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변 조영술에 근거한 골반저 근실조의 아형: 바이오피드백 치료와의 관계
목적: 골반저 근실조 환자는 골반저 근육 기능의 이상으로 인해 배변시 외항문 괄약근과 치골직장근의 이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저자들은 비정상적인 외항문 괄약근 및 치골직장근의 이완 양상을 배변조영술을 통해 확인하고, 배변조영술에 나타난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적인 이완 양상을 세 군으로 나누어 이들간에 항문 및 직장의 생리기능에 차이가 있는지와 바이오피드백 치료 반응을 포함한 여러 가지 임상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 Background/Aims: We classified pelvic floor...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2003-11, Vol.9 (2), p.125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골반저 근실조 환자는 골반저 근육 기능의 이상으로 인해 배변시 외항문 괄약근과 치골직장근의 이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저자들은 비정상적인 외항문 괄약근 및 치골직장근의 이완 양상을 배변조영술을 통해 확인하고, 배변조영술에 나타난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적인 이완 양상을 세 군으로 나누어 이들간에 항문 및 직장의 생리기능에 차이가 있는지와 바이오피드백 치료 반응을 포함한 여러 가지 임상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
Background/Aims: We classified pelvic floor dyssynergia (PFD) patients according to the various relaxation patterns of the external anal sphincter and puborectalis observed at defecography. We also assessed the physiological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t |
---|---|
ISSN: | 2093-0879 2093-08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