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성 뇌증 환자에서의 영양상태의 평가
배경/목적: 간경변환자에서 단백질-칼로리 영양실조가 흔하며, 영양실조의 경우 면역력이 저하되어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또한 예후도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증 간성뇌증 환자의 경우, 단백질 제한이 필수적이지만, 장기간 단백질 제한을 하는 경우 영양실조가 악화될 뿐아니라 예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영양상태의 평가 지표로서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간성뇌증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에 중요한 지표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간질환 환자 79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성 간염 환자 28명...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2003-06, Vol.9 (3s), p.8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container_end_page | |
---|---|
container_issue | 3s |
container_start_page | 8 |
container_title |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
container_volume | 9 |
creator | 정지성 손동균 조돈현 김형근 이영석 양진모 조세현 한준열 박수헌 김재광 정규원 선희식 |
description | 배경/목적: 간경변환자에서 단백질-칼로리 영양실조가 흔하며, 영양실조의 경우 면역력이 저하되어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또한 예후도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증 간성뇌증 환자의 경우, 단백질 제한이 필수적이지만, 장기간 단백질 제한을 하는 경우 영양실조가 악화될 뿐아니라 예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영양상태의 평가 지표로서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간성뇌증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에 중요한 지표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간질환 환자 79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성 간염 환자 28명을 제1군, 식도정맥류나 복수 등의 간경변증의 합병증의 기왕력이나 현증이 있지만 간성뇌증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 27명을 제 2군, 현증 간성 뇌증이나 기왕력이 있는 환자 24명을 제3군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환자의 영양상태 분석을 위하여 lymphocyte수, 혈청 알부민치 등의 임상검사 결과를 비교하였고, 냉동보관된 혈청을 이용하여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 GH)과 retinol binding protein (RBP)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고, 예후에 대한 의의를 알아보기 위하여 MELD score를 비교하였다. 결과: 1) 총 lymphocyte 수는 1군 1956±658 (×106/L), 2군 1800±797(×10(6)/L), 3군 1256±704(×10(6)/L) (P<0.001)로 세군간에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 albumin은 1군이 3.61±0.58 g/dL, 2군이 3.11±0.68 g/dL,3군이 2.63±0.53 g/dL으로 세 군간에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P<0.001) 2) retinol binding protein은 1군에서 40.5±31.93 mg/ml, 2군에서 41.4±65.59 mg/mL, 3군에서 41.84±53.75 mg/mL로 세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P=0.99) 3) 1군 환자 28명의 IGF-1치는 128.1±49.9 ng/mL, 2군은 70.9±37.8 ng/mL, 3군은 40.2±22.8 ng/mL이었고,성장 호르몬은 1군이 67.8±3.1 ng/mL, 2군이 158.8±7.2 ng/mL, 3군이 126.1±5.7 ng/mL로, IGF-1치는 세 군 환자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 (P<0.001) 성장 호르몬은 2군 환자가 1군 환자와 비교하여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P<0.001) 2군과 3군 환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p=0.77) 3) MELD scale은 1군이 6(-2-16), 2군이 12(-5-35), 3군이 17 (-14-48)이었다. 이상을 요약하면, 간성 뇌증 환자에서 간성 뇌증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보다 lymphocyte수와 혈청 알부민치와 IGF-I이 감소되어 있었다. 결론: Lymphocyte수와 혈청 알부민치와 IGF-I level이 간성 뇌증 환자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간성뇌증 환자의 영양공급과 영양상태의 개선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format | Article |
fullrecord | <record><control><sourceid>kiss</sourceid><recordid>TN_cdi_kiss_primary_2048695</recordid><sourceformat>XML</sourceformat><sourcesystem>PC</sourcesystem><kiss_id>2048695</kiss_id><sourcerecordid>2048695</sourcerecordid><originalsourceid>FETCH-kiss_primary_20486953</originalsourceid><addsrcrecordid>eNpjYeA0MrIw1zUyN7LgYOAtLs5MMjAxMTc2NjQx5WQwebWh5U3LRoXX7T1vls1VeDtzxpt5E95Mn_CmZc6buTMU3sxofDNt4pvmxrfNYP7b_s5XGxp4GFjTEnOKU3mhNDeDtJtriLOHbnZmcXF8QVFmbmJRZbyRgYmFmaWpMX5ZAOXtPWA</addsrcrecordid><sourcetype>Publisher</sourcetype><iscdi>true</iscdi><recordtype>article</recordtype></control><display><type>article</type><title>간성 뇌증 환자에서의 영양상태의 평가</title><source>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source><creator>정지성 ; 손동균 ; 조돈현 ; 김형근 ; 이영석 ; 양진모 ; 조세현 ; 한준열 ; 박수헌 ; 김재광 ; 정규원 ; 선희식</creator><creatorcontrib>정지성 ; 손동균 ; 조돈현 ; 김형근 ; 이영석 ; 양진모 ; 조세현 ; 한준열 ; 박수헌 ; 김재광 ; 정규원 ; 선희식</creatorcontrib><description>배경/목적: 간경변환자에서 단백질-칼로리 영양실조가 흔하며, 영양실조의 경우 면역력이 저하되어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또한 예후도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증 간성뇌증 환자의 경우, 단백질 제한이 필수적이지만, 장기간 단백질 제한을 하는 경우 영양실조가 악화될 뿐아니라 예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영양상태의 평가 지표로서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간성뇌증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에 중요한 지표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간질환 환자 79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성 간염 환자 28명을 제1군, 식도정맥류나 복수 등의 간경변증의 합병증의 기왕력이나 현증이 있지만 간성뇌증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 27명을 제 2군, 현증 간성 뇌증이나 기왕력이 있는 환자 24명을 제3군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환자의 영양상태 분석을 위하여 lymphocyte수, 혈청 알부민치 등의 임상검사 결과를 비교하였고, 냉동보관된 혈청을 이용하여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 GH)과 retinol binding protein (RBP)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고, 예후에 대한 의의를 알아보기 위하여 MELD score를 비교하였다. 결과: 1) 총 lymphocyte 수는 1군 1956±658 (×106/L), 2군 1800±797(×10(6)/L), 3군 1256±704(×10(6)/L) (P<0.001)로 세군간에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 albumin은 1군이 3.61±0.58 g/dL, 2군이 3.11±0.68 g/dL,3군이 2.63±0.53 g/dL으로 세 군간에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P<0.001) 2) retinol binding protein은 1군에서 40.5±31.93 mg/ml, 2군에서 41.4±65.59 mg/mL, 3군에서 41.84±53.75 mg/mL로 세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P=0.99) 3) 1군 환자 28명의 IGF-1치는 128.1±49.9 ng/mL, 2군은 70.9±37.8 ng/mL, 3군은 40.2±22.8 ng/mL이었고,성장 호르몬은 1군이 67.8±3.1 ng/mL, 2군이 158.8±7.2 ng/mL, 3군이 126.1±5.7 ng/mL로, IGF-1치는 세 군 환자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 (P<0.001) 성장 호르몬은 2군 환자가 1군 환자와 비교하여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P<0.001) 2군과 3군 환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p=0.77) 3) MELD scale은 1군이 6(-2-16), 2군이 12(-5-35), 3군이 17 (-14-48)이었다. 이상을 요약하면, 간성 뇌증 환자에서 간성 뇌증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보다 lymphocyte수와 혈청 알부민치와 IGF-I이 감소되어 있었다. 결론: Lymphocyte수와 혈청 알부민치와 IGF-I level이 간성 뇌증 환자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간성뇌증 환자의 영양공급과 영양상태의 개선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description><identifier>ISSN: 2287-2728</identifier><language>kor</language><publisher>대한간학회</publisher><subject>Insulin-like growth factor-1 ; 간경변증 ; 간성 뇌증 ; 영양평가</subject><ispartof>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2003-06, Vol.9 (3s), p.8</ispartof><lds50>peer_reviewed</lds50><woscitedreferencessubscribed>false</woscitedreferencessubscribed></display><links><openurl>$$Topenurl_article</openurl><openurlfulltext>$$Topenurlfull_article</openurlfulltext><thumbnail>$$Tsyndetics_thumb_exl</thumbnail><link.rule.ids>314,777,781</link.rule.ids></links><search><creatorcontrib>정지성</creatorcontrib><creatorcontrib>손동균</creatorcontrib><creatorcontrib>조돈현</creatorcontrib><creatorcontrib>김형근</creatorcontrib><creatorcontrib>이영석</creatorcontrib><creatorcontrib>양진모</creatorcontrib><creatorcontrib>조세현</creatorcontrib><creatorcontrib>한준열</creatorcontrib><creatorcontrib>박수헌</creatorcontrib><creatorcontrib>김재광</creatorcontrib><creatorcontrib>정규원</creatorcontrib><creatorcontrib>선희식</creatorcontrib><title>간성 뇌증 환자에서의 영양상태의 평가</title><title>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title><addtitle>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addtitle><description>배경/목적: 간경변환자에서 단백질-칼로리 영양실조가 흔하며, 영양실조의 경우 면역력이 저하되어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또한 예후도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증 간성뇌증 환자의 경우, 단백질 제한이 필수적이지만, 장기간 단백질 제한을 하는 경우 영양실조가 악화될 뿐아니라 예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영양상태의 평가 지표로서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간성뇌증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에 중요한 지표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간질환 환자 79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성 간염 환자 28명을 제1군, 식도정맥류나 복수 등의 간경변증의 합병증의 기왕력이나 현증이 있지만 간성뇌증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 27명을 제 2군, 현증 간성 뇌증이나 기왕력이 있는 환자 24명을 제3군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환자의 영양상태 분석을 위하여 lymphocyte수, 혈청 알부민치 등의 임상검사 결과를 비교하였고, 냉동보관된 혈청을 이용하여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 GH)과 retinol binding protein (RBP)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고, 예후에 대한 의의를 알아보기 위하여 MELD score를 비교하였다. 결과: 1) 총 lymphocyte 수는 1군 1956±658 (×106/L), 2군 1800±797(×10(6)/L), 3군 1256±704(×10(6)/L) (P<0.001)로 세군간에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 albumin은 1군이 3.61±0.58 g/dL, 2군이 3.11±0.68 g/dL,3군이 2.63±0.53 g/dL으로 세 군간에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P<0.001) 2) retinol binding protein은 1군에서 40.5±31.93 mg/ml, 2군에서 41.4±65.59 mg/mL, 3군에서 41.84±53.75 mg/mL로 세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P=0.99) 3) 1군 환자 28명의 IGF-1치는 128.1±49.9 ng/mL, 2군은 70.9±37.8 ng/mL, 3군은 40.2±22.8 ng/mL이었고,성장 호르몬은 1군이 67.8±3.1 ng/mL, 2군이 158.8±7.2 ng/mL, 3군이 126.1±5.7 ng/mL로, IGF-1치는 세 군 환자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 (P<0.001) 성장 호르몬은 2군 환자가 1군 환자와 비교하여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P<0.001) 2군과 3군 환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p=0.77) 3) MELD scale은 1군이 6(-2-16), 2군이 12(-5-35), 3군이 17 (-14-48)이었다. 이상을 요약하면, 간성 뇌증 환자에서 간성 뇌증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보다 lymphocyte수와 혈청 알부민치와 IGF-I이 감소되어 있었다. 결론: Lymphocyte수와 혈청 알부민치와 IGF-I level이 간성 뇌증 환자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간성뇌증 환자의 영양공급과 영양상태의 개선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description><subject>Insulin-like growth factor-1</subject><subject>간경변증</subject><subject>간성 뇌증</subject><subject>영양평가</subject><issn>2287-2728</issn><fulltext>true</fulltext><rsrctype>article</rsrctype><creationdate>2003</creationdate><recordtype>article</recordtype><recordid>eNpjYeA0MrIw1zUyN7LgYOAtLs5MMjAxMTc2NjQx5WQwebWh5U3LRoXX7T1vls1VeDtzxpt5E95Mn_CmZc6buTMU3sxofDNt4pvmxrfNYP7b_s5XGxp4GFjTEnOKU3mhNDeDtJtriLOHbnZmcXF8QVFmbmJRZbyRgYmFmaWpMX5ZAOXtPWA</recordid><startdate>20030617</startdate><enddate>20030617</enddate><creator>정지성</creator><creator>손동균</creator><creator>조돈현</creator><creator>김형근</creator><creator>이영석</creator><creator>양진모</creator><creator>조세현</creator><creator>한준열</creator><creator>박수헌</creator><creator>김재광</creator><creator>정규원</creator><creator>선희식</creator><general>대한간학회</general><scope>HZB</scope><scope>Q5X</scope></search><sort><creationdate>20030617</creationdate><title>간성 뇌증 환자에서의 영양상태의 평가</title><author>정지성 ; 손동균 ; 조돈현 ; 김형근 ; 이영석 ; 양진모 ; 조세현 ; 한준열 ; 박수헌 ; 김재광 ; 정규원 ; 선희식</author></sort><facets><frbrtype>5</frbrtype><frbrgroupid>cdi_FETCH-kiss_primary_20486953</frbrgroupid><rsrctype>articles</rsrctype><prefilter>articles</prefilter><language>kor</language><creationdate>2003</creationdate><topic>Insulin-like growth factor-1</topic><topic>간경변증</topic><topic>간성 뇌증</topic><topic>영양평가</topic><toplevel>peer_reviewed</toplevel><toplevel>online_resources</toplevel><creatorcontrib>정지성</creatorcontrib><creatorcontrib>손동균</creatorcontrib><creatorcontrib>조돈현</creatorcontrib><creatorcontrib>김형근</creatorcontrib><creatorcontrib>이영석</creatorcontrib><creatorcontrib>양진모</creatorcontrib><creatorcontrib>조세현</creatorcontrib><creatorcontrib>한준열</creatorcontrib><creatorcontrib>박수헌</creatorcontrib><creatorcontrib>김재광</creatorcontrib><creatorcontrib>정규원</creatorcontrib><creatorcontrib>선희식</creatorcontrib><collection>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collection><collection>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collection><jtitle>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jtitle></facets><delivery><delcategory>Remote Search Resource</delcategory><fulltext>fulltext</fulltext></delivery><addata><au>정지성</au><au>손동균</au><au>조돈현</au><au>김형근</au><au>이영석</au><au>양진모</au><au>조세현</au><au>한준열</au><au>박수헌</au><au>김재광</au><au>정규원</au><au>선희식</au><format>journal</format><genre>article</genre><ristype>JOUR</ristype><atitle>간성 뇌증 환자에서의 영양상태의 평가</atitle><jtitle>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jtitle><addtitle>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addtitle><date>2003-06-17</date><risdate>2003</risdate><volume>9</volume><issue>3s</issue><spage>8</spage><pages>8-</pages><issn>2287-2728</issn><abstract>배경/목적: 간경변환자에서 단백질-칼로리 영양실조가 흔하며, 영양실조의 경우 면역력이 저하되어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또한 예후도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증 간성뇌증 환자의 경우, 단백질 제한이 필수적이지만, 장기간 단백질 제한을 하는 경우 영양실조가 악화될 뿐아니라 예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영양상태의 평가 지표로서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 간성뇌증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에 중요한 지표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간질환 환자 79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성 간염 환자 28명을 제1군, 식도정맥류나 복수 등의 간경변증의 합병증의 기왕력이나 현증이 있지만 간성뇌증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 27명을 제 2군, 현증 간성 뇌증이나 기왕력이 있는 환자 24명을 제3군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환자의 영양상태 분석을 위하여 lymphocyte수, 혈청 알부민치 등의 임상검사 결과를 비교하였고, 냉동보관된 혈청을 이용하여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 GH)과 retinol binding protein (RBP)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고, 예후에 대한 의의를 알아보기 위하여 MELD score를 비교하였다. 결과: 1) 총 lymphocyte 수는 1군 1956±658 (×106/L), 2군 1800±797(×10(6)/L), 3군 1256±704(×10(6)/L) (P<0.001)로 세군간에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 albumin은 1군이 3.61±0.58 g/dL, 2군이 3.11±0.68 g/dL,3군이 2.63±0.53 g/dL으로 세 군간에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P<0.001) 2) retinol binding protein은 1군에서 40.5±31.93 mg/ml, 2군에서 41.4±65.59 mg/mL, 3군에서 41.84±53.75 mg/mL로 세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P=0.99) 3) 1군 환자 28명의 IGF-1치는 128.1±49.9 ng/mL, 2군은 70.9±37.8 ng/mL, 3군은 40.2±22.8 ng/mL이었고,성장 호르몬은 1군이 67.8±3.1 ng/mL, 2군이 158.8±7.2 ng/mL, 3군이 126.1±5.7 ng/mL로, IGF-1치는 세 군 환자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 (P<0.001) 성장 호르몬은 2군 환자가 1군 환자와 비교하여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P<0.001) 2군과 3군 환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p=0.77) 3) MELD scale은 1군이 6(-2-16), 2군이 12(-5-35), 3군이 17 (-14-48)이었다. 이상을 요약하면, 간성 뇌증 환자에서 간성 뇌증의 기왕력이 없는 환자보다 lymphocyte수와 혈청 알부민치와 IGF-I이 감소되어 있었다. 결론: Lymphocyte수와 혈청 알부민치와 IGF-I level이 간성 뇌증 환자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지표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간성뇌증 환자의 영양공급과 영양상태의 개선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abstract><pub>대한간학회</pub><tpages>1</tpages></addata></record> |
fulltext | fulltext |
identifier | ISSN: 2287-2728 |
ispartof |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2003-06, Vol.9 (3s), p.8 |
issn | 2287-2728 |
language | kor |
recordid | cdi_kiss_primary_2048695 |
source |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
subjects | Insulin-like growth factor-1 간경변증 간성 뇌증 영양평가 |
title | 간성 뇌증 환자에서의 영양상태의 평가 |
url | https://sfx.bib-bvb.de/sfx_tum?ctx_ver=Z39.88-2004&ctx_enc=info:ofi/enc:UTF-8&ctx_tim=2025-01-18T08%3A25%3A48IST&url_ver=Z39.88-2004&url_ctx_fmt=infofi/fmt:kev:mtx:ctx&rfr_id=info:sid/primo.exlibrisgroup.com:primo3-Article-kiss&rft_val_fmt=info:ofi/fmt:kev:mtx: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0%84%EC%84%B1%20%EB%87%8C%EC%A6%9D%20%ED%99%98%EC%9E%90%EC%97%90%EC%84%9C%EC%9D%98%20%EC%98%81%EC%96%91%EC%83%81%ED%83%9C%EC%9D%98%20%ED%8F%89%EA%B0%80&rft.jtitle=Clinical%20and%20molecular%20hepatology&rft.au=%EC%A0%95%EC%A7%80%EC%84%B1&rft.date=2003-06-17&rft.volume=9&rft.issue=3s&rft.spage=8&rft.pages=8-&rft.issn=2287-2728&rft_id=info:doi/&rft_dat=%3Ckiss%3E2048695%3C/kiss%3E%3Curl%3E%3C/url%3E&disable_directlink=true&sfx.directlink=off&sfx.report_link=0&rft_id=info:oai/&rft_id=info:pmid/&rft_kiss_id=2048695&rfr_iscdi=tru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