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엽수확고(桑葉收穫高) 측정(測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각형질(各形質) 가중치(加重値)(Weight)에 의(依)한 수량(收量)의 측정(測定)
상엽의 수확고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엽의 수량과 높음 상관관계가 있는 형질 중 상전에서 쉽게 측정할 수 있는 기조장(X1), 기조직경(X2), 엽수(X3), 엽면적(X4)의 4개 형질을 측정하여 이들 형질의 수량에 영향하는 가중치를 다중회분방정식에 의하여 산출하여 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식을 유도하였다. 1. 기조장(X1)과 기조직경(X2)을 측정하여 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는 개량서반에 있어서는 y1v1=-1.15760+0.068X1+165.756X2(g) 일지뢰에 있어서는 y1v2=-221.500+1.768X1+38.1...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1969-06, Vol.9, p.21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상엽의 수확고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엽의 수량과 높음 상관관계가 있는 형질 중 상전에서 쉽게 측정할 수 있는 기조장(X1), 기조직경(X2), 엽수(X3), 엽면적(X4)의 4개 형질을 측정하여 이들 형질의 수량에 영향하는 가중치를 다중회분방정식에 의하여 산출하여 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식을 유도하였다. 1. 기조장(X1)과 기조직경(X2)을 측정하여 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는 개량서반에 있어서는 y1v1=-1.15760+0.068X1+165.756X2(g) 일지뢰에 있어서는 y1v2=-221.500+1.768X1+38.152X2(g) 노상에 있어서는 y1v2=-253.826-0.116X1+289.507X(g) 수원상 4호에 있어서는 y1v4=-157.559+1.063X1+106.088X2(g)의 식에 의해서 기조장(X1)과 기조직경(X2)의 측정치를 대입하면 수량을 견적할 수 있다. 2. 기조장(X1), 기조직경(X2), 엽수(X3)의 3개 형질을 측정하여 수량을 견적하는 데는 각품종별로 각각 y2v1=-118.478-0.665X1+184.445X2+2.346X3 y2v2=217.432+2.062X3+35.668X2-1.058X3 y2v3=-206.249-0.739X1+268.08X2+2.770X3 y2v4=-153.383+0.009X1+2.024X2+0.171X3의 식에 의하여 수량을 견적할 수 있다. 3. 기조장(X1), 기조직경(X2), 엽수(X3), 엽면적(X4)의 4개 형질을 측정하고 수량을 견적하기 위하여는 각품종별로 각각 y11v1=82.567-1.283X1+15.501X2+0.640X3+3.511X4 y11v2=136.411+0.311X1+1.921X2-0.217X3+0.214X4 y11v3=150.2Z7-0.139X1+11.788X2+0.143X3+0.381X4 y11v4=160.850+0.323X1+66.076X2-0.794X3+2.614X4 등의 식에 의하여 수량을 견적할 수 있다.
Various formulae for estimation of leaf production in mulberry trees were investigated and obtained. Four varieties of mulberry trees were used as the materials, and four characters, namely branch length (X, 1), branch diameter (X, 2), leaf number per branch (X, 3), and leaf area per branch (X, 4), were studies. The formulae to eatimate the leaf yield of mulberry trees are as follows: 1. Y1v1=-115.760+0.068X1+165.756X2 Y1v2=-221.500+1.768X1+38.152X2 Y1v8=-253.826-0.116X1+289.507X2 Y1v4=-157.559+1.063X1+106.088X2 where Y1v1, Y1v2, Y1v3, Y1v4, are showed the estimated yield of the each variety, namely Gaeryang souban, Ilchirye, Nosang, and Suwon Sang No. 4, respectively. X2 and X2 denote the measured values of branch length and branch diameter, respectively. 2. Y2v1=-118.478-0.665X1+184.445X2+2.346X3 Y2v2=-217.432+2.062X1+35.668X2-1.058X3 Y2v3=-206.249-0.739X1+268.08X2+2.770X3 Y2v4=-153.383+0.009X1+2.024X2+0.171X3 where Y2v1, Y2v2, Y2v3, Y7v4, are the estimated yield of the each variety, namely Gaeryang. Souban, Ilchirye, Nosang, and Suwon Sang No. 4, respectively. X1, X2, X3, denote the measured values of each character, branch length, branch diameter and leaf number per branch, respectively. 3. Y11v1=82.567-1.283X1+15.501X2+0.640X3+3.511X4 Y11v2=136.411+0.311X1+1.921X2-0.217X3+0.214X4 Y113v=150.227-0.139X1+11.788X2+0.143X3+0.381X4 Y11v4=-160.850+0.323X1+66.076X2-0.794X3+2.614X4 where Y11v1, Y11v2, Y11v3, Y11v4, are the estimated yield values of four varieties, and X1, X2, X3, X4 denote the measured va |
---|---|
ISSN: | 2234-81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