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임상적 고찰
연구배경 : 한국인 성인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의 특성을 알아 보고자 최근 5년간 경험한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역학적 특성과 임상상을 분석하였다. 방법 : 전형적인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임상상을 나타내고 내원시 혈당치가 250㎎/dl 이상이며 케톤뇨나 케톤혈증이 있고 동맥혈중 pH가 7.34미만인 당뇨병성 케톤산증 72예를 분석하였다. 결과 : 1)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의 남녀비는 1 : 1.25로 여성우위를 나타내었도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되었으면 전체 평균연령은 36.6세였다. 2) 당뇨병성 케톤산증 발생의 월별 발병수는 3월과 12...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1993-05, Vol.44 (5), p.659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연구배경 : 한국인 성인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의 특성을 알아 보고자 최근 5년간 경험한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역학적 특성과 임상상을 분석하였다.
방법 : 전형적인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임상상을 나타내고 내원시 혈당치가 250㎎/dl 이상이며 케톤뇨나 케톤혈증이 있고 동맥혈중 pH가 7.34미만인 당뇨병성 케톤산증 72예를 분석하였다.
결과 :
1)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의 남녀비는 1 : 1.25로 여성우위를 나타내었도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되었으면 전체 평균연령은 36.6세였다.
2) 당뇨병성 케톤산증 발생의 월별 발병수는 3월과 12월에 가장 많았고 6월에 가장 적었다.
3) 당뇨병의 평균 유병기간은 5.4년이었고 당뇨병성 케톤산증이 당뇨병의 첫 임상발현이었던 경우는 23.6%이었다.
4) 발병유발인자로는 감염과 인슐린 투여중지가 가장 많았으며 26.4%에서는 뚜렷한 유발인자를 찾을 수 없었다.
5) 내원시 다뇨 및 다갈, 호흡곤란, 오심과 구토, 복통등의 증상이 주로 있었고 이학적 검사상 Kussmaul 호흡, 빈맥, 저혈압이 관찰되었으며 내원시 의식상태는 40예(55.6%)에서 명료하였다.
6) 감염증이 동반되었던 24예와 감염증이 없었던 48예 사이에 내원시 체온, 말초혈액 백혈구수 및 중성구 비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7) 내원시 43%에서 고칼률혈증이 나타났고 치료 6시간 후 23%에서 저칼륨혈증이 있었으며, 입원초 시행한 공복혈중 C-peptide치는 2/3에서만 인슐린의존성 당뇨병환자에서 관찰되는 범위로 감소되어 있었다.
8) 치료중 합병증으로는 저혈당이 가장 많았고 저칼륨혈증이 그 다음이었으며 고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혈전색전증, 그리고 성인성 호흡장애증후군 등이 있었다.
9) 사망률은 13.9%였고 고연령, 내원시 심한 질소혈증 예후불량 예측인자로 관찰되었고 사망한 예에서 세균성 폐렴의 빈도가 높았다.
결론 : 한국의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역학적 특성이나 임상상은 서양의 경우와 비교할 때 연령 및 남녀분포, 계절분포, 당뇨병성 케톤산증이 당뇨병의 첫 임상 발현인 경우, 발병유발인자들의 비율, 검사소견, 치료 합병증 및 사망률, 그리고 예후인자 등에서 매우 비슷하였다. 이같은 관찰은 한국인 성인에서도 서양의 경우와 비슷한 임상경과를 보이는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s: To characterize tha IDDM in Korea, we analyzed the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features of DKA in 72 patients. Methods: Seventy-two cases thoses who met following diagnostic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1) Clinical manifestation of typical DKA, 2)Blood glucise level>250 mg/dl, 3) Presence of ketonuria or keonemia, 4) Blood pH |
---|---|
ISSN: | 1738-93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