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r bubble solution apparatus

PURPOSE: Provided is a bubble dissolving apparatus being capable of increasing contact oxidation effect and solubility by dissolving bubbles after splitting large bubbles into small bubbles by an impeller. CONSTITU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motor(10)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impellers(...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Hauptverfasser: HASHIZUME, KAZUTO, CHO, TONG RAE
Format: Patent
Sprache:eng ; 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bestellen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container_end_page
container_issue
container_start_page
container_title
container_volume
creator HASHIZUME, KAZUTO
CHO, TONG RAE
description PURPOSE: Provided is a bubble dissolving apparatus being capable of increasing contact oxidation effect and solubility by dissolving bubbles after splitting large bubbles into small bubbles by an impeller. CONSTITU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motor(10)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impellers(13,14) being installed at different depths, being connected to the motor(10) and having blades with a bevel gear shape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for generating small size bubbles by splitting large bubbles; an impeller protection member(15) being comprised of a lower cap(15d) and a side wall(15a) for surrounding the impellers(13,14) at a side; and an air injection unit(15) being comprised of a hose(16a) being connected to a compressor for receiving compressed air and extending into water where a motor is installed, an air pipe(16b) connected to the hose(16a), and an air diffusing nozzle(16c) connected to the air pipe(16b) and distributing air under the impeller(13). 본 발명은 기포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입경이 큰 기포를 고속 회전되는 임펠러의 회전날개로 잘게 부수어 1시간에 1m정도밖에 부상하지 않는 매우 미세한 미세기포로 만들어 처리대상액체에 투입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비약적으로 고도의 접촉산화효과는 물론 용해효과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용해장치는, 수중모터(10)의 출력회전축(12)에 미세 기포발생용 임펠러(13,14)가 장착되고 이는 하면에서 보았을 때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단턱을 갖는 다수의 회전날개(13a)가 톱니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중모터(10)의 하단에는 미세 기포발생용 임펠러(13,14)를 감싸도록 임펠러 보호부재(15)가 형성되며 이 임펠러 보호부재(15)는 상기 수중모터(10)의 하단에서 슬릿을 형성시킨 격벽(15a)이 하부로 연장되고 이 격벽(15a)의 하단에 컵형 단면의 필터(15d)가 씌워져 있다. 기체주입기(16)는 지상의 압축기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기체주입호스(16a)가 수중모터(10)에 이르기까지 연결되고 이 기체주입호스(16a)의 끝단에서 미세 기포발생용 임펠러(13)의 중앙에 분기분사노즐(16c)이 위치되도록 기체주입파이프(16b)가 연결되어 있다.
format Patent
fullrecord <record><control><sourceid>epo_EVB</sourceid><recordid>TN_cdi_epo_espacenet_KR20040002334A</recordid><sourceformat>XML</sourceformat><sourcesystem>PC</sourcesystem><sourcerecordid>KR20040002334A</sourcerecordid><originalsourceid>FETCH-epo_espacenet_KR20040002334A3</originalsourceid><addsrcrecordid>eNrjZJBNzCxSSCpNSspJVSjOzyktyczPU0gsKEgsSiwpLeZhYE1LzClO5YXS3AzKbq4hzh66qQX58anFBYnJqXmpJfHeQUYGBiYGBgZGxsYmjsbEqQIAbM0lGg</addsrcrecordid><sourcetype>Open Access Repository</sourcetype><iscdi>true</iscdi><recordtype>patent</recordtype></control><display><type>patent</type><title>air bubble solution apparatus</title><source>esp@cenet</source><creator>HASHIZUME, KAZUTO ; CHO, TONG RAE</creator><creatorcontrib>HASHIZUME, KAZUTO ; CHO, TONG RAE</creatorcontrib><description>PURPOSE: Provided is a bubble dissolving apparatus being capable of increasing contact oxidation effect and solubility by dissolving bubbles after splitting large bubbles into small bubbles by an impeller. CONSTITU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motor(10)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impellers(13,14) being installed at different depths, being connected to the motor(10) and having blades with a bevel gear shape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for generating small size bubbles by splitting large bubbles; an impeller protection member(15) being comprised of a lower cap(15d) and a side wall(15a) for surrounding the impellers(13,14) at a side; and an air injection unit(15) being comprised of a hose(16a) being connected to a compressor for receiving compressed air and extending into water where a motor is installed, an air pipe(16b) connected to the hose(16a), and an air diffusing nozzle(16c) connected to the air pipe(16b) and distributing air under the impeller(13). 본 발명은 기포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입경이 큰 기포를 고속 회전되는 임펠러의 회전날개로 잘게 부수어 1시간에 1m정도밖에 부상하지 않는 매우 미세한 미세기포로 만들어 처리대상액체에 투입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비약적으로 고도의 접촉산화효과는 물론 용해효과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용해장치는, 수중모터(10)의 출력회전축(12)에 미세 기포발생용 임펠러(13,14)가 장착되고 이는 하면에서 보았을 때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단턱을 갖는 다수의 회전날개(13a)가 톱니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중모터(10)의 하단에는 미세 기포발생용 임펠러(13,14)를 감싸도록 임펠러 보호부재(15)가 형성되며 이 임펠러 보호부재(15)는 상기 수중모터(10)의 하단에서 슬릿을 형성시킨 격벽(15a)이 하부로 연장되고 이 격벽(15a)의 하단에 컵형 단면의 필터(15d)가 씌워져 있다. 기체주입기(16)는 지상의 압축기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기체주입호스(16a)가 수중모터(10)에 이르기까지 연결되고 이 기체주입호스(16a)의 끝단에서 미세 기포발생용 임펠러(13)의 중앙에 분기분사노즐(16c)이 위치되도록 기체주입파이프(16b)가 연결되어 있다.</description><edition>7</edition><language>eng ; kor</language><subject>CHEMISTRY ; METALLURGY ;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subject><creationdate>2004</creationdate><oa>free_for_read</oa><woscitedreferencessubscribed>false</woscitedreferencessubscribed></display><links><openurl>$$Topenurl_article</openurl><openurlfulltext>$$Topenurlfull_article</openurlfulltext><thumbnail>$$Tsyndetics_thumb_exl</thumbnail><linktohtml>$$Uhttps://worldwide.espacenet.com/publicationDetails/biblio?FT=D&amp;date=20040107&amp;DB=EPODOC&amp;CC=KR&amp;NR=20040002334A$$EHTML$$P50$$Gepo$$Hfree_for_read</linktohtml><link.rule.ids>230,308,776,881,25542,76290</link.rule.ids><linktorsrc>$$Uhttps://worldwide.espacenet.com/publicationDetails/biblio?FT=D&amp;date=20040107&amp;DB=EPODOC&amp;CC=KR&amp;NR=20040002334A$$EView_record_in_European_Patent_Office$$FView_record_in_$$GEuropean_Patent_Office$$Hfree_for_read</linktorsrc></links><search><creatorcontrib>HASHIZUME, KAZUTO</creatorcontrib><creatorcontrib>CHO, TONG RAE</creatorcontrib><title>air bubble solution apparatus</title><description>PURPOSE: Provided is a bubble dissolving apparatus being capable of increasing contact oxidation effect and solubility by dissolving bubbles after splitting large bubbles into small bubbles by an impeller. CONSTITU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motor(10)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impellers(13,14) being installed at different depths, being connected to the motor(10) and having blades with a bevel gear shape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for generating small size bubbles by splitting large bubbles; an impeller protection member(15) being comprised of a lower cap(15d) and a side wall(15a) for surrounding the impellers(13,14) at a side; and an air injection unit(15) being comprised of a hose(16a) being connected to a compressor for receiving compressed air and extending into water where a motor is installed, an air pipe(16b) connected to the hose(16a), and an air diffusing nozzle(16c) connected to the air pipe(16b) and distributing air under the impeller(13). 본 발명은 기포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입경이 큰 기포를 고속 회전되는 임펠러의 회전날개로 잘게 부수어 1시간에 1m정도밖에 부상하지 않는 매우 미세한 미세기포로 만들어 처리대상액체에 투입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비약적으로 고도의 접촉산화효과는 물론 용해효과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용해장치는, 수중모터(10)의 출력회전축(12)에 미세 기포발생용 임펠러(13,14)가 장착되고 이는 하면에서 보았을 때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단턱을 갖는 다수의 회전날개(13a)가 톱니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중모터(10)의 하단에는 미세 기포발생용 임펠러(13,14)를 감싸도록 임펠러 보호부재(15)가 형성되며 이 임펠러 보호부재(15)는 상기 수중모터(10)의 하단에서 슬릿을 형성시킨 격벽(15a)이 하부로 연장되고 이 격벽(15a)의 하단에 컵형 단면의 필터(15d)가 씌워져 있다. 기체주입기(16)는 지상의 압축기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기체주입호스(16a)가 수중모터(10)에 이르기까지 연결되고 이 기체주입호스(16a)의 끝단에서 미세 기포발생용 임펠러(13)의 중앙에 분기분사노즐(16c)이 위치되도록 기체주입파이프(16b)가 연결되어 있다.</description><subject>CHEMISTRY</subject><subject>METALLURGY</subject><subject>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subject><fulltext>true</fulltext><rsrctype>patent</rsrctype><creationdate>2004</creationdate><recordtype>patent</recordtype><sourceid>EVB</sourceid><recordid>eNrjZJBNzCxSSCpNSspJVSjOzyktyczPU0gsKEgsSiwpLeZhYE1LzClO5YXS3AzKbq4hzh66qQX58anFBYnJqXmpJfHeQUYGBiYGBgZGxsYmjsbEqQIAbM0lGg</recordid><startdate>20040107</startdate><enddate>20040107</enddate><creator>HASHIZUME, KAZUTO</creator><creator>CHO, TONG RAE</creator><scope>EVB</scope></search><sort><creationdate>20040107</creationdate><title>air bubble solution apparatus</title><author>HASHIZUME, KAZUTO ; CHO, TONG RAE</author></sort><facets><frbrtype>5</frbrtype><frbrgroupid>cdi_FETCH-epo_espacenet_KR20040002334A3</frbrgroupid><rsrctype>patents</rsrctype><prefilter>patents</prefilter><language>eng ; kor</language><creationdate>2004</creationdate><topic>CHEMISTRY</topic><topic>METALLURGY</topic><topic>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topic><toplevel>online_resources</toplevel><creatorcontrib>HASHIZUME, KAZUTO</creatorcontrib><creatorcontrib>CHO, TONG RAE</creatorcontrib><collection>esp@cenet</collection></facets><delivery><delcategory>Remote Search Resource</delcategory><fulltext>fulltext_linktorsrc</fulltext></delivery><addata><au>HASHIZUME, KAZUTO</au><au>CHO, TONG RAE</au><format>patent</format><genre>patent</genre><ristype>GEN</ristype><title>air bubble solution apparatus</title><date>2004-01-07</date><risdate>2004</risdate><abstract>PURPOSE: Provided is a bubble dissolving apparatus being capable of increasing contact oxidation effect and solubility by dissolving bubbles after splitting large bubbles into small bubbles by an impeller. CONSTITU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motor(10)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impellers(13,14) being installed at different depths, being connected to the motor(10) and having blades with a bevel gear shape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for generating small size bubbles by splitting large bubbles; an impeller protection member(15) being comprised of a lower cap(15d) and a side wall(15a) for surrounding the impellers(13,14) at a side; and an air injection unit(15) being comprised of a hose(16a) being connected to a compressor for receiving compressed air and extending into water where a motor is installed, an air pipe(16b) connected to the hose(16a), and an air diffusing nozzle(16c) connected to the air pipe(16b) and distributing air under the impeller(13). 본 발명은 기포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입경이 큰 기포를 고속 회전되는 임펠러의 회전날개로 잘게 부수어 1시간에 1m정도밖에 부상하지 않는 매우 미세한 미세기포로 만들어 처리대상액체에 투입 접촉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비약적으로 고도의 접촉산화효과는 물론 용해효과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용해장치는, 수중모터(10)의 출력회전축(12)에 미세 기포발생용 임펠러(13,14)가 장착되고 이는 하면에서 보았을 때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단턱을 갖는 다수의 회전날개(13a)가 톱니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중모터(10)의 하단에는 미세 기포발생용 임펠러(13,14)를 감싸도록 임펠러 보호부재(15)가 형성되며 이 임펠러 보호부재(15)는 상기 수중모터(10)의 하단에서 슬릿을 형성시킨 격벽(15a)이 하부로 연장되고 이 격벽(15a)의 하단에 컵형 단면의 필터(15d)가 씌워져 있다. 기체주입기(16)는 지상의 압축기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기체주입호스(16a)가 수중모터(10)에 이르기까지 연결되고 이 기체주입호스(16a)의 끝단에서 미세 기포발생용 임펠러(13)의 중앙에 분기분사노즐(16c)이 위치되도록 기체주입파이프(16b)가 연결되어 있다.</abstract><edition>7</edition><oa>free_for_read</oa></addata></record>
fulltext fulltext_linktorsrc
identifier
ispartof
issn
language eng ; kor
recordid cdi_epo_espacenet_KR20040002334A
source esp@cenet
subjects CHEMISTRY
METALLURGY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itle air bubble solution apparatus
url https://sfx.bib-bvb.de/sfx_tum?ctx_ver=Z39.88-2004&ctx_enc=info:ofi/enc:UTF-8&ctx_tim=2025-02-02T22%3A31%3A21IST&url_ver=Z39.88-2004&url_ctx_fmt=infofi/fmt:kev:mtx:ctx&rfr_id=info:sid/primo.exlibrisgroup.com:primo3-Article-epo_EVB&rft_val_fmt=info:ofi/fmt:kev:mtx:patent&rft.genre=patent&rft.au=HASHIZUME,%20KAZUTO&rft.date=2004-01-07&rft_id=info:doi/&rft_dat=%3Cepo_EVB%3EKR20040002334A%3C/epo_EVB%3E%3Curl%3E%3C/url%3E&disable_directlink=true&sfx.directlink=off&sfx.report_link=0&rft_id=info:oai/&rft_id=info:pmid/&rfr_iscdi=true