2%80%EC%82%AC%20%EB%B0%8F%20%EC%A4%91%EC%9E%AC%EC%A0%81%20%EC%8B%9C%EC%88%A0%20:%20%EA%B0%84%20%EC%9E%90%EA%B8%B0%EA%B3%B5%EB%AA%85%EC%98%81%EC%83%81%EC%9D%98%20%EC%B5%9C%EC%8B%A0%EC%A7%80%EA%B2%AC&rft.jtitle=Clinical%20and%20molecular%20hepatology&rft.au=%EC%9B%90%ED%98%95%EC%A7%84&rft.date=2010-11-24&rft.volume=16&rft.issue=5s&rft.spage=112&rft.pages=112-&rft.issn=2287-2728&rft_id=info:doi/&rft_dat=%3Ckiss%3E2880403%3C/kiss%3E%3Curl%3E%3C/url%3E&disable_directlink=true&sfx.directlink=off&sfx.report_link=0&rft_id=info:oai/&rft_id=info:pmid/&rft_kiss_id=2880403&rfr_iscdi=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